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22 12:20:43

김민재(씨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2대 3대 4대
이만기 이만기 장지영 이만기
5대 6대 7대 8대
이준희 이만기 이만기 이준희
9대 10대 11대 12대
이만기 이봉걸 이만기 이봉걸
13대 14대 15대 16대
이준희 이만기 이만기 이만기
17대 18대 19대 20대
김칠규 강호동 강호동 강호동
21대 22대 23대 24대
황대웅 황대웅 강호동 강호동
25대 26대 27대 28대
임용제 김정필 김정필 백승일
29대 30대 31대 32대
백승일 신봉민 백승일 이태현
33대 34대 35대 36대
김경수 김경수 신봉민 김영현
37대 38대 39대 40대
김영현 이태현 황규연 이태현
41대 42대 43대 44대
최홍만 김영현 윤정수 황규연
45대 46대 47대 48대
이슬기 윤정수 이슬기 정경진
49대 50대 51대 52대
정창조 장성복 김진 박정석
53대 54대 55대 56대
장성우 장성우 김찬영 김민재
57대 58대 59대 60대
김진 김민재 }}}}}}}}}
<colbgcolor=#ff8000><colcolor=white> 파일:천하장사 김민재.jpg
이름 김민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출생 2002년 2월 6일 ([age(2002-02-06)]세)
전라남도 장흥군
학력 구례중학교 (졸업)
여수공업고등학교 (졸업)
울산대학교 (재학)
종목 씨름
소속 영암군 민속 씨름단 (2023~ )
신체 190cm, 140kg[1]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우승 목록4. 출연 작품
4.1. 방송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씨름 선수. 체급은 백두급.

2. 선수 경력

울산대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2022년 6월, 단오장사 씨름대회에 출전해 백두장사에 올라 모래판에 파란을 일으켰다. 2022년 11월 13일에 열린 천하장사 씨름대축제에서 8강부터 결승전까지 단 1판도 내주지 않은 압도적인 실력을 뽐내며 생애 첫 천하장사에 등극했다. 대학생 신분의 선수가 천하장사 타이틀을 거머쥔 건 1985년 경남대학교에 재학하던 이만기 이후 무려 37년 만의 일이다. 2022년도 민속씨름대회에서 무패[2]를 기록했다.

대한씨름협회 인터뷰를 통해 알렸다시피 2023년부터 영암군 민속 씨름단 소속이 됐고, 1월 설날장사 씨름대회에서 생애 2번째 백두장사에 등극했다. 2월 문경장사 씨름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기세를 이어 나갔으나, 4월에 열린 평창오대산천장사 씨름대회 4강전에서 장성우에게 1:2로 패해 개인전 전승 행진에 제동이 걸렸다. 5월 보은장사 씨름대회, 6월 단오장사 씨름대회, 7월 제천의병장사 씨름대회에서 연거푸 정상에 올랐고, 10월 안산김홍도장사 씨름대회에서도 우승함으로써 2023년에 치러진 9번의 민속씨름 백두장사대회 중 무려 6번이나 석권하는그야말로 '괴물' 다운 압도적인 위용을 과시했다. 하지만 11월 19일 천하장사 씨름대축제 8강전에서 김진에게 1:2로 덜미를 잡히면서 천하장사 2연패에는 실패했다.

2024년 4월 문경장사 씨름대회에서 정상에 올라 개인 통산 8번째 백두장사 타이틀을 거머쥐었다.[3] 6월 단오장사 씨름대회에서 우승함으로써 단오대회 3연패를 달성했고, 7월 보은장사 씨름대회에서 통산 10번째 백두장사 등극이라는 쾌거를 이뤘다. 8월 삼척장사와 9월 추석장사 씨름대회에서도 백두장사에 올라 4개 대회 연속 우승으로 백두급 독주체제를 구축했다. 12월 1일 영암에서 개최된 천하장사 씨름대축제에서 천하장사를 차지하며 2024년의 대미를 장식했다.

2025년 첫 대회인 태안에서 열린 설날장사 씨름대회에서 동갑내기 라이벌인 최성민 장사를 결승전에서 3:0으로 완파하고 우승하며, 목표로 잡은 '캘린더 그랜드슬램'[4] 달성을 위한 산뜻한 출발을 알렸다. 5월 말 문경에서 열린 단오장사 씨름대회 8강에서 최성민 장사와 맞붙어 0:2로 패해 탈락하면서 캘린더 그랜드슬램은 무산되었다. 10월 추석장사 씨름대회에서 통산 14번째 백두장사 타이틀을 차지했고, 이로써 역대를 통틀어 백두장사 우승 횟수에서 김영현(13회)을 제치고 단독 3위[5]로 올라섰다.

