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27 17:28:38

건그레이브/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건그레이브
건그레이브 (2003~2004)
ガングレイヴ
파일:건그레이브_애니.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원작 나이토 야스히로
레드 엔터테인먼트
감독 츠루 토시유키
조감독 마스하라 미츠유키
캐릭터 원안 나이토 야스히로
캐릭터 디자인 시노 마사노리
총 작화감독 시노 마사노리
Cindy H. Yamauchi
메카닉 디자인 원안 후지시마 코스케
메카닉 / 소품 디자인 키무라 마사히로(木村雅広)
미술 감독 우에노 히데유키(上野秀行)
시미즈 토모유키(清水友幸)
색채 설계 코시카와 요시미(こしかわよしみ)
촬영 감독 시라이 히사오(白井久男)
음악 이마호리 츠네오
음향 감독 혼다 야스노리(本田保則)
프로듀서 키타야마 시게루(北山 茂)
쿠보 토오루(久保 亨)
고토 히데키(後藤秀樹)
모로사와 마사오(諸澤昌男)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제작 PROJECT GUNGRAVE
방영 기간 2003. 10. 07. ~ 2004. 03. 30.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화) 01: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널J, 애니박스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6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9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1. 개요2. 등장인물3. 설정4. 주제가
4.1. OP4.2. ED
5. 회차 목록6. 평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게임 건그레이브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츠루 토시유키.

2003년 10월부터 2004년 3월까지 테레비 도쿄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방영했다. 전 26화. 나이토 야스히로트라이건과는 제작사가 매드하우스라는 점부터 해서 각본의 쿠로다 요스케나 음악감독까지 동일하다. 원작 게임이 게임인지라, 쏘고 갈기는 스타일리쉬 액션 애니메이션이 될 것이라 생각한 사람이 많았지만 예상 외로 정통파에 가까운 느와르물. 게임상에선 드러나지 않았던 비욘드 더 그레이브 = 브랜든 히트의 과거와 불사신의 건맨이 된 이유, 최종 보스라고 할 수 있는 해리 맥도웰과의 관계나 기타 인간 관계가 보다 자세하게 그려진다. 사실상 원작 게임의 틀만 어느정도 빌려온 별개의 작품이라고 보면 된다. 다만 건그레이브 G.O.R.E에서 젊은 시절의 브랜든 히트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게임이 애니메이션의 설정을 역수입까지 할 정도로 애니메이션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여담이지만 실사화 계획이 있다는데 헬싱처럼 제작진이 문제라고 한다.

국내에서는 2006년 10월에 채널 J에서 자막판으로 방영. 2007년 2월에 대원방송 계열의 애니박스를 통한 재방영도 이루어졌다.

건그레이브 애니 광고 모음

건그레이브 DVD 광고 모음

2.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건그레이브/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건그레이브 문서
번 문단을
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

4.1. OP

OP
ファミリィ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작곡 이마호리 츠네오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시노 마사노리
연출
작화감독
}}}}}}}}} ||

4.2. ED

ED
茜色が燃えるとき
노을빛이 불타오를때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연주 Scoobie Do
편곡
작사 코야마 슈(小山 周)
작곡 마츠모토 코지로(松木泰二郎)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츠루 토시유키
연출
원화 타나카 히로토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이 엔딩곡은 최고의 애니메이션 OST 라고 할 수 있다. 엔딩 테마곡에 대한 회의를 하고 있을 때 누가 가져온 이 노래(기존에 있던 가요)를 듣고 모두들 이 노래다! 했다고.

5.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黄昏の破壊者
황혼의 파괴자
츠루 토시유키
사토 유조
아라키 테츠로 Cindy H. Yamauchi
칸노 토시유키
키쿠치 토시히로
(菊池聡延)
카스가이 히로유키
(春日井浩之)
키타오 마사루
日: 2003.10.07.
韓:
제2화 YOUNG DOGS 츠루 토시유키
마스하라 미츠유키
마스하라 미츠유키 타카오카 준이치
(高岡淳一)
야마다 카츠야
日: 2003.10.14.
韓:
제3화 RAIN 마츠오 코우 키타노 유키히로 日: 2003.10.21.
韓:
제4화 GO 미야시타 신페이
(宮下新平)
요시모토 타케시
(吉本 毅)
아오키 마리코
(青木真理子)
日: 2003.10.28.
韓:
제5화 MILLENNION 김기두
(金紀社)
오오타 마사히코 김기두
코바야시 오사무
(小林 理)
日: 2003.11.04.
韓:
제6화 BIG DADDY 하라 히로시
(原 博)
키무라 히로시
(木村 寛)
이카이 카즈유키 日: 2003.11.11.
韓:
제7화 5 YEARS LATER 소~토메 코이치로
(そーとめこーいちろう)
마스하라 미츠유키 칸노 토시유키
키쿠치 토시히로
日: 2003.11.18.
韓:
제8화 FAMILY 오오타 마사히코 아라키 테츠로 타카오카 준이치
후쿠다 노리유키
(ふくだのりゆき)
日: 2003.11.25.
韓:
제9화 DISPUTE 마츠오 코우 미야타 료
(宮田 亮)
키타노 유키히로 日: 2003.12.02.
韓:
제10화 CONFLICT 사토 신지 요시모토 타케시 김기두
코바야시 오사무
日: 2003.12.09.
韓:
제11화 HEAT 니시무라 사토시 츠치야 히로유키
(土屋浩幸)
아오키 마리코 日: 2003.12.16.
韓:
제12화 KIND 하라 히로시 키무라 히로시 이카이 카즈유키 日: 2003.12.23.
韓:
제13화 BETRAYAL 아라키 테츠로 히나타 마사키
(日向正樹)
日: 2003.12.30.
韓:
제14화 DIE 츠루 토시유키 칸노 토시유키
키쿠치 토시히로
日: 2004.01.06.
韓:
제15화 HARRY 마츠오 코우 키타노 유키히로 日: 2004.01.13.
韓:
제16화 LETTER 오오타 마사히코 츠치야 히로유키 아오키 마리코 日: 2004.01.20.
韓:
제17화 MIKA 하라 히로시 키무라 히로시 이카이 카즈유키
야마모토 마사후미
(山本正文)
日: 2004.01.27.
韓:
제18화 GRAVE 마스하라 미츠유키
츠루 토시유키
사토 유조
마스하라 미츠유키
아라키 테츠로
Cindy H. Yamauchi
키쿠치 토시히로
칸노 토시유키
카스가이 히로유키
키타오 마사루
日: 2004.02.03.
韓:
제19화 SUPERIOR 시노 마사노리 요시모토 타케시 후쿠다 노리유키
칸노 토시유키
시노 마사노리
日: 2004.02.10.
韓:
제20화 BROTHER 타카오카 준이치 오오타 마사히코 히나타 마사키 日: 2004.02.17.
韓:
제21화 DUTY 마츠오 코우 키타노 유키히로 日: 2004.02.24.
韓:
제22화 REMORSE 오오타 마사히코 츠치야 히로유키 아오키 마리코 日: 2004.03.02.
韓:
제23화 DAUGHTER 하라 히로시 키무라 히로시 이카이 카즈유키 日: 2004.03.09.
韓:
제24화 LAST BULLET 타카오카 준이치 요시모토 타케시 후쿠다 노리유키
타카오카 준이치
日: 2004.03.16.
韓:
제25화 THEN 아라키 테츠로 히나타 마사키 日: 2004.03.23.
韓:
제26화 破壊者たちの黄昏
파괴자들의 황혼
츠루 토시유키 마스하라 미츠유키 시노 마사노리 日: 2004.03.30.
韓:

