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8000> | 광주광역시 | }}} | ||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광주광역시의 수요응답형버스|수요응답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28 | 419 | 518 | 1187-1 | 첨단20 |
송정33 | 운림35 | 첨단40 | 수완49 | 지원52-1 | |
문흥53 | 금남55 | 지원56 | 금남57 | 양산60 | |
매월61 | 상무62 | 상무63 | 상무64 | 유덕65 | |
송암68 | 대촌69 | 대촌70 | 대촌71 | 송암72 | |
송암73 | 송암74 | 진월75 | 봉선76 | 진월77 | |
진월78 | 진월79 | 문흥80 | 두암81 | 용봉83 | |
용전84 | 용전85 | 용전86 | 석곡87 | 임곡89 | |
임곡90 | 임곡91 | 첨단92 | 송정93 | 첨단94 | |
송정96 | 송정97 | 송정99 | 송정100 | 선운101 | |
지원152 | 대촌170 | 진월177 | 두암181 | 용전184 | |
충효187 | 충효188 | 첨단192 | 첨단193 | 진곡196 | |
송정197 | 대촌270 | 임곡290 | 송정296 |
1. 노선 정보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419번 | |||||
| |||||
기점 |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살레시오고등학교) | 종점 |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조선대학교) | ||
종점 행 | 첫차 | 06:00 | 기점 행 | 첫차 | 06:00 |
막차 | 22:15 | 막차 | 22:15 | ||
평일배차 | 25~40분 | 주말배차 | 35~45분 | ||
운수사명 | 세영운수 | 인가대수 | 6대[1] | ||
노선 | 살레시오고 - 일신초교 - 일동중 - 향토음식박물관 - 국제고 - 광주공고입구 - (비엔날레전시관→ 용봉모아아파트→유창아파트→/←용주초교) - 유창허니문 - 용봉한화꿈에그린 - 전남대동문 - 북구보건소 - 중흥2동행정복지센터 - (→ 서방시장(남)→ / ←서방시장(서) ←) - 광주고/419역사관 - 대인시장(동) - 서남동행정복지센터 - 조선대해오름관 |
2. 개요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로, 228번, 518번, 1187번과 더불어 노선번호 부여법칙을 따르지 않는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06년 12월 개편 때 신설된 금남56번이 전신이다. 구 7번 및 34번이 지나가던 용봉동 전남대학교 상대 뒷길, 노선이 많이 사라진 서양로 지역을 경유하여 일곡지구와 금남로 일대를 잇는 노선으로 계획되었다. 개편 초기에는 대창운수가 운행하기도 했다. 이 당시에는 운림54번, 518번과 더불어 지선 노선임에도 대형 차량으로 운행을 하였다.
- 그러던 도중 2012년 4월 14일에 노선을 그대로 유지한 채 번호만 419번으로 변경되었는데 번호가 바뀌게 된 이유가 좀 특별하다. 전국적으로 발발했던 4.19 혁명이 광주에서는 주로 당시 고등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뭉쳤는데, 그 중에서 특히 광주고 학생들이 주축이 되었다. 훗날 광주 4.19 단체가 당시 중심이 되었던 광주고 앞의 4.19로[2]를 지나는 노선 중 하나를 419번으로 바꾸려 했고, 그 중 당첨된 노선이 금남56번이었던 것(...)[3] 그리고 56번이라는 번호는 수년 동안 쓰이지 않고 있다가 지원56번으로 부활했다.
- 2017년 2월 25일 개편으로 비엔날레전시관 쪽으로 연장이 확정되었고, 보름 정도 후에 실제로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하지만 유창허니문에서 비엔날레전시관으로 갈 때 우회전을 하고 바로 좌회전을 해야 하는 루트가 있는데 2차선 도로에서 우회전해서 왕복 6차선 도로에 진입하자마자 바로 삼거리에서 좌회전을 해야 한다는 것[4]. 때문에 차선을 제대로 탈 수가 없고, 직진신호에 직진 차선 한가운데서 버스가 멈춰 있어야 하는 사태도 벌어졌다.
- 이것이 너무 위험하다고 판단했는지 2017년 3월 27일부터 일곡동 방향은 비엔날레전시관을 거치지 않고 원래대로 용주초등학교 쪽으로 간다.
4. 특징
- 일곡마을이나 용봉ㆍ삼각동 지역에서 살레시오고, 숭일고, 국제고, 고려고, 광주공업고 등의 고등학교 통학용으로 활약하거나 전남대 및 조선대 통학용으로 주로 이용한다. 서방시장과 대인시장 방문 목적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 전남대학교 상대 뒷길에서 환승 수단으로 이용된다. 정류소는 없지만 전남대 정문도 지나간다.
- 금남로 일대에 행사가 있을 경우 전남여고 방향으로 양방운행한다.
- 금남57번과 기종점이 동일한 노선이지만 겹치는 구간은 거의 없다.
5. 연계 철도역
[1] 공휴일 5대.[2] 이후 중앙로로 통합되었다.[3] 광주고와 함께 4.19기념관 앞도 지나는 98번, 151번, 518번도 있었으나 각각의 이유로 기각된 듯 하다. 518번은 5.18 민주화운동의 주요 지역을 경유하게 짜여진 노선이라 이미 노선부여법칙에서 제외된 노선이었고, 151번은 시외노선, 98번은 간선노선이라서 제외된 듯 보인다. 하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151번은 이후 228번으로 번호부여법칙에 벗어나는 번호를 부여받는다.[4] 차선 4개를 50m만에 건너야 했다.[5] 조선대 행은 기존과 동일하게 계림사거리 정류소에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