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5 17:08:09

시리아 내전/미국의 역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808080,#555><colcolor=#fff> 경과 시리아 민주화 운동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원인과 분석 시리아 내전 발발 원인 | 분석과 전망
주요 세력 시리아 정부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 (시리아 아랍군)
지원세력 | 러시아 연방군 · 이란군(이슬람 혁명 수비대) · 헤즈볼라
자유 시리아군[A] 파일:시리아 국기.svg 남부 전선
파일:시리아 국기.svg 마그하웨이 알타우라
지원세력 | 미군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임시정부 (시리아 국민군)
지원세력 | 튀르키예군
이슬람 전선[A] 파일:아흐라르 알 샴 기.svg 아흐라르 알 샴
레반트 해방위원회 파일:알누스라 전선 깃발(2016-2017).svg 알누스라 전선파일:시리아 구국정부 깃발.svg 시리아 구국정부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과도정부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쿠르디스탄 파일:로자바 상징기.svg 로자바 (시리아 민주군)
셀주크 여단 | 순교자 누바르 오자냔 여단 | 여성방위대 | 인민방위대
ISIL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주요 전투 홈스 전투 | 알레포 전투 | 데이르에조르 포위전 | 코바니 포위전 | 팔미라 전투(2016~2017) | 하샴 전투 | 알바구즈 전투 | 2023년 북동시리아 분쟁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알레포 전투(2024년) | 다마스쿠스 함락)
전쟁범죄 훌라 학살 | 구타 화학 무기 공격 참사
사건사고 2015 러시아 공군기 Su-24 격추사건 | 2023년 홈스 드론 공격 |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외국의 개입 미국의 역할 | 러시아의 개입 | 헤즈볼라의 역할 | 대IS 군사 개입 | 2019년 튀르키예 쿠르드 침공 | 이스라엘의 공습 | 자유의 새벽 작전 | 이스라엘의 침공
관련 창작물 논스톱: 다마스커스 타겟 | 사마에게
기타 오해 | 난민과 참상 | 유럽 난민 사태 | 화이트 헬멧 | 통 폭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nt-size: 0.90em"
{{{#!folding [ 각주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A] 2015년부터 여러단체로 분열[A] 2015년부터 여러단체로 분열
}}}}}}}}} }}}}}}}}}

1. 개요2. 교전 목록

[clearfix]

1. 개요

시리아 내전에서 미국의 역할을 다룬 문서.

미국은 시리아 내전에서 자유 시리아군을 지원하고 바트주의 시리아 정권을 규탄했지만, 내전에 직접 개입하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데, 안보리에서는 미국이 시리아 관련 안건을 꺼낼 때마다 중국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하였고, 자유 시리아군은 통합된 지휘부가 없어서 취약했던 데다가 일부는 이슬람주의에 빠지는 등 골칫덩어리가 되어버렸으며, 만약 미군이 섣불리 바샤르 알아사드를 축출해 버린다면 붕괴 후 혼란기를 제대로 수습 못 해 결국 이라크 전쟁 때와 똑같은 전철을 밟게 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요인으로 미군은 공식적으로 시리아 내전에 개입하지는 않았으며, 2014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라는 희대의 막장 테러단체가 등장하자 대IS 군사 개입을 명목 삼아 군을 시리아 동남부(알탄프) 및 쿠르디스탄에 파병 보낸 정도가 다였다. 그 과정에서도 바트주의 시리아 정부군과의 접촉은 최대한 삼갔고, 부득이하게 교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소규모 충돌에 그치는 수준이었다. 물론 ISIS에 대한 격퇴전은 매우 활발히 수행했기에, 초대 수장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를 사살하는 등 ISIS의 세력을 약화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미국의 자유 시리아군 지원은 2018년까지 지속되었지만, 도널드 트럼프의 집권 이후 종료되었다. 한편, 미군의 ISIS 격퇴전을 도운 쿠르디스탄(시리아 민주군)도 목적이 달성된 이후부턴 사실상 버려졌으며, 이는 2019년 튀르키예 쿠르드 침공을 초래했다.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로 인한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의 축출 이후에도 미군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 않다.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한 도널드 트럼프는 해외 개입에 부정적인 만큼 시리아 문제는 미군 없이 현지인들이 알아서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2. 교전 목록

2.1. 구 시리아 정부군

2.1.1. 2014년

시리아 정부군의 다량의 화학무기 사용이 보고되자, 오바마 행정부는 시리아 정부군을 공격 할 것을 지시하였다.
하지만 중국, 러시아와 교황청의 반대로 공격 미수에 그치고 한다.

2.1.2. 2018년

바샤르 알아사드가 화학무기 사용을 지속하자 열받은 도널드 트럼프는 영국, 프랑스와 함께 화학 무기 시설을 직접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많은 반대의견에도 불구하고 시리아 폭격은 성공했으나, 이후에도 시리아 정부군은 여전히 화학 무기를 사용했다.
이로써 시리아 정부군 6명이 사망하고 민간인 3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러시아와 이란은 이 공습에 대하여 비난하였다.

2.2. 이란

2.2.1. 2023년 북동시리아 분쟁

시리아-이란과 미군간 분쟁이며, 미군 1명이 이란 드론에 사살되자, 이에 분노한 미국 정부와 동료들이 이란에게 보복 대응하여 완벽한 미국의 승리로 끝나게 된다.

2.3. ISIS

2.3.1. 2014년

미국은 대IS 군사개입을 발표하여 시리아 내에 있는 ISIS 퇴치 명분으로 서방 국가들과 일부 아랍연맹 회원국과 함께 시리아에 군사개입을 선언했다.
미군알탄프를 거점으로 삼아 마그하웨이 알타우라라는 현지인으로 구성된 무장 조직을 육성했다.
또한, 미군은 시리아 민주군(쿠르드)과 협력하며 ISIS 격퇴에 힘썼다.

2.3.2. 2019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 문서
3.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초대 ISIS 지도자인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를 사살했다.

2.3.3. 2024년

다마스쿠스 함락으로 바트주의 시리아 정권이 축출되자, 권력 공백의 혼란을 틈타 ISIS가 다시 세력을 키우는 것을 막기 위해 ISIS 거점 여러 곳에다가 폭격을 가했다.

2.4. 기타

2.4.1. 하샴 전투

바그너그룹과 시리아 정부군, 그리고 미군과 시리아 민주군간 분쟁을 말한다. 냉전 이후로 처음으로 미군과 러시아의 군사조직이 맞붙은 사건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