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18:33:28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겜바바'''{{{#!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웹툰}}}에 대한 내용은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웹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웹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웹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웹툰: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웹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웹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웹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ff370a,#1f2023><bgcolor=#fff><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fff>
파일:겜바바 로고.png
||
등장인물 | 설정(미궁, 몬스터, 정수, 종족, 노아르크) | 웹툰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
Surviving the Game as a Barbarian
<nopad> 파일: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_ver2.jpg
장르 게임빙의, 미궁, 야만전사
작가 정윤강
출판사 제이플미디어
연재처 네이버 시리즈
연재 기간 2021. 03. 31. ~ 연재 중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
3.1. 해외 연재
4. 역대 표지5. 특징6. 등장인물7. 설정8. 평가
8.1. 호평8.2. 비판
8.2.1. 작품 내적 문제8.2.2. 작품 외적 문제
9. 미디어 믹스10. 기타

1. 개요

한국의 게임빙의물, 미궁물 웹소설. 작가는 <내가 믿는 것은 검>, <알고보니 일대일 천재>를 집필한 정윤강.

2. 줄거리

2D 버전으로도 못 깼는데, 이걸 현실에서 깨라고?
어쩌면 평생 여기서 살아야 할지도 모르겠다.
뭐, 그조차도 쉽지는 않겠지만.
인디 게임 《던전 앤 스톤》을 플레이하던 주인공이 실제 게임 세상에 바바리안 비요른의 몸으로 빙의해서 미궁을 탐사하는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3. 연재 현황

네이버 시리즈에서 2021년 3월 31일에 연재를 시작하였다.

2022년 10월 26일부터 12월 5일까지 6주간 장기 휴재에 들어갔었다. 나빠지는 건강 문제와 들쭉날쭉한 퀄리티로 인해 재충전과 작품 수정의 시간을 갖게 됐다. 이후 매주 월~금 밤 12시 주 5회 연재에서 화~금 밤 12시 주 4회 연재로 변경하였다.

2024년 11월 13일부터 수,목,금 주 3회 연재로 변경되었다. 사실상 주 2회 연재다

3.1. 해외 연재

4. 역대 표지

역대 표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겜속바.jpg 파일:겜바바 새표지.jpg
1차 표지 2차 표지 }}}}}}}}}

1차 표지가 소설 속에서 묘사된 주인공 비요른 얀델의 우락부락하고 상남자다운 모습과는 맞지 않는 비주얼로 디자인돼서 댓글에 표지를 바꿔달라는 여론이 많았다. 결국 2023년 4월 1일에 2차 표지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2차 표지에서도 여전히 불호라는 반응의 댓글이 많았다.

5. 특징

제목만 봤을 때는 게임 속 전사가 되었다 이후로 쏟아진 이세계 게임빙의 야만전사물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미궁과 탐험가가 중심이 되는 2010년대 초반 이후 한국에서 명맥이 끊긴, 2020년대에는 국내에서 보기 드물어진 장르인 던전물의 계보를 잇는 작품이다.

주인공이 머리를 정말 잘 굴리는 편이다. 바바리안이란 종족 특징을 잘 살려내어 위기대처 능력이 뛰어난데 그만큼 만만치 않은 위기들이 적재적소에 잘 배치돼있어 이야기가 지루해지지 않고 재미있게 읽어진다.

6.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설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설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 bordercolor=#00e164,#00e164><table bgcolor=#ffffff,#2d2f34><bgcolor=#00e164,#00e164> 파일:네이버 시리즈 로고.svg ||
별점 9.1 / 10.0 | 조회 수 1억112만만 2025. 8. 21. 기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 bordercolor=#58d3f7><table bgcolor=#ffffff,#2d2f34><bgcolor=#58d3f7> 파일:sosul_network_icon-removebg-preview.png ||
별점 4.17 / 5.0 | 참여자 1228명 2024. 12. 7. 기준


8.1. 호평

게임빙의물 중에서 보기 드물 정도로 인물 심리가 현실적이면서도 입체적으로 잘 묘사되어 있다. 한두 편 나올 엑스트라도 단편적으로 소모되지 않고 조연들도 각자의 개성과 사연을 그려내서 의미 없게 버려지는 인물이 없다시피 하다. 그러면서도 내용이 질질 끌어지거나 보는 맛이 떨어지지 않는다.

