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5 13:51:33

각주구검

고사성어
새길 각 배 주 구할 구 칼 검

1. 겉뜻2. 속뜻3. 출전4. 관련 문서

1. 겉뜻

배에 흠집을 새겨 을 구한다.

2. 속뜻

① 융통성이 없고 무식하다.
② 고집이 세다.

3. 출전

楚人有涉江者, 其劍自舟中墜於水, 遽契其舟曰, 是吾劍之所從墜, 舟止從其所契者入水求之. 舟已行矣, 而劍不行, 求劍若此, 不亦惑乎. 以此故法爲其國與此同. 時已徙矣, 而法不徙, 以此爲治, 豈不難哉.
초나라 사람 중에 강을 건너는 사람이 있었는데 칼이 배에서 물에 빠지자 갑자기 배에 칼자국을 새기고 말했다. "이곳은 내 칼이 빠진 곳이다." 배가 멈추자 그 칼자국이 새겨진 곳을 따라 물에 들어가 칼을 구하려고 했다. 배는 이미 떠났지만 칼은 떠나지 않았으니 칼을 구함이 이와 같으면 또한 미혹된 것이 아니겠는가? (초나라가) 이러한 옛 법으로 나라를 다스림이 이와 같은데 시대는 이미 달라졌으나 법은 달라지지 않았으니 이로써 (나라를) 다스린다면 어찌 어렵지 않겠는가?
여씨춘추〉 신대람(愼大覽) 찰금편(察今篇)
옛날 초나라 사람이 를 타고 강을 건너다가 그만 을 떨어뜨렸는데, 이 사람이 칼을 찾는다면서 칼을 빠뜨린 지점에 닿는 배의 부분에 표시를 해두었다. 배가 도착한 뒤에 이 사람은 표시를 해둔 배의 부분 밑의 물 속으로 뛰어들어 칼을 찾으려 했지만, 이미 배가 움직였으므로 뛰어든 곳에는 칼이 있을 리가 없었다.

흔히 융통성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거나 시대가 변했는데도 오로지 옛날 것만 고집하는 사람을 빗대어 쓰이기도 한다. '수주대토'와 속뜻이 비슷하다. 는 시대의 흐름을, 은 제도를 상징하여 시대는 변하는데 제도 또는 법은 흐름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시대착오적' 문서로.

백유경(百喩經)에도 검 대신 발우가 등장하는 비슷한 이야기(19번)가 존재한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