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방침 (문서 관리 방침 · 토론 관리 방침 · 이용자 관리 방침 · 운영 관리 방침 /운영진 선출) · 편집지침 (일반 문서 · 특수 문서 · 특정 분야 (인문사회 · 과학기술 · 문화예술 · 창작물) · 등재 기준 · 표제어) |
FAQ · 도움말 (기능 · 편집 · 문법 (심화 · 수식 · 개발) · 토론 · 스킨 · 소명 · 권리침해 · 게시판) · 자주 하는 실수 · 문서 삭제식 이동 · 더미 · 다른 위키와의 차이점 |
관리자 · 중재자 · 역대 운영진 · 운영진 지원 · 운영 도움말 (관리 · 중재 · 권한) · 접근 제한 (문서 목록) · 운영회의 (시행규칙 · 안건 건의) · 임명 회의 (관리자 · 중재자) · 봇 리스트 · 투명성 보고서 · 소급 적용 규정 일람 |
분류 · 게시판 · 엔진 (업데이트) · 통계 · 데이터베이스 덤프 · 연습장 · 내 문서함 · 문서 작성 요청 |
프로젝트 · 주요 페이지 링크 · 보존문서 · 파일 · 틀 · 템플릿 |
특정 분야에 대한 편집지침(색인) | |||
인문·사회 | 과학·기술 | 문화·예술 | 창작물 |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공식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운영에 사용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문서의 수정 자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중히 문서를 편집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운영에 사용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문서의 수정 자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중히 문서를 편집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수학 분야
- 정수 문서들을 묶은 둘러보기 틀은 생성할 수 없습니다.
2. 자연재해 분야
2.1. 지진 관련 문서
2.1.1. 규모와 진도 서술 기준
모든 지진 관련 문서에서 지진의 규모와 진도 서술은 아래 규정을 적용합니다. 또한 규모를 서술할 시 어떤 규모 단위를 사용한 것인지 정확하게 표기해야 합니다.- 근대적 지진 관측 이후 지진계를 통해 관측한 지진일 경우 규모의 서술은 아래 우선순위를 따릅니다.
- 진앙이 특정국의 영토와 특정국과 접한 공해가 아닌 바다에서 일어난 지진일 경우 지진 발생국의 기상기관이 발표한 수치.
- 북한에서 발생한 지진은 대한민국 기상청이 발표한 수치를 인용합니다.
- 여러 국가가 접한 공해가 아닌 바다에서 발생한 지진 중 수치를 발표한 인근 국가 기상기관이 여럿 존재할 경우, 그 중 진앙지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지진 관측소를 보유한 기상기관이 발표한 수치를 인용합니다.
- 1순위를 확인할 수 없거나, 공해/무주지의 지진일 경우 USGS가 발표한 모멘트 규모 발표값. 모멘트 규모가 없을 경우 USGS가 발표한 기타 규모 수치.
- 1,2순위를 확인할 수 없을 경우 EMSC가 발표한 모멘트 규모 발표값. 모멘트 규모가 없을 경우 EMSC가 발표한 기타 규모 수치.
- 이외 나머지 기상기관에서 발표한 수치.
- 후순위 규모는 원칙적으로 서술하지 않으나, 본문에서 해당 기관의 지진 분석 결과를 인용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최상위 규모가 모멘트 규모가 아닐 경우, 모멘트 규모를 병기할 수 있습니다. 모멘트 규모의 우선순위는 위 우선순위를 준용합니다.
- 근대적 지진 관측 이후 지진계를 통해 관측한 지진일 경우 진도의 서술은 아래 우선순위를 따릅니다.
- 해당 지역의 기상기관이 발표한 수치.
- 1순위를 확인할 수 없을 경우 USGS가 발표한 수치.
- 1,2순위를 확인할 수 없을 경우 EMSC가 발표한 수치.
- 이외 나머지 기상기관에서 발표한 수치.
- 후순위 진도는 원칙적으로 서술하지 않으나, 본문에서 해당 기관의 지진 분석 결과를 인용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근대적 지진 관측 이전으로 지진계로 관측하지 못한 역사지진일 경우, 사료상 지진이라는 특성상 추산 규모의 오차가 매우 크므로 토론 관리 방침의 근거 신뢰성 순위 6순위 이상 연구자료 중 제일 작은 규모를 인용합니다.
