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고우영이 그린 만화.고우영이 2000년대 초에 조선 역사를 자신의 색깔대로 그리겠다는 결심을 품고 그린 작품으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 정도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1] 끝마무리가 급하게 끝낸 느낌이 보이는데, 고우영이 대장암으로 투병하느라 급하게 마무리하였기에 이렇게 8권으로 마무리 되었다. 스포츠신문 ‘굿데이’에 2001년~2002년 12월까지 약 1년간 연재했다.
2. 평가
2003년도에 출간된 지라 고우영이 2005년에 타계했던 일을 상기해볼 때, 유작이라고 해야할 작품이다. 고우영 항목에 나오듯이 만화 성경이라든지 여러 작품들을 기획하고 그리고자 했었다. 하지만, 병으로 결국 사실상 이게 유작이 되어버렸으며 이 작품도 더 연재하려다가 투병으로 인하여 급하게 끝을 내야 했다. 수레바퀴 이후에도 복간된 작품들이 있지만 과거의 작품을 복간한게 아닌 처음부터 새로 그린 작품으로는 이 수레바퀴가 마지막이다. 그 퀄리티도 상당하여 고우영이 일평생을 만화가로 살아오며 쌓인 경험과 연륜, 그리고 만화가로서의 내공과 막강한 만력 등이 집대성되어 상당한 재미를 보여준다. 그림 한컷 한컷마다 고우영의 깊은 실력과 장인의 정신이 느껴지는 상당한 수작이다.고우영 본인도 음담패설만 계속 쓰고 있다고 언급하며 안타까워했고 투병 때문에 급하게 마무리되어 고우영이 생전에 아쉬워했다고 한다. 이 와중에도 직접 수술자국을 그려 올리면서 '근데 수술하는데 거웃은 왜 밀지?'라며 익살스럽게 그려낸 장면이 있다.
만화 내용과 현실을 서로 빗대어서 풍자하는 실력도 일품인데, 위화도 회군을 비롯한 조선 건국이나 왕자의 난에 대해 5.16이나 12.12 군사반란 및 관련인물과 빗댄 내용이 많다. 양녕대군과 어리 이야기에선 어느 비뚤어진 충성심(어리에게 자살을 강요한 관료를 살해)을 가진 양녕대군의 부하의 이름이 장세동으로 나오기까지 한다. 그 외에도 연재 당시 한창 진행되었던 현대그룹 내 왕자의 난을 빗대 풍자한 부분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조선을 이야기할 때 곧 잘 무시되곤 하는 색녀들이나 사방지 같은 후타나리(?) 등 후에 역사 만화가들이 다루기 껄끄러워하거나 외면하는 여성들을 정면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유니크함은 빛을 발한다.
작중 태종이 양녕대군 비행 옹호 문제로 황희를 유배보낼때 황희를 영의정이라고 칭하거나[2] 양녕대군이 아직 세자시절인데 태종은 세자를 '세자 양녕'이라 부르고[3] 문종이 재위중인데 묘호를 문종이라고 올리는 등[4] 이런 소소한 오류가 조금 있다.그리고 복식 관련 고증 오류도 좀 있는 편이다. 정도전이 조선 중후기쯤 유행한 말총 갓을 쓰고 나오거나 군졸들은 무조건 포졸복을 입히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