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5 21:51:24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시리아 내전|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내전
파일:시리아 국기.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808080,#555><colcolor=#fff> 경과 시리아 민주화 운동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원인과 분석 시리아 내전 발발 원인 · 분석과 전망
주요 세력 시리아 정부 파일:시리아 국기(1980-202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시리아 바트당 (시리아 아랍군)
시리아 공화국 수비대 · 국가방위대 · 알 아바스 여단 · 아사드 충성파 (시리아 해방 군사 위원회 · 시리아 인민저항군 · 해안방패여단)
지원세력 | 러시아 연방군 · 바그너 그룹 · 이란군 (이슬람 혁명 수비대) · 헤즈볼라 · 인민동원군 (카타이브 헤즈볼라 · 하라카트 헤즈볼라 알누자바) ·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 (팔레스타인 해방군 · 알 쿠드스 여단)
파일:시리아 사회민족당기.svg 시리아 사회민족당 (누수르 알자우바)
시리아 이슬람 저항 전선
자유 시리아군[A] 파일:시리아 국기.svg 남부 전선남부 작전실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과도정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자유군
지원세력 | 미군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임시정부 (시리아 국민군)
지원세력 | 튀르키예군
쿠르디스탄 파일:로자바 상징기.svg 로자바 (시리아 민주군)
셀주크 여단 · 순교자 누바르 오자냔 여단 · 여성방위대 · 인민방위대 · 북부민주여단 · 라카 혁명여단 · 혁명주의자군 · 유프라테스 자라불루스 부대
지원세력 | 합동임무군 - 내재된 결단 작전
드루즈 파일:Civil flag of Jabal ad-Druze (1921-1936).svg 수와이다 군사위원회
알카에다 파일:알누스라 전선 깃발(2016-2017).svg 알누스라 전선[2]파일:시리아 구국정부 깃발.svg 시리아 구국정부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아즈나드 알카우카즈 · 튀르키스탄 이슬람당 시리아 지부
파일:후라스 알딘.png 후라스 알딘
이슬람 전선[A] 파일:아흐라르 알 샴 기.svg 아흐라르 알 샴[B]
파일:Jaysh_Al_Islam_white_flag.svg 자이쉬 알 이슬람[B]
IS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전투 목록 2011년 홈스 전투
2012년
2013년 알레포 전투
2014년 코바니 포위전 · 데이르에조르 포위전
2015년
2016년 팔미라 전투
2017년
2018년 하샴 전투
2019년 알바구즈 전투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3년 북동시리아 분쟁
2024년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알레포 전투 · 다마스쿠스 함락) · 동알레포 공세 · 자유의 새벽 작전
2025년 아사드 충성파의 반란 · 수와이다 분쟁
전쟁범죄 훌라 학살 · 구타 화학 무기 공격 참사 · IS의 해외 민간인 납치 살해 · IS의 요르단 조종사 분살 사건
사건사고 한국 청소년 이슬람 국가 가담 사건 · 2015 러시아 공군기 Su-24 격추사건 · 2023년 홈스 드론 공격 ·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외국의 개입 미국의 역할 · 러시아의 개입 · 헤즈볼라의 역할 · 대IS 군사 개입 · 2019년 튀르키예 쿠르드 침공 · 케일라 뮬러 작전 · 이스라엘의 공습 ·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 자유의 새벽 작전 · 이스라엘의 침공
관련 창작물 논스톱: 다마스커스 타겟 · 사마에게
기타 난민과 참상 · 유럽 난민 사태 · 화이트 헬멧 · 통 폭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nt-size: 0.90em"
{{{#!folding [ 각주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A] 2015년부터 여러단체로 분열.[2] 2016년 알카에다와 절연.[A] [B] 세력 약화 이후 일부 또는 전체가 시리아 국민군에 편입.[B]
}}}}}}}}} }}}}}}}}}

