續 이을 속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糸, 1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1획 | ||||
중학교 | |||||||
続 | |||||||
일본어 음독 | ゾク, ショク | ||||||
일본어 훈독 | つづ-く, つづ-ける, つ-ぐ | ||||||
续 | |||||||
표준 중국어 | x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續은 '이을 속'이라는 한자로, '잇다', '이어지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잇다 | |||
음 | 속 | ||||
중국어 | 표준어 | xù | |||
광동어 | zuk6 | ||||
객가어 | siu̍k | ||||
민동어 | sṳ̆k | ||||
민남어 | sio̍k | ||||
오어 | zoq (T5) | ||||
일본어 | 음독 | ゾク, ショク | |||
훈독 | つづ-く, つづ-ける, つ-ぐ | ||||
베트남어 | tục |
유니코드에는 U+7E8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FGWC(女火土田金)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糸(실 사, 가는실 멱)과 소리를 나타내는 𧶠(팔 육)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자체에 따라 糸+賣(팔 매)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讀(읽을 독)과 마찬가지로 賣과는 관련이 없다.
옛날에는 續의 오른쪽을 뚜렷하게 𧶠(팔 육)으로 썼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광둥어
백화문에서 거스름돈이란 뜻으로 쓰인다.[1]3.4. 인명
- 공손속(公孫續)
- 나오에 카네츠구(直江 兼続)
- 마속(馬續): 마융의 형[2]
- 속면(續綿) - 청나라 후기의 인물.
- 속함(續咸)
- 스에츠기 코노하(末続 このは)
- 양속(羊續)
- 이속(李續)
- 츠즈키 히스이(續木 姫翠)
3.5. 지명
3.6. 창작물
-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 속대전(續大典)
- 속병장도설(續兵將圖說)
- 영옹속고(穎翁續藁)
- 이담속찬(耳談續纂)
- 강시선생 2: 강시가족(屍家族-疆屍先生續集)
- 永遠に続く道
- 出逢いの続き(만남의 연속)
- 持续的爱恋
- 義風堂々!!兼続と慶次(의풍당당!! 카네츠구와 케이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𩧈[⿰馬𧶠](걸어가는모양 독)
- 櫝(궤 독)
- 殰/𦢌[⿰⺼𧶠](낙태할 독)
- 黷(더러울 독)
- 嬻(더럽힐 독)
- 凟/豄(도랑 독)
- 瀆(도랑/더럽힐 독)
- 𨽍[⿰⻖𧶠](도랑 독, 통할 동)
- 鑟(도장상자 독)
- 𥀲[⿰皮𧶠](매끄러울 독)
- 𢷺(뽑을 독)[⿰扌𧶠]
- 犢(송아지 독)
- 贕(알곯을 독)
- 瓄(옥이름 독)
- 讀(읽을 독)
- 韇(전동 독)
- 牘(편지 독)
- 韥(활집 독)
- 𡂝(읽을 두/독)
- 𨏔[⿰車𧶠](도르래 록)[3]
- 𥌚[⿰目𧶠](곁눈질할 매, 노려볼 애)
- 𦏢[⿰羊𧶠](때낀모양 매)
- 𢖏[⿰彳𧶠](멈추지않을 속)
- 𩽆[⿰魚𧶠](물고기이름 속)
- 贖(속죄할 속)
- 儥(팔 육, 볼 독)
- 襩(두루마기 촉)
- 䄣(독)
- 𧔖[⿰虫𧶠](소)
- 𣋺[⿰日𧶠]
- 𪺁[⿰火𧶠]
- 𬌏[⿰爿𧶠]
- 𥖿[⿰石𧶠]
- 𬔃[⿰禾𧶠]
- 𮋿[⿰耳𧶠]
- 𮚧[⿰卯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