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06:10:19

엘알 253편 테러 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תקיפת מטוס אל על באתונה
El Al Flight 253 attack
الهجوم على العال رحلة 253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colcolor=#000000,#dcdcdc> 발생일 1968년 12월 26일
유형 테러, 총기난사
발생 위치 아티키아테네
기종 B707-358B
운영사 엘알
기체 등록번호 4X-ATR
출발지 텔아비브 국제공항
경유지 엘리니콘 국제공항
도착지 케네디 국제공항
탑승인원 승객: 41명
승무원: 10명
사망자 승객: 1명
생존자 승객: 40명
승무원: 10명

1. 개요2. 사고 진행3. 사고 이후
3.1. 이스라엘의 보복

[clearfix]
파일:gq436.png
테러로부터 3년 뒤 파리 오를리 공항에서 촬영된 사고기의 사진.

1. 개요

1968년 12월 26일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산하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에 의한 총기난사 테러로 이스라엘인 탑승객 한 명이 사망한 사건.

2. 사고 진행

두 테러범은 올림픽 항공기를 타고 카이로에서 아테네에 도착했다. 253편이 이륙을 준비할 때 테러범들은 라운지를 벗어나 비행기를 향해 총기난사를 시작했다. 1분여간의 난사 동안 2개의 수류탄이 폭발했으며 동체를 관통한 총알에 승객 1명이 맞아 사망했다.
파일:ly253.jpg
▲ 난사 이후, 4번엔진에서 바라본 사고기.

3. 사고 이후

이후 두 테러범은 그리스 당국에 의해 체포당했으며 17년 5개월 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던 중 팔레스타인의 또다른 하이재킹이 발생했는데 인질 교환 대가로 테러범들의 석방을 요구하면서 불과 4개월 만에 석방되었다. 이후 테러범의 리더는 전과를 지우고 캐나다에서 살다가 2013년 레바논으로 추방당했고 2015년 암으로 사망했다.

사고기는 수리해 현역으로 복귀하였으며 이후 KC-135 부품공급용으로 해체되었다.

3.1. 이스라엘의 보복

{{{#!wiki style="color: #0038b8;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0038b8> 제1차 중동전쟁
1948 ~ 1949

제2차 중동전쟁
1956
제3차 중동전쟁
1967
소모전
1967 ~ 1970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PLO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68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1968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973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1973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PLO 파일: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jpg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제4차 중동전쟁
1973
엔테베 작전
1976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공군
파일: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jpg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독일 혁명분파
오시라크 원자로 공습
1981
레바논 내전
1975 ~ 1990
러시아-이스라엘 공중전
1996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여름비 작전
2006
2006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06
과수원 작전
2007
2008-2009년 가자 전쟁
2008 ~ 2009
시리아 내전
2011 ~ 현재
2012년 가자 전쟁
2012
2014년 가자 전쟁
2014
2021년 가자 전쟁
2021
2023년 제닌 공습
2023
2023 - 2024년 이스라엘 위기 <colbgcolor=#0038b8>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 ~
이스라엘-이란 분쟁
2024
이스라엘의 예멘 공습
2024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24 ~
}}}}}}}}}

불과 이틀만에 이스라엘은 기프트 작전(Operation Gift)이라는 이름 하에 8대의 헬기에 특수부대 사예렛 마트칼의 부대원들을 태워 베이루트 국제공항을 습격해 주기되어 있던 항공기 14대를 폭파시켰다.[1] 당시 레바논이 테러의 주범인 PFLP를 지원했다는 의심은 받고 있었지만, 레바논이 테러를 지원하였다는 근거는 없었기에 안보리에서도 결의안을 채택할 정도로의 큰 논란을 일으켰다.
파일:od-afc.jpg
▲ 폭파된 중동항공 소속 보잉 707[2]

[1] 중동항공 소속 8대[3], 레바논 국제 항공 소속 4대[4], TMA 카고 소속 2대[5].[2] 등록번호 OD-A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