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6 21:03:49

서울서체

남산체에서 넘어옴
파일:윤디자인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폰트 목록
문서가 있는 서체
윤고딕 윤명조 서울서체
청소년체[1] 함초롬체

[1] 윤디자인그룹과 업무 협약 #
}}}}}}}}} ||
<colbgcolor=#333><colcolor=#fff> 서울남산체 / 서울한강체
SeoulNamsan / SeoulHangang
파일:서울서체.png
분류 돋움 / 바탕
제작 윤디자인
출시 2008년 7월 15일
활자 가족 서울남산체 L/M/B/EB
서울남산체 세로쓰기
서울남산 장체 L/M/B/EB/BL
서울한강체 L/M/B/EB
서울한강 장체 L/M/B/EB/BL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평가3. 사용 예시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가 기획, 윤디자인이 제작하고 배포하는 공개용 글꼴.

2007년 10월 3개의 글꼴 모양 중 하나를 시민 투표를 통해 결정하였다. 이때 현재 글꼴로 선정된 2번 후보의 이미지를 보면 서울남산체에서 ㅅ, ㅈ, ㅊ자의 비대칭이 존재하지 않는데, 아마 이 이후에 추가된 듯하다. 그 외에는 현재 글꼴과 거의 유사하다. 그리고 2008년 5~7월 즈음부터 공공시설물에 적용됨과 동시에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2010년 이후 기존의 08서울서체를 개량한 서체를 내보냈고,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08서울서체는 비트맵 환경에서 픽셀이 더러워지는 경향이 있는데, 상대적으로 현용 서울서체는 그것이 고쳐진 편이다.

서울남산체와 서울한강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글자 굵기에 따른 베리에이션(L/M/B/EB)과 가로폭을 줄인 장체(L/M/B/EB/BL), 서울남산체 한정으로 세로쓰기 전용 글씨체가 있다.

2. 평가

무난하고 범용성 높은 글씨모양과 특별한 허가절차 없이 누구나 무료로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넓은 저작권을 갖고있다. 물론 폰트를 유료로 양도하거나 판매하는 등 상업적 행위는 금지된다. 다만 다산콜센터를 통해 확인해본 결과 개인은 물론 기업에서도 WOFF, EOT 등으로 변환하여 상업(영리) 목적으로 서울서체를 웹폰트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말 그대로 폰트 파일 자체를 유료로 양도하거나 판매하는 행위만 빼고 모두 허용되는 셈이다.

덕분에 서울시 및 산하기관, 서울시교육청, 서울교통공사서울시메트로9호선은 물론이고 타 지방자치단체, 중앙정부기관,[1] 심지어 민간기업(영세점포 포함)[2]조차 이 글꼴, 특히 서울남산체를 쓰는 경우가 꽤 흔하다.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기업이 별도의 라이선스를 얻거나 폰트 로열티를 지불하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이들에게는 큰 장점이다. 국외에서도 한국인들에 의해 입소문을 타기 시작하면서 2016년 중반까지 심지어 삿포로 시청 한국어 홈페이지에서 사용하다가 담당자가 바뀌면서 돈을 거하게 썼는지 2016년 후반에 리뉴얼되어 사라지고 말았다.

이 글꼴은 현재는 사실상 서울특별시를 상징하는 것들 중 하나가 되었다.

남산체의 범용성과 인기에 밀려 상대적으로 주목을 못 받지만 한강체도 나름대로 입지가 탄탄한 편이다. 여러 예쁜 글씨체가 나와있는 돋움계열 서체들과 달리 동글동글해서 딱딱한 느낌이 덜한 하이브리드형 명조서체는 서울한강체 말고 없다시피 하기 때문이다. 렉시새봄이나 리디바탕이 있지만 레귤러 굵기밖에 없어서 활용이 제한적이다. 애초에 명조라는 계열 자체가 격식 차리는 서체긴 하지만 그래도 디자인을 하다 보면 고딕과 명조 사이의 그 어딘가가 필요하게 마련인데 이런 경우 서울한강체는 거의 유일한 선택지일 수밖에 없다. 이런 인기를 반영하듯 처음에는 볼드 서체를 지원하지 않던 서울한강체도 2010년대 들어 B와 EB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특기할 점은 서울서체는 폰트 개발과정에서 실험적인 과정을 거친 글꼴이란 것이다. 돋움체와 명조체를 동일한 원도를 기반으로 개발하는 과정을 시도한 것인데 ㅎ, ㅊ에서 윗부분의 곡선이 한강체와 남산체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것에서 짐작할 수 있다. 서울서체 프로젝트가 나름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자 다른 글꼴 디자인 업체도 이를 벤치마킹 하기도 한다는 모양이다.

