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20:50:39

알타이르

글리제 768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알타이르"><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알타이어 이븐 라'아하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알타이어 이븐 라'아하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알타이어 이븐 라'아하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의 등장인물: }}}[[알타이어 이븐 라'아하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알타이어 이븐 라'아하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알타이어 이븐 라'아하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Aquila Outline.png
[[독수리자리#구성원|독수리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바이어 명칭 순
알파성
알타이르
Altair
베타성
알샤인
Alshain
감마성
타라제드
Tarazed
델타성
독수리자리 델타
δ Aql
엡실론성
독수리자리 엡실론
ε Aql
제타성
오카브
Okab
에타성
독수리자리 에타
η Aql
세타성
독수리자리 세타
θ Aql
이오타성
독수리자리 이오타
ι Aql
카파성
독수리자리 카파
κ Aql
람다성
독수리자리 람다
λ Aql
뮤성
독수리자리 뮤
μ Aql
누성
독수리자리 누
ν Aql
크시성
독수리자리 크시
ξ Aql
오미크론성
독수리자리 오미크론
ο Aql
파이성
독수리자리 파이
π Aql
로성
독수리자리 로
ρ Aql
시그마성
독수리자리 시그마
σ Aql
타우성
독수리자리 타우
τ Aql
웁실론성
독수리자리 웁실론
υ Aql
피성
독수리자리 피
φ Aql
카이성
독수리자리 카이
χ Aql
프시성
독수리자리 프시
ψ Aql
오메가성
독수리자리 오메가1·2
ω Aql
플램스티드 명칭 순
독수리자리 1
독수리자리 2
독수리자리 3
독수리자리 4
독수리자리 5
독수리자리 6
독수리자리 12
독수리자리 71
그 외 독수리자리에 속한 항성
독수리자리 R 독수리자리 U 독수리자리 V 독수리자리 TT
독수리자리 VB 10 독수리자리 V603 독수리자리 V1494 독수리자리 V1936
SS 433 AFGL 2298 헐스-테일러 쌍성 PSR J1903+0237
PSR J1951+1123 SGR 1900+14 - -
}}}}}}
}}}
[ 심원천체 ]
||<bgcolor=white,#1c1d1f><width=25%> NGC 6709S ||<bgcolor=white,#1c1d1f><width=25%> NGC 6755S ||<bgcolor=white,#1c1d1f><width=25%> NGC 6738S ||<bgcolor=white,#1c1d1f><width=25%> NGC 6760S ||
NGC 6781N NGC 6751N NGC 6804N E 성운N
스미스 구름N W50N W51N -
S: 성단, N: 성운, G: 은하, O: 기타 천체, ?: 불명
}}}||
틀:별자리 · 독수리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uby(* 고래자리 타우, ruby=글리제71)] [ruby(*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ruby=글리제144)] [ruby(시리우스, ruby=글리제244)] [ruby(카스토르, ruby=글리제278)] [ruby(* 루이텐의 별, ruby=글리제279)]
[ruby(프로키온, ruby=글리제280)] [ruby(* 폴룩스, ruby=글리제286)] [ruby(* 볼프 359, ruby=글리제406)] [ruby(* 로스 128, ruby=글리제447)] [ruby(볼프 424, ruby=글리제473)]
[ruby(아르크투루스, ruby=글리제541)] [ruby(* 프록시마, ruby=글리제551)] [ruby(센타우루스자리 알파, ruby=글리제559)] * 글리제581 * 글리제667
[ruby(* 바너드 별, ruby=글리제699)] [ruby(베가, ruby=글리제721)] [ruby(로스 154, ruby=글리제729)] [ruby(알타이르, ruby=글리제768)] * 글리제832
* 글리제876 [ruby(포말하우트, ruby=글리제881)] [ruby(* HD 219134, ruby=글리제892)] * 글리제1132 [ruby(* WD 0806−661, ruby=글리제3483)]
틀에는 등장하지 않은 다른 천체들의 목록
외계 행성이 발견된 별은 *이 붙음
}}}}}}}}} ||

α Aql
알타이르
Altair
<nopad> 파일:external/astrologyking.com/altair-star-alpha-aquilae.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math(19h\,50m\,50s)]
적위 +8° 52′ 5.959″
별자리 독수리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A형 주계열성
분광형 A7V
거리 [math(16.7\,)][math(rm {ly})]
[math(5.13\, \pm\, 0.02\,)][math(rm pc)]
반지름 [math(1.83\, \pm\, 0.2)] 태양반경
질량 [math(1.65)] 태양질량
평균 온도 [math(7\,700\, \pm\, 800)] [math(rm {K})]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0.77
절대 등급 2.21
광도 10.6 태양광도
명칭
Altair, 53 Aql, 독수리자리 알파, α Aquila, BD+08 4236, GC 27470, HD 187642, HIP 97649, IRAS 19483+0844, 2MASS J19504698+0852060, SAO 125122[1]
1. 개요2. 상세3. 견우성?4. 매체에서5. 이름을 딴 인물

1. 개요

Altair

독수리자리알파성으로, 알테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구로부터 약 16.7 광년 떨어져 있는 A형 주계열성으로, 우주적인 관점에서 바로 옆집 수준으로 가까운 곳에 있다. 베가, 데네브와 함께 여름의 대삼각형을 형성한다.