그렇다고 분위기가 그렇게 어둡거나 무겁지 않으며 나름 살벌한 세계관에 비해 평소에는 가볍고 유머러스하며, 탐험가들이 픽픽 죽어나가는 위기상황에서도 특유의 유머러스한 서술[1]이 지속적으로 나온다. 단 동료 탐험가가 죽는 장면 등의 서술에서는 농담끼가 빠져 몰입도를 올리는 경우도 있다.

주인공 일행들의 케미도 좋으며 파워인플레로 파티에 떠나는 예전 멤버도 도태되기 보다 도시 내에 자리 잡으며 이야기의 한 축을 담당한다.

특징에 말했듯 주인공의 지능이 상당이 뛰어난 편이다. 악령으로 의심 받거나 불합리한 상황에도 빠른 판단력과 임기응변으로 잘 넘어가고. 팀이 전멸할 위기 상황에도 가장 효율적인 전략을 짜서 어떻게든 최선의 선택을 하려 한다.

작중에 한 달에 한번 들어가는 악령들만의 커뮤니티와 원탁회의는 작중 세계의 사건과 이슈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기능으로 쓰이는데 이 시스템이 굉장히 영리한 설정이라고 평가받고 있다.[2]

전체적으로는 근래 나온 겜판 중에서는 드문 수작으로, 독보적인 재미와 인기를 자랑한다. 특히 불꽃처럼 에피소드는 긴장감을 잘 살린 훌륭한 필력으로 명작의 영역에 닿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8.2. 비판

8.2.1. 작품 내적 문제

나름대로 위기를 맞이하면서 성장하긴 하지만, 몇몇 부분에서는 지나친 편의주의적 전개라는 비판이 있다. 예를 들면 주인공은 미샤와 마주치기전에 인간 불신을 가지고 있음을 꾸준히 강조한다. 그러나 미샤와 마주하자마자 바로 성격을 갈아타고 한여자를 목숨걸고 지켜주는 남자로 탈바꿈한다. 마침 미샤를 각성시켜줄 반지가 주인공에게 있던것은 덤.

보통의 소설에서 두 인간불신 캐릭터들이 만나 인연을 유지시키려면 아주 많은 빌드업을 요구하는데 그냥 캐릭터의 성격을 일회성으로 붕괴시키는것으로 그때그때 편하게 해결해나가며 목숨을 구해주는 복선들을 미리 던져둔뒤 회수하기보다는 작가가 의도적으로 목숨을 위험에 처하기를 정해둔 뒤 그걸 해결할 열쇠를 몇화전에 지급하고 주인공이 이걸 우연히 가진덕에 해결했습니다를 반복하는 등 독자를 바보로 아는 편의주의적 전개들을 남발한다. 물론 워낙 하드코어한 일들을 많이 겪기에 이정도 편의주의는 넘어가는 독자들도 많다.

과거편 이후로 폼이 떨어지고, 작품이 전반적으로 루즈해졌다는 의견이 있다. 특히 원정대 에피소드는 설정 오류가 심하고, 주인공의 상황을 극한에 몰리게 하기 위해서 무리수를 둔 장치들이 많다. 게다가 원정대 에피소드 이후부터는 비요른 남작가 및 바바리안 종족 세력 불리기 등 영지물 컨셉으로 플롯이 확장되면서 글의 완성도와 밀도가 확 낮아졌다는 비판이 많다. 특히나 지하 1층 에피부터 모든 사건이 지나치게 주인공 중심으로 이야기가 돌아가면서 동료 캐릭터들 비중이 급격하게 줄고 동료 캐릭이 관여하는 사건도 묘사 자체가 너무 간략하거나 성의 없게 진행된다는 지적이 많다.[3]

