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1 {{{#white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관계|{{{#white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관계}}}]] 관련 문서}}}}}} [[팔레스타인|]]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 이스라엘/역사, 팔레스타인/역사 | |
정치 | 이스라엘/정치, 팔레스타인/정치 | ||
외교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관계,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관계, 벨푸어 선언, 오슬로 협정 | ||
방안 | 일국 방안, 양국 방안, 삼국 방안, 영국 방안 | ||
사상 | 시오니즘, 반시오니즘, 팔레스타인 내셔널리즘, 반이스라엘주의, 반팔레스타인주의 | ||
민족 | 이스라엘인, 팔레스타인인, 유대인, 아랍인, 하레디, 이스라엘 아랍인, 이스라엘 무슬림 | ||
관련 단체 | 이스라엘 리쿠드팔레스타인 PLO, 파타, 하마스, PIJ, PFLP, 인민당, DFLP | ||
관련 인물 | 이스라엘 골다 메이어, 이츠하크 라빈, 아리엘 샤론, 베냐민 네타냐후팔레스타인 야세르 아라파트, 마흐무드 압바스, 이스마일 하니예, 야히야 신와르 | ||
관련 사건 | 중동전쟁, 이스라엘 건국 전쟁, 나크바, 수에즈 전쟁, 6일 전쟁, 소모전(중동), 민항기 납치 및 테러(엘알 426편, 엘알 253편, 엘알 432편, 트랜스 월드 840편, PFLP 동시다발 하이재킹 사건, 사베나 571편, 엔테베 작전), 검은 9월, 뮌헨 올림픽 참사, 1973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욤 키푸르 전쟁, 레바논 내전, 골란 고원 분쟁, 제1차 인티파다, 제2차 인티파다,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철수, 파타-하마스 분쟁, 가자 전쟁(2008-2009, 2012, 2014, 2021),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 2023년 알아크사 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
기타 | 서동시집 관현악단 |
1차 중동전쟁 후 고향을 떠나 레바논과 요르단 등지로 떠나는 팔레스타인 주민들
1940년대 팔레스타인에 유입되는 유대 난민들. '독일인들이 우리 가정과 집을 파괴했다. 우리의 희망을 파괴하지 말라'라는 문구를 내걸었음에도 역설적으로 후일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인들을 고향에서 내쫓고 집을 파괴한다.
1. 개요
النَّكْبَة (앗나크바)나크바는 원래 대재난이란 뜻의 아랍어 단어지만 1948년 5월 15일 이스라엘 건국으로 인한 팔레스타인 주민의 실향과 이산의 고통을 뜻한다.(연합뉴스) 유엔에서 지정된 기념일인 나크바의 날이 이를 기린다.(한국일보) 나크바 데이
2. 역사
자세한 내용은 제1차 중동전쟁 문서 참고하십시오.(알 자지라)Voices of the Palestinian diaspora: Nakba is an open wound
약 750,000명의 팔레스타인인들이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의 독립 선언 전후에 강제로 고향 마을과 마을에서 쫓겨나는 디아스포라가 발생했다.
이후 미국에서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대사관 이전 계획을 밝히자 아랍권에서 ‘제2의 나크바’로 받아들이면서 강하게 반발했다.
3. 유엔의 나크바의 날 행사 기념
UNGA acknowledges the Nakba for the first time ever - Al Jazeera |
(출처 연합뉴스)유엔 첫 '나크바의날' 기념…팔 수반 "이스라엘 회원자격 정지"
(출처 한국일보)75년째 흘리는 팔레스타인의 눈물…유엔서 '대재앙의 날' 첫 추모
2022년 유엔 총회 결의안으로 유엔이 처음 참여하는 나크바의 날 행사 개최를 촉구하는 결의안이 찬성 90표, 반대 30표, 기권 47표로 유엔총회를 통과했다.(한국일보)
유엔 총회 결과에 따라 75주년이 되는 2023년 유엔에서 처음 열리게 됐다.
처음으로 열린 나크바 기념 행사에서 팔레스타인을 비롯한 아시아, 아프리카, 중앙아메리카, 남미, 중동의 여러 국가와 아프리카 연합, 아랍 연맹 회원국 대표단이 이 행사에 참석했으며 미국은 유엔의 반유대주의가 만연하다고 주장하며 불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