6. 평가

게임판이 준수한 액션 게임인데 비하여 애니 쪽은 미장센이 팍팍 느껴지는 걸작 마피아물로서, 액션의 비중이 엄청나게 줄어든 대신 인물간의 갈등 관계에 주목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거운 분위기와 뛰어난 영상미를 감상할 수 있는 수작으로 만들었다. 덕분에 나올 당시에 혹평이었던 건그레이브 1편의 후속작인 OD가 나왔을때, 혹평을 퍼부었던 국내 게임 잡지들이 안면몰수하고 '명작이었던 전작의 후속작'이라는 찬사를 게임 리뷰에 적는 촌극도 있었다.위의 OD 게임평을 다시 보라

마피아물이니만큼 대부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 보이는데, 대부와 마찬가지로 '가족(family)'이 작중에서 주요 소재로 다루어지며, 카리스마 넘치면서도 온후한 선대 보스 빅 대디와 수완은 뛰어나지만 냉정하고 목적을 위해서는 피도 눈물도 없어지는 냉정한 후대 보스 해리 맥도웰이 극의 중심이 된다는 점에서 대부와 유사한 점이 많다.

게임판은 엄청난 액션을 자랑했지만, 애니메이션에선 액션신이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원작같은 액션을 기대하진 말 것. 실질적으로 게임급의 스타일리쉬 액션은 그레이브와 분지의 마지막 결투가 거의 전부. 방영 당시에는 1화에서의 액션이 기대 이하였던 탓에 엄청나게 까였고, 브랜든 히트가 올빽이 되는 히트맨으로 활동하는 내용이 되기 전까지는 보는 사람들만 보는 애니이기도 했다. 이후 1쿨이 넘어가면서 해당 분기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게 된다. 하지만 오늘 날의 시점으로 볼 때, 작화의 질도 그렇게 뛰어나다 할 수는 없다. 다만 이건 애니메이션 제작이 수작업에서 디지털 제작 방식으로 넘어가던 과도기라 작화가 불안정한 경우가 많다. 거기다 당시 3D 기술이 크게 발전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TV판으로 원작 게임의 화려한 액션을 재현한다는건 상당히 힘들다. 주인공 비욘드 더 그레이브의 복장 또한 디테일한 장식이 많아 애니메이션 제작환경에선 꽤 부담되는 편이다. 후반에 가선 그레이브의 복장이나 무장이 훨씬 그리기 간단한 디자인으로 점점 바뀌는 점에서 제작진이 얼마나 부담스러워했는지 노골적으로 느껴지는 부분이다.

일각에서는 악질이라는 말밖에 들을 수 없는 해리 맥도웰에 대한 지나친 변호를 이 작품의 단점이라고 꼽고 있다. 그러나 두 사람이 그렇게 상반된 모습으로 변할 수 밖에 없는 과정을 본편에서 상세하게 보여주었으며, 이는 마피아물의 왕도적 클리셰이기도 하다.

서양에서는 매니아 팬이 꽤 있으며 블루레이는 북미판만 나왔다. 스토리를 중시하는 국내 매니아 성향과 굉장히 잘 맞는 애니로, 국내에서는 걸작 느와르 애니로 대우받고 있다.[1] 정작 일본 내에서는 마이너 애니메이션이지만, 그래도 일본내에서도 성공적인 애니화한 게임 중 하나로 손꼽힌다. 자국보다 외국에서 흥행한 작품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게임 팬들에게는 그다지 달갑지 않은 작품이기도 한데, 사실상 다른 작품이나 다름없는 게임 이야기에 허구한날 애니메이션 언급을 하는 팬들이 다수 등장하여 빠가 까를 만든다를 눈살 찌푸리는 장면을 종종 보여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거의 카우보이 비밥과 비슷한 대우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