8.2.2. 작품 외적 문제

9. 미디어 믹스

9.1. 웹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웹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웹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웹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기타


[1] 주인공의 내면이나 탐험가들이 위기상황에서도 계속 농담을 던져대서 씁쓸한 재미를 자아내기도 한다.[2] 현재는 기록보관소 에피소드 중 폐쇄되어 더이상 등장하지 않는 요소가 되어버렸다. 물론 주인공이 너무 강해져버려 슬슬 없어져야 할 때가 오긴 했다.[3] 한 사건 초반에 특정 캐릭에 대한 얘기가 나온 다음 그 사건이 끝날 때까지 그 이후 얘기가 전혀 없다가, 그 사건이 종료된 이후 다음 사건에서 그냥 간략하게 묘사되고 마는 식.[4] 그러나 차원붕괴 에피소드에서 8층 균열 중 1등급 중에서도 악질이라던 드래곤이 수호자로 나와 토벌대 전원이 9레벨 이상이어야 하는 곳이 있다는 설정이 추가로 공개되어 반대로 오버밸런스로 논란이 되었다. 작중에서 묘사된 노아르크 탐험가들이 과연 1등급 레이드가 가능한 수준인지가 의문이다.[5] 이때 작가가 낸 입장문 이후로 2025년 4월에 이르기까지 지금까지 단 한번도 작가는 입장표명을 하지 않았다.[6] 특히 고대인 아르타와 레이븐이 자유롭게 대화하는 장면이 논란이 되자 내용을 수정했는데, 불과 10화도 채되지 않아 고대인 타르비앙과 제피로스가 고대어를 쓰는 묘사를 누락했다.[7] 1등급 몬스터인 레드 드래곤이 수호자로 나오는 적룡의 심처가 8층 균열이라고 언급된다. 8층 균열은 노아르크 정예들이 드나들고 아나바다 클랜도 목표로 잡았던 곳이다. 독자들은 과거 용이 9층에서 등장한다는 언급을 근거삼아 9층 균열인데 8층으로 오타가 난 것이라고 추정했지만, 이후에 오히려 9층부터 나온다고 언급한 부분을 수정해버려서 결국 8층 균열이라고 확정되었다. 드래곤 레이드는 스펙이 부족하다는 것을 비요른도 알고 있는데 차원 붕괴 전에 '이번 탐사의 목표는 8층 균열'로 잡았다는 것은 운 나쁘게 적룡의 심처로 입장되면 그냥 손놓고 자살하겠다는 것과 같은 말이다. 이제는 설정은 기대하지 말고 작가가 휴재 일으키지 않게 얌전히 보자는 말이 나올 정도로 설정 오류에 대해 체념한 독자들도 많다.[8] 어느 정도였냐면 휴재를 안 한 주가 휴재를 한 주보다 적을 정도이다. 오죽하면 주 3회라고 고치라는 독자들이 나타나고 이에 대해 주 3회로 고치면 주 2회가 되어버릴 것(...)이라고 주장하는 독자들마저 나올 정도.[9] 25, 26일 휴재는 별도의 휴재 사유 없이 휴재하였고, 27일은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휴재하였다. 오랜만에 휴재 사유를 설명하였으나 문제는 일주일 연재 중 하루를 건강상의 이유로 휴재한 것도 아니라 일주일 연재를 하루 빼고 모조리 휴재한 와중에 추가로 휴재를 때린 거라 여론이 좋을 수가 없었다. 심지어 건강상의 이유를 든 것 또한 꾀병이라는 말마저 나올 정도.[10] 더욱이 보통 이지경까지 오면 보통 장기 휴재로 매우 길게 쉬면서 작품을 정리하는게 정상적인 수순이지만, 상술했다시피 약 한달정도만 휴재를 하는 상태인지라 이 상태가 웬만하면 지속되리란 것이 중론이다.[11] 그나마 질질 끌면서 돈만 버려는 의도가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화산귀환이 비교되는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