2. 상세


파일:external/en.es-static.us/altair-800.jpg
구겨진 알타이르의 형상

매우 빠른 자전으로 인한 원심력으로 인해 적도가 크게 부풀어 올라 눌린 구의 형상을 하고 있다. 현재 주계열성 ~ 준거성 단계에 있는 별이며, 지구에서의 겉보기 등급은 0.77로, 토성과 비슷한 밝기로 관측할 수 있다.

이름의 어원은 '하늘을 나는 독수리'라는 뜻의 아랍어 "النسر الطائر"이며, 발음은 an-nasr aṭ-ṭā’ir이다. 이 말이 라틴어로 번역되고 다시 퍼지는 과정에서 뒷 단어인 aṭ-ṭā’ir만 남아 발음이 약간 해 지금의 Altair가 되었다.[2]

3. 견우성?

흔히 '견우성'으로 알려져 있지만, 진짜 견우성은 알타이르가 아니라 염소자리의 β성 다비흐(Dabih)거나 α성 알게디이며, 알타이르는 하고대성이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많다.

중국에서는 하고(河鼓)라는 별 이름을 견우성의 다른 이름으로 간주한다. 중국어 위키백과에는 견우는 본래 牛宿를 가리켰지만 후에 河鼓로 바뀌었다고 서술되어 있다. 견우가 우수(牛宿)인지 하고인지의 여부는 기원전부터 내려오는 논쟁인 듯하다. 현대 중국인들은 거의 하고(河鼓)를 견우로 생각한다고 한다. 본래 견우과 직녀는 특정 별 한 개(고대인들의 눈에 하나로 보였던 다중성 포함)를 가리키는 말이 아니고 성관(星官)을 가리킨 것이기도 하다.

알타이르=견우성을 부정하는 쪽의 주장은 이렇다. 하나는 천상열차분야지도에서 우수(牛宿)가 다른 이름인 牽牛로 나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독수리자리의 알파, 베타, 감마별이 河鼓로 나와 있다. 그런데 우수의 바로 옆에는 여수(女宿)가 있다. 이는 우수가 소를 끄는 남자, 여수가 베를 짜는 여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몇천 년이 흐르는 동안 견우란 이름 자체는 우수에서도 나타나고 하고에서도 나타난 게 현재의 결과이다. 우수를 견우라고 할 때 이 견우를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전설 속의 견우라고 봐야 할지, 아니면 일반적인 소몰이꾼 즉, 당시 농경 사회의 남성의 상징으로만 봐야 할지는 현재까지는 확실하지 않다. 견우와 직녀를 원래는 우수와 여수로 보았지만, 그 별들이 상대적으로 어두웠기 때문에 민간에서는 알타이르와 베가로 대체했다는 주장도 있다.

또 다른 주장은 저 다비흐와 알게디는 이십팔수 중 '우수'를 구성하는 별 중 하나이고, 알타이르는 우수에 딸려있는 별자리인 하고의 중심에 있는 별이나 알타이르가 너무 밝아서 비슷한 위치에 있는 두 별보다 더 눈에 띄기 때문에 견우성으로 착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과거인들은 밝은 별은 신분이 높은 사람, 어두운 별은 신분이 낮은 사람 속성을 주었다. 따라서 미천한 출신인 견우 청년은 어두운 다비흐, 높은 귀족 출신 설정인 직녀는 밝은 베가에 대입시킨 것. 반면 다비흐는 밝기 3등급으로 도시 하늘에서 겨우 보일 수준인데 알타이르는 1등성으로 쉽게 눈에 띈다. 알타이르는 그 위치가 은하수 중간에 있기 때문에 밤하늘이 깨끗하게 보일 경우 상식적으로도 견우성으로 볼 수 없다.[3] 실제 알타이르의 예전 이름 하고대성(河鼓大星)은 두 사람이 못 만나도록 가운데서 지키고 서 있는 옥황상제의 용맹한 장군 역할이었다.[4] 견우성과 직녀성의 거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어 견우직녀 이야기에 종종 끼어든다.

결국 알타이르가 아닌 다비흐가 견우가 맞다고 결론을 짓기엔 그리 간단하지 않다. 중국의 민간 설화에서는 독수리자리의 베타(중국어명 河鼓一), 감마별(河鼓三)이 견우와 직녀 사이에서 태어난 두 아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는 기원전부터 내려온 설이다.

4. 매체에서

5. 이름을 딴 인물


[1] 이외 명칭[2] 별자리의 의미로 쓰지 않고 알타이르만 따로 단어로 쓰는 경우, 그냥 '새(하늘을 나는 것)'라는 뜻이 된다.[3] 강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다는 전설과 배치되기 때문이다.[4] 원래의 역할은 장마와 태풍에 은하수의 범람을 감시하여 홍수가 올 경우 큰 북을 쳐 온누리에 알리는 역할을 하는 별이라 옛사람들은 하고대성이 밝게 빛나거나 객성이 침범하면 여름에 물난리가 날 것으로 보았다.[5] 아랍어로는 앝-타이르라고 읽으나, 영어로는 알테어가 된다. 독수리자리의 알타이르에서 따 왔는데 암살단의 상징이 독수리이기 때문이다.[6] 독수리 형태의 메카니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