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9:23:43
1. 기능의학2. 관련 기관3. 비판과 논란4. 관련 문서
[clearfix]1. 기능의학
전통의학과 기능의학의 비교 |
|
기능의학(Functional Medicine)은 환자 중심의 개인 맞춤형 치료를 강조하는 의학 분야로, 질병의 증상 완화보다 근본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는 의학이다. 만성질환 관리, 예방, 전반적인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한다.
- 1990년대 초 미국에서 제프리 블랜드 박사 등이 체계화
- 1991년 기능의학 협회(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 IFM)가 설립되며 본격화
- 2010년대 이후 한국에서는 한국기능의학연구소(KIFM) 등을 통해 확산
- 개인화: 유전자, 환경, 생활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 근본 원인 탐색: 증상 유발의 생화학적·생리학적 메커니즘을 분석
- 통합 접근: 영양, 스트레스 관리, 운동 등을 결합한 치료 계획을 수립
- 예방 강조: 질병 발생 전 조기 개입을 통해 건강을 유지
- 6~12개월 분량의 건강 설문지 작성
- 유전학적 소인, 환경 노출(독소, 감염 등),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 식이 조절(예: 저염증 식단), 보충제, 생활습관 교정 프로그램 제시
- 3~6개월 주기로 치료 효과 모니터링
1.5. 주요 적용 분야
2. 관련 기관
3. 비판과 논란
- 과학적 근거 부족: 일부 치료법이 임상연구에서 충분히 검증되지 않음
- 고비용: 정밀 검사 및 개인별 치료로 인해 경제적 부담이 큼
- 전통 의학과의 갈등: 기존 의료계에선 과잉진단을 우려를 제기하기도 한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