3. 우승 목록

천하장사 (2회)
구분 대회 날짜 장소
1 2022 천하장사 씨름대축제 2022년 11월 13일 울산 작천정운동장
2 2024 천하장사 씨름대축제 2024년 12월 1일 영암 실내체육관

백두장사 (14회)
구분 대회 날짜 장소
1 단오장사 씨름대회 2022년 6월 5일 강릉 단오제행사장
2 설날장사 씨름대회 2023년 1월 24일 영암 실내체육관
3 문경장사 씨름대회 2023년 2월 27일 문경 실내체육관
4 보은장사 씨름대회 2023년 5월 23일 보은 국민체육센터
5 단오장사 씨름대회 2023년 6월 25일 강릉 단오제행사장
6 제천의병장사 씨름대회 2023년 7월 30일 제천 제천체육관
7 안산김홍도장사 씨름대회 2023년 10월 29일 안산 올림픽기념관
8 문경장사 씨름대회 2024년 4월 26일 문경 실내체육관
9 단오장사 씨름대회 2024년 6월 13일 강릉 단오제행사장
10 보은장사 씨름대회 2024년 7월 13일 보은 국민체육센터
11 삼척장사 씨름대회 2024년 8월 18일 삼척 삼척체육관
12 추석장사 씨름대회 2024년 9월 18일 고성 국민체육센터
13 설날장사 씨름대회 2025년 1월 29일 태안 종합실내체육관
14 추석장사 씨름대회 2025년 10월 8일 울주 종합체육센터

4. 출연 작품

4.1. 방송

<rowcolor=#fff> 날짜 방송사 프로그램 역할 비고
2025년
[[넷플릭스|
파일:넷플릭스 로고.svg파일:넷플릭스 로고 화이트.svg
넷플릭스
]]
피지컬: 아시아 한국팀 참가자

5. 여담

6. 둘러보기

파일:피지컬 아시아 로고(1).png
PLAYER 4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6px)"
{{{#!folding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4px -1px -11px; word-break:normal; letter-spacing:-.2px; font-size:.96em"
최종 우승자
TEAM 대한민국
김동현윤성빈아모띠김민재장은실최승연
QUEST 6: 파이널 퀘스트 탈락자
TEAM 몽골
어르헝바야르 바야르사이항 • 엥흐어르걸 바타르후 • 돌건 엥흐바트 • 라그바오치르 에르데네오치르 • 한드수렌 간턱터흐 • 아디야수렌 아마르사이항
QUEST 5: 성 점령전 탈락자
TEAM 일본
오카미 유신이토이 요시오하시모토 소이치 • 나카무라 카츠미 • 오자키 노노카와타나베 카나
QUEST 4: 배틀 로프 릴레이 + 1200kg 기둥 돌리기 탈락자
TEAM 호주
로버트 휘태커 • 에디 윌리엄스 • 엘로니 부나카세 • 돔 토마토 • 알렉산드라 밀른 • 케이틀린 반 질
QUEST 3: 팀 대표전 탈락자
TEAM 필리핀 TEAM 튀르키예
매니 파퀴아오# • 저스틴 코베니 • 레이 퀘루빈 • 마크 무겐 • 라라 리와낙 • 로빈 브라운 • 저스틴 헤르난데스 레젭 카라 • 알리 소푸오울루 • 오게다이 기리시켄 • 아늘 베르크 바키 • 네피세 카라타이 • 야세민 아다르 이잇트
QUEST 2.5: 공 뺏기 탈락자
TEAM 태국 TEAM 인도네시아
슈퍼본 • 아누차 욧판야 • 써니 케르드카오 웨초키티콘 • 제임스 루사미카에 • 자르 우라차 티라와닛산 • 플로이 누안나리 오르센 이겟스 엑서큐셔너 • 마커스 기데온# • 제레미아 라크와니 • 글렌 빅토르 • 마리아 셀레나 • 피나 필립 • 이사이 케세크
# - 중도 하차 선수 / - 대체 선수 }}}}}}}}}

[1] 실제 경기날 체중은 늘 140kg을 초과하며, 2023년 1월 설날장사 씨름대회 결승전 직전 계체량 결과 145.65kg[2] 단오장사 씨름대회 6승 + 천하장사 씨름대축제 8승[3] 민속씨름에 데뷔한 지 만 2년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 강호동의 백두장사 7회 기록을 넘어섰다.[4] 한 해 동안 4대 메이저 대회인 설날장사, 단오장사, 추석장사, 천하장사를 전부 석권하는 것[5] 현역 선수 중에서는 최다 우승자이며, 역대 1위는 이태현의 20회 2위는 이만기의 18회[스포일러] 초반에는 익숙하지 않은 방식으로 한계에 부딪혀야 하는 퀘스트 내용에 힘겨워하는 모습들이 눈에 띄었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한국 팀의 승리를 이끄는 주축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