3. 자동차 분야
- 특정 자동차 문서의 최상단에 올 수 있는 출시명은 해당 자동차의 생산 국가의 출시명을 우선합니다.
4. 전자기기 분야
4.1.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
4.1.1. 파생 모델 및 형제 모델에 대한 지침
- 파생 모델의 경우 본가 모델 문서에 작성을 하며 이후 한국 출시가 될 때 별도의 문서로 분리합니다.
- 정식 발매명을 공유하나 기기의 컨셉이 다른 경우[1] 파생 모델로 취급하며, 이동통신에 의해 파생된 모델이나 기기의 컨셉은 동일한 경우[2] 본가 모델과 동일한 것으로 취급합니다.
- 기기가 공개되었을 때 동일한 목적과 성격을 지닌 둘 이상의 모델로 나왔을 경우[3](이하 '형제 모델'), 한국 출시가 이루어진 경우 단독 문서를 허용하나, 한국 출시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메인 모델의 정식 발매명을 제품군으로 지칭해서 문서를 개설합니다.[4]
[1] (예시) 갤럭시 S4-갤럭시 S4 mini(소형화), 갤럭시 S5-갤럭시 S5 Active(러기드), LG G3-LG G3 A(이통사 요청) 등[2] (예시) 갤럭시 S5-갤럭시 S5 광대역 LTE-A, 갤럭시 노트4-갤럭시 노트4 S-LTE, LG G3-LG G3 Cat.6 등[3] (예시) 갤럭시 S6-갤럭시 S6 엣지, iPhone 6s-iPhone 6s Plus, 엑스페리아 Z5-엑스페리아 Z5 컴팩트-엑스페리아 Z5 프리미엄 등[4] (예시) 엑스페리아 Z5(제품군), 알카텔 IDOL 4(제품군), Lumia 950(제품군) 등[5] (예시) G6 - G6+, G7 ThinQ - G7 ThinQ+ 등[6] (예시) 엑스페리아 Z5 컴팩트, 엑스페리아 XA, Lumia 950 XL 등
4.1.2. 조건부 작성 허용 공개 전 기기에 대한 지침
- 스마트 디바이스 등재 기준에 의해 기기가 공개되지 않아도 문서 생성이 조건 부로 허용될 수 있습니다.
- 단, 기기가 형제 모델 제품군으로 나올 것이라 추정될 경우 기기 각각의 문서를 개설하지 않고 단일 문서에서 다룹니다.
- 문서 작성 허용 시기는 기기가 공개될 것으로 추정되는 X월의 1일을 기점으로 5달 전부터 자동으로 허용합니다.[7]
- 문서가 개설된 이후, 공개 전 루머를 기록할 때 필수적으로 출처 URL을 년/월/일까지 명확하게 명기하고 출처 URL을 링크로 첨부한 뒤에 해당 루머에 대해 간단히 서술합니다.
- 해당 기기가 실제로 공개될 시,
[[(기기 정식 발매명)/공개 전 루머]]
로 문서를 이동 혹은 분리합니다.
- 해당 기기가 실제로 공개되지 않을 시, 한국 시각 기준으로 다음 달 1일에 문서를 삭제합니다.[8]
- 문서가 삭제될 경우 재개설은 1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가능합니다. 단, 이 경우에도 문서 작성 허용 시기를 충족해야 작성이 허용됩니다.[9]
- 재개설 불가 기간 내에 기기가 공개되어 등재 기준을 충족할 경우 그 즉시 문서 개설이 가능합니다.
- 이때 기존 내역은
[[(기기 정식 발매명)/공개 전 루머]]
로 문서를 이동 혹은 분리합니다.