{{{#!wiki style="color: #0038b8;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0038b8> 제1차 중동전쟁
1948 ~ 1949
제2차 중동전쟁
1956
제3차 중동전쟁
1967
소모전
1967 ~ 1970
1968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1968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973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1973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PLO 파일: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jpg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제4차 중동전쟁
1973
엔테베 작전
1976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공군
파일: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jpg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독일 혁명분파
오시라크 원자로 공습
1981
레바논 내전
1975 ~ 1990
러시아-이스라엘 공중전
1996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여름비 작전
2006
2006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06
과수원 작전
2007
2008-2009년 가자 전쟁
2008 ~ 2009
이스라엘의 시리아 공습
2011 ~ 현재
2012년 가자 전쟁
2012
2014년 가자 전쟁
2014
2021년 가자 전쟁
2021
2023 - 2025년 중동 위기 <colbgcolor=#0038b8>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 ~
이스라엘-이란 분쟁
2024 ~
홍해 위기
2024 ~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24 ~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2024 ~
}}}}}}}}}
바산의 화살 작전
מבצע חץ הבשן
Operation Arrow of Bashan
날짜
2024년 12월 8일 ~ 진행 중
(침공 개시일로부터 [dday(2024-12-08)]일)
장소
골란 고원, 쿠네이트라, 리프디마슈크 주 일부[1]
시리아 전국의 구 시리아 아랍군 군사시설
원인
이스라엘과 베냐민 네타냐후의 영토 확장 야욕
아사드 정권 붕괴에 의해 수립된 시리아 신정부에 대한 이스라엘의 불신
시리아 내의 드루즈족에 대한 이스라엘 지지층 확대
교전국 및 교전세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시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시리아}}}{{{#!if 출력 != null
시리아 과도정부}}}}}}]]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시리아 과도정부}}}}}}]]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시리아 과도정부}}}}}}]]
[2]
수뇌부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카츠[3]
헤르지 할레비[4]
타미르 야다이[5]
다비드 살라마[6]
토메르 바르[7]
코비 샤브타이[8]
이타마르 벤그비르[9]
로넨 바[10]
아흐메드 알샤라
무르하프 아부 카르사[11]
무함마드 알바시르[12]
바샤르 알아사드[13]
병력
이스라엘군 시리아군
남부 작전실
시리아 아랍군[14]
피해
없음 민간인 6명 이상 사망, 여러 명 체포 다수의 육해공 시설 및 자산 파괴
결과
이스라엘의 골란 고원 점령
이스라엘의 헤르몬 산 점령
시리아 아랍군 군사장비 전손

1. 개요2. 상세3. 전개
3.1. 침공 이전3.2. 2024년
3.2.1. 12월 8일3.2.2. 12월 10일3.2.3. 12월 11일3.2.4. 12월 12일3.2.5. 12월 13일3.2.6. 12월 15일3.2.7. 12월 16일3.2.8. 12월 20일
3.3. 2025년
4. 반응
4.1. 미국4.2. 시리아4.3. 사우디아라비아4.4. 아랍 연맹4.5. 요르단4.6. 유엔4.7. 이라크4.8. 이집트4.9. 카타르4.10. 튀르키예4.11. 파키스탄
5. 둘러보기

1. 개요

2024년 시리아 내전에서 아사드 정권이 몰락하자, 이스라엘이 1974년 시리아와의 국경협정의 무효를 선언하며 골란 고원 전체 합병 및 시리아의 비무장화[15]를 명분으로 침공하면서 벌어지게 된 충돌.

2. 상세

욤 키푸르 전쟁 이후 50년 만에 이스라엘군이 이스라엘-시리아 국경을 넘었으며 1974년 국경협정으로 철군하여 유엔 교전중지 감시군에 넘겨주었던 쿠네이트라 주를 점령하기 시작했다. 또한 골란 고원 DMZ 너머에 있던 헤르몬 산[16]까지 진격해 무혈 점령했다.

한편 이스라엘 공군은 신생 시리아 정부 또는 ISIS 잔당 등 극단주의 반군이 전략 자산을 접수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기존에 이스라엘이 파악한 미사일 전력, 공격헬기, 방공망, 탄약고, 화학무기 시설 등의 거의 모든 군사시설들에 대한 대대적인 전략 폭격을 감행하였다. 이미 구 시리아 아랍군은 항복한 상황이기에 폭격은 무저항으로 진행되었으며 작전은 아직 진행 중이긴 하나 작전 개시 2일차 만에 시리아 공군, 해군, 방공군의 모든 자산을 파괴했다는 잠정적 작전 성공을 보고했다. #

이러한 이스라엘의 전방위적 공격에 대해 신생 시리아 과도정부는 아직까지 교전을 포함한 어떠한 별다른 대응도 하지 않고 있다. 이는 이스라엘의 침공에 규탄하기에는 HTS 입장에서 논리적 하자가 있기 때문이다. HTS를 지원하는 튀르키예는 쿠르드족 반군을 소탕한다는 명분으로 이스라엘보다 몇십 배나 더 넓은 시리아 영토를 점령 중인데# 그런 튀르키예는 비난하지 않으면서 이스라엘의 영토 강점을 비판하기에는 명분이 부족하다는 것.

설령 이스라엘의 침공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들 HTS는 이스라엘을 격퇴할 수 있는 수준의 군사력도 없다.[17] 거기다 이스라엘과 전면전에 돌입한다면, 아직까지 토벌하지 못한 알 아사드 잔당은 물론, 이미 토벌된 줄 알았던 ISIS 잔당이 부활할 위험도 존재한다는 것도 문제다. 그러다보니 과도정부 입장에선 군사적 반격 대신 튀르키예와 힘을 합쳐 시시비비를 가리는 외교 분쟁으로 풀어내려고 한다.

