屯 진칠 둔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屮,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トン, チュン | ||||||
일본어 훈독 | たむろ, なや-む | ||||||
- | |||||||
표준 중국어 | tún, zhū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屯은 '진칠 둔'이라는 한자로, '진을 치다'를 뜻한다. 자주 쓰이지 않는 용례로 '힘들다'라는 뜻이 있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진을 치다 |
음 | 둔 | |
중국어 | 표준어 | tún |
광동어 | tyun4 | |
객가어 | thùn | |
민남어 | tūn | |
오어 | den(T3) | |
일본어 | 음독 | トン, チュン |
훈독 | たむろ, なや-む | |
베트남어 | truân |
유니코드에는 U+5C6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PU(心山)로 입력한다.
초목이 올라오는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둔둔리(屯屯理)
-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屯內面) - 민족사관고등학교의 존재로 인해 외지인에게 많이 알려져있는 지역
- 경기도 군포시 둔대동(屯垈洞)
- 둔대JC(屯垈)
- 경기도 수원시 서둔동(西屯洞)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屯田理)
-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新屯面)
- 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 배둔리
- 배둔터널(背屯)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屯山洞)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屯山洞) - 대전광역시의 중심부 및 시청 소재지이자 비수도권 중부지방 내 최대 상권
- 부산광역시 강서구 둔치도(屯致島)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屯浦面)
- 함경남도 고원군 미둔리
- 중화인민공화국 신장위구르 자치구 베이툰시(北屯市)
- 툰뎬역(屯佃站)
- 하이후툰역(海户屯站)
- 다툰루둥역(大屯路東站)
- 홍콩 특별행정구 튄문구(屯門區)
- 대만 타이중시 난툰구(南屯區)
- 대만 타이중시 베이툰구(北屯區)
- 녹둔도(鹿屯島)
3.5. 창작물
- 주둔병단(駐屯兵団)
4. 유의자
- 陣(진칠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