[7] (예시) '아이폰 N'이 202X년 9월 중에 공개가 될 것으로 추정. → 202X년 9월 1일을 기준으로 5달 전 날짜인 202X년 4월 1일부터 작성이 허용됩니다.[8] (예시) '아이폰 N'이 201X년 9월 중에 공개가 될 것으로 추정. → 202X년 9월 1일을 기준으로 5달 전 날짜인 202X년 4월 1일부터 문서 작성 허용. → 202X년 9월 30일이 지나도 기기 공개가 이루어지지 않음. → 한국 시각 202X년 10월 1일 0시를 기점으로 문서는 일괄 삭제.[9] (예시) '아이폰 N'이 202X년 9월 중에 공개가 될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공개되지 않아 한국 시각 202X년 10월 1일 0시에 삭제됨. → 한국 시각 202X년 11월 1일 0시부터 재개설이 가능함.
4.1.3. 애플 스마트 디바이스에 관련된 지침
- iOS, iPadOS, watchOS 기기의 사양표에 운영체제 버전을 서술할 때는 운영체제 버전을 x.y.z라 표기할 때, x만 기재합니다.
- 단, 기기 공개 당시의 최초 버전과 OS 업그레이드 종료에 따른 마지막 최종 버전은 x.y.z 전부를 반영합니다.
- 문서 상단 템플릿의 제품명 텍스트는 아래와 같은 문법을 사용합니다.
{{{{{{#333,#ddd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
- 이때, 글자 색상은 <color=\#333,#ddd>가 적용된 셀이라면, 글자 색상 지정을 해당 문법으로 대체 할 수도 있습니다.
4.1.4. 스마트 디바이스 렌더링 이미지 업로드 지침
-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에 렌더링 이미지를 올릴 때 제조사 및 이동통신사 등 기기와 관련된 공식 주체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업로드합니다.
- 단, 공식 주체가 제공한 자료를 사용하나 같은 제조사라 하더라도 기기가 다르면 제공 자료가 다르기 때문에 통합 렌더링이나 색상 별 렌더링에 대해서는 별도로 강제하지는 않습니다.
- 색상 별 렌더링 이미지를 올리는 경우 기기 공개 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만 올리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각 기기별 상황에 따라 추가로 공개된 색상 즉, 추가 색상이 나올 경우, 다음과 같이 업로드합니다.
- 추가 색상을 업로드할 경우, 펼치기 · 접기 문법을 이용해 기본 색상 밑에 추가합니다.
4.1.5.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의 둘러보기 틀
- 상위 편집지침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각 영역에 들어가는 명칭은 제조사 명칭을 제외한 기기의 정식 발매명(이하 '공식 명칭')으로 합니다.
- 대체가 가능한 공식 명칭이 존재할 경우 별도의 토론을 통해 등재할 명칭을 정할 수 있습니다.[10]
- 제조사의 공식 명칭이 길 경우, 축약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별도로 제조사가 공식적으로 사용한 축약어(이하 '공식 축약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공개 이후 4주의 기간(이하 '유예 기간')을 지난 시점부터 제조사에서 사용하지 않은 축약어(이하 '비공식 축약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유예 기간에는 공식 명칭이나 공식 축약어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비공식 축약어를 사용되고 있던 틀에 새로운 기기가 추가될 경우에도 유예 기간을 거쳐야 합니다.
- 단, 비공식 축약어를 사용하고 있던 틀에서 축약 시 브랜드 명칭을 제외하는 것이 포함될 때와 새로운 기기의 수식어가 기존 기기의 수식어와 동일하며 기존 기기가 있는 틀에 새로운 기기를 추가할 때에 한정해 브랜드 명칭을 제외하고 수식어를 축약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제조사와 브랜드가 다르고 동일한 둘러보기 틀이 아니라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 비공식 축약어 사용으로 인한 분쟁 발생 시 토론이 발제될 경우 공식 명칭 혹은 공식 축약어로 서술 고정을 합니다.
- 명칭 사용과 관련된 토론이 발제됐을 때 공식 명칭과 공식 축약어가 모두 신규 서술인 경우, 제조사 공식 채널[11]에서 사용되는 명칭으로 서술을 고정합니다.
- 단, 제조사 명칭이 포함될 경우 제조사 명칭은 제외합니다.