3. 전개

3.1. 침공 이전

3.2. 2024년

3.2.1. 12월 8일

3.2.2. 12월 10일

3.2.3. 12월 11일

3.2.4. 12월 12일

3.2.5. 12월 13일

3.2.6. 12월 15일

3.2.7. 12월 16일

3.2.8. 12월 20일

3.3. 2025년

4. 반응

4.1. 미국

4.2. 시리아

4.3. 사우디아라비아

4.4. 아랍 연맹

4.5. 요르단

4.6. 유엔

4.7. 이라크

4.8. 이집트

4.9. 카타르

4.10. 튀르키예

4.11. 파키스탄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1959a6> 파일:1000005709.svg 베냐민 네타냐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1959a6><colcolor=#fff>생애<colbgcolor=#fff,#1f2023>생애 · 네타냐후 내각(27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37대)
평가 평가
가족 요나탄 네타냐후
이념 시오니즘
소속 리쿠드
사건사고 가자 전쟁,2012년 · 2014년 · 2021년, · 시리아 공습 ·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 · 이스라엘 사법개혁 반대 시위 · 2023년 알아크사 분쟁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2024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이란 공습,4월 · 10월,) · 이스마일 하니예 암살 사건 · 예멘 공습 · 레바논 및 시리아 무전호출기 테러 · 레바논 공습 · 3차 레바논 전쟁 · 시리아 침공
역대 선거 제24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 · 제25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
관련 정치인 나프탈리 베네트 · 야이르 라피드 · 마흐무드 압바스 · 이스마일 하니예 · 야히야 신와르 · 하산 나스랄라 · 알리 하메네이 · 조 바이든 · 도널드 트럼프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

[1] 이스라엘이 점거한 헤르몬 산과 인근지역은 시리아 행정구역 상 리프디마슈크 주에 속한다.[2] 이스라엘이 공습을 가하는 시점에는 이미 알아사드 정권이 붕괴하여 바트주의 시리아 자체는 공습 이전에 멸망했다.[3] 이스라엘 국방장관[4] 이스라엘군 총참모장[5] 이스라엘 육군 사령관[6] 이스라엘 해군 사령관[7] 이스라엘 공군 사령관[8] 이스라엘 경찰청장[9] 이스라엘 국가안보부장관[10] 신 베트 국장[11] 시리아 과도정부 국방장관. 4월 이후 과도정부에서 총리직은 폐지되었다.[12] 시리아 과도정부 전 총리 ( ~2025.03.29.)[13] 이스라엘의 공격 시점에 러시아로 도주하여 실질적으로 공석[14] 바샤르 알 아사드의 도주와 군부의 항복으로 실질적으로 비무장 상태지만 이스라엘의 집중적인 폭격을 당했다.[15] 처음엔 무방비하게 방치될 각종 전략 자산의 제거를 명분으로 세웠으나, 이내 레바논 헤즈볼라와 신생 시리아 정부의 신속한 재무장을 차단하는 것으로 확대했다.[16] 헤르몬 산은 골란 고원보다 고도가 높아 그동안 헤즈볼라와 이란에게 이스라엘이 탐지할 수 없는 레이더 음영지대를 제공했다. 헤르몬 산을 점령함에 따라 이스라엘은 레바논과 시리아 다마스쿠스 일대를 동시에 감시할 수 있는 천혜의 감제고지 겸 자연요새를 얻게 되었다.#[17] 무엇보다 알 아사드 정권의 붕괴 과정에서 이스라엘 공군에게 위협이 될 시리아 내 모든 방공 자산들이 박살난 게 치명적이었다. 덕분에 이스라엘 공군의 간헐적인 군사 작전 및 전략 폭격을 수시로 맞아도 아무런 반격을 못하고 있다.[18] 하페즈 알아사드의 막내 아들로, 시리아 내전 당시 4기갑사단을 지휘했다. 바샤르 알아사드 정부가 붕괴하자, 구 시리아군을 이끌고 이라크로 망명했다.[19] 시리아 과도정부 측도 이 시나리오의 실현을 위해 제3차 중동전쟁 패전 후 일부러 용납하지 않던 이스라엘 령 골란고원을 공식적으로 인정할 수 있다는 우호적인 입장을 선언하기도 했다.[20] 물론 드루즈파 중에서 이스라엘과의 지나친 결탁을 반대하는 부류도 있어, 이스라엘의 공습이 개시된지 얼마되지 않아 과도정부를 인정하며 흡수 통합을 선언하기도 했으나, 반대로 이스라엘에 우호적이면서 과도정부를 극도로 불신하는 민병대 계열 부류는 그 선언을 거부하며 무장 투쟁을 지속하는 등 분열 양상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거기다 뜬금없게도 이스라엘에 거주하던 약 수천명의 드루즈파 이스라엘인들이 이스라엘 국경수비대의 방관 하에 집단으로 골란 고원을 통해 시리아 남부로 월경하는 사건이 발생해 현재 드루즈 주민 중에 이스라엘 사람들이 뒤섞여버린 지경까지 가버렸다.[21] 정작 튀르키예는 오래 전부터 쿠르드족 견제 및 시리아 반군의 핵심 지원국이었으며, 아사드 정권 붕괴 직후부턴 시리아 통일을 구실로 아예 로자바에 대한 본격적인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