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상세
중국의 손을 빌려 독립군을 토벌하려던 계획이 무산되자 일본은 아예 간도의 조선인들을 초토화시켜 버리기로 하고 8~9월에 계획을 수립해 25,000명에 달하는 대군을 간도에 투입하였다. 마침 훈춘 사건이 발생하자 독립군을 토벌한다는 구실로 삼은 일본은 중국 측의 거부에도 불구하고 간도를 자기네 앞마당인 것처럼 헤집고 다니기 시작했다. 19사단을 주축으로 한 일본군은 3개의 토벌 지역을 편성해 독립군 섬멸 작전을 펼쳤지만 이미 독립군은 피난한 상태였기 때문에 효과가 없었다. 이런 학살에 살인, 체포, 강간, 방화로 인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준으로 약 3,016명[2]이 사망했고 한인 지역들은 초토화됐다.
3. 여담
- 청산리 전투는 이 간도 참변이 어느 정도 진행된 시기에 벌어졌다. 북로 군정서군은 위의 중국군과의 교섭에 따라 근거지를 이동하여서 청산리에 집결했고 추격해 온 일본군과 교전을 감행하기로 한 것이 청산리 전투의 시작이다.
- 1982년작 한국 영화 <일송정 푸른 솔>에서도 언급되는데 직접적으로 묘사되지는 않으나 학살당하는 한인들을 작두로 목을 친다든지 마을을 불태운다.
- 영화 암살에서 짤막하게 언급된다. 영화 설정상 현직 조선 주둔군 사령관인 카와구치 마모루가 간도 참변 당시 학살을 주도한 일본군 17사단의 지휘관이었기 때문. 주인공인 안옥윤이 회상 장면에서 간도 참변 때 자신의 어머니는 일본군의 총에 맞아 돌아가셨다고 언급하는데 운이 좋았다고 말한다. 당시 일본이 저지른 만행은 차라리 권총으로 살해하는 게 나아 보일 정도로 잔혹했기 때문.[4]
- 간도에서 학살이 발생하기 전에 연해주에서도 연해주 4월 참변이 발생해 많은 조선인들이 일본군에 의해 학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