- 한국 시장에 출시되었거나 출시될 예정임이 확실한 기기이고 제조사의 한국 공식 사이트가 있을 경우 해당 페이지를 따릅니다. 없을 경우 영문 페이지를 따르며 이마저도 없을 경우 제조사의 국적 국가의 페이지를 우선합니다.
- 틀의 하단 영역 분할은 1행에 최대 6열까지만 가능합니다.
- 정보 전달은 분류된 틀 내에서 단 한 번의 추가 분류만 허용하며, 분쟁이 발생할 경우 별도의 토론을 진행해서 정해야 합니다.
- 공개되지 않은 기기를 표기할 때는 하이퍼 링크를
~~취소선~~
처리합니다.[12]
[10] LG Q8(2018), 갤럭시 A8 2018 에디션 등이 Q Stylus, 갤럭시 A8⑧ 등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11] 공식 사이트, 고객지원 사이트, 공식 블로그, 보도자료 등이 해당됩니다.[12] 예를 들어, '스마트폰 X'이라는 기기가 공개 전 기기로 문서가 개설되었을 경우,
~~[[스마트폰 X]]~~
와 같이 표기합니다.4.1.6.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의 사양표 카메라 표기 관련
- 싱글 렌즈일 경우 별도로 표기하지 않습니다.
- 듀얼 렌즈 이상의 개수가 모였을 경우 다음과 같이 간략히 표현합니다.
- 기본: 기본 카메라, 제조사 기준 '광각'이라 표기되었거나 별도의 표기가 없고 실질적인 메인 카메라의 역할을 하는 렌즈
- 광각: 광각 카메라, 제조사 기준 '광각' 내지 '초광각'이라 표기되었거나 실질적인 메인 카메라와는 별개로 존재하는 렌즈
- 망원: 망원 카메라, 제조사 기준 '망원'이라 표기되어진 렌즈
- 심도: ToF 센서, 3D Depth, 일반적인 심도 측정 목적 등 촬영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어지지 않고 심도 측정을 목적으로 하는 렌즈
- 컬러: RGB 컬러 카메라. 제조사 기준으로 RGB 렌즈와 흑백 모노크롬 렌즈로 구분되었을 경우 전자에 해당.
- 흑백: 흑백 모노크롬 카메라. 제조사 기준으로 RGB 렌즈와 흑백 모노크롬 렌즈로 구분되었을 경우 후자에 해당.
- 위 6가지 항목 이외의 경우로 특수하게 탑재되었을 경우 개인 기여 자격으로 적당한 용어를 선택합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시 각 문서의 토론을 통해 용어를 합의합니다.
- 제조사가 화각에 대한 표기를 별도로 했다면 이를 사양표에 기재할 것을 권장합니다.
- 구체적인 수치를 명시하지 않았다면 기재할 수 없습니다.
- 각 렌즈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상세 문단에서 표기합니다.
4.1.7.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 소프트웨어 지원 종료 서술 관련
- 소프트웨어 지원 내역을 제외한 부분에서 '현 시점 기준'을 언급하는 행위는 금지합니다.
- 마지막으로 소프트웨어 지원 내역이 있은지 햇수로 3년 이상된 기기에 한해서 문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단, 기준이 되는 기기명을 반드시 명시해야 합니다.
4.1.8. 가상 메모리 기술 서술 관련 지침
-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양 문단 내 메모리란에 가상 메모리 관련 서술 삽입을 금지합니다.
- 제조사가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가상 메모리 기술은 스마트 디바이스 문서 내 기능 문단에 서술합니다.
- 가상 메모리 기술의 공식 기술명칭과 용량을 서술하되 물리 메모리가 아닌 가상 메모리임을 명시해야 합니다.
4.2. 메모리 카드 규격에 대한 표기
- 전자 기기가 지원하는 메모리 카드 규격을 표기할 때, ? 슬롯 (x GB 공식 지원)으로 표기합니다.
- ?는 "micro SDXC"나 "UFS Card" 등의 규격을 표기하며, x는 제조사 공식 사이트에 나온 최대 지원 용량을 표기합니다. ex) 64 GB, 128 GB, 200 GB 등
- 제조사의 표기가 없다면 용량에 대한 서술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