다만 가독성 측면에서 서울서체는 생각보다 좋지 못하다. 심미성 위주의 설계 때문에 단어, 문장 단위로는 보기 좋을지도 모르지만 서체 자체가 세로로 길고 글자마다 크기가 들쭉날쭉해서 문단, 글 수준이 되면 나눔고딕, 맑은고딕, 일반 명조체 등 다른 글꼴들보다는 가독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인쇄·배포용 위주로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것이라 클리어타입 적용 시스템에서나 인터넷용 글꼴로 쓸 때도 은근히 위화감이 느껴지는 편이다. 때문에 특히 어르신들에게 불호가 심하다. 일설에 따르면, 위에 써진 대로 돋움체와 명조체를 동일한 원도를 기반으로 개발하다보니 같이 딸려온 부작용이라고 한다. 다만 스마트폰 글꼴로 사용할 경우 안티앨리어싱이 확실히 되는 편이라 그나마 낫다고 한다.

또 다른 문제점 중 하나는 중국의 간체자나 일본의 신자체 한자를 제대로 지원하지 못한다는 점이다.가나, 한자가 못봐줄 정도로 이상하다.서울시의 공식 서체라면 지하철이나 공공시설 등에서 중국어, 일본어 표기도 담당해야 하는데 이게 안 되니 번거로움을 감수하고 별도 서체(보통 각 언어별 윈도우 기본 폰트)를 조합하여 쓰는 수밖에 없다. 특히 서울 스스로 정한 중국어 표기인 '首尔'조차 서울 공식서체로 표기하지 못한다는 것은 좀 심각한 문제다. 首尔을 首尔이라 표기하지 못하고

윈도우 환경에서 서울서체를 수동 설치할 경우 제어판-글꼴에서 보면 폰트들이 같은 패밀리 (예)서울남산체) 안에서 서울남산체 가늘게, 서울남산체 보통, 서울남산체 굵게, 서울남산체 아주 굵게, 서울남산체 좁고 굵게 같은 식으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SeoulNamsan B 보통, SeoulNamsan EB 보통, SeoulNamsan CB 보통 같이 서로 다른 패밀리의 글꼴로 인식된다.
08서울남산체 한정으로 전각 원화 기호(₩; U+FFE6)를 쓸라치면 뜬금없이 전각 백슬래시(\\)로 렌더링되는 버그가 있었다. 일반 원화 기호(₩; U+20A9)는 제대로 렌더링되었지만 ㄹ 누르고 한자 키 눌러 변환하면 전각 원화 기호로 변환되었기 때문에 08서울남산체로 원화 기호를 써야 할 때 이 점 때문에 불편했다. 이 문제는 개량판 서울남산체에서 수정되었다.

3. 사용 예시

아는형님 이름표의 서체도 서울남산체이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파일:오세훈-투명.svg오세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61e2b> 생애 생애 · 서울시정 (33·34대 · 38·39대)
가족 아버지 오범환 · 어머니 사문화 · 배우자 송현옥
활동 공직선거법 · 정치자금법 · 정당법 · 일조권 · 환경운동연합 · 꼬마버스 타요
정책 디자인서울 (서울서체 · 서울창포원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북서울꿈의숲 · DDP · 서울링) ·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반포한강공원 · 한강 수상택시 · 한강버스 · 세빛섬 · 노들섬) · U-Smartway (신월여의지하도로 · 서부간선지하도로) · 가족배려주차장 (여성주차장[폐지]) · SEOUL, MY SOUL · 다산콜센터 · 성수전략정비구역 · 안심소득 · 서울런 · 서울동행버스 · 기후동행카드 · 모아타운 · 반려견 순찰대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38·39대 서울시장 시절 · 내곡동 토지 셀프보상 · 전직 대통령 사면 건의)
사건사고 무상급식 주민투표 · 대진연의 선거 운동 방해 · 경계경보 오발령
기타 별명 · 여담 · 사상 및 견해 · 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 오세훈계 · 오세훈 마이너 갤러리
}}}}}}}}} ||



[1] 특히 전라북도 군산시가 타 지역에 비해서 서울남산체를 상당히 많이 쓰기로 유명하다.[2] 특히 신세계그룹(이마트, 스타벅스)가 상당히 많이 쓰기로 유명하다.[3] 독자적인 디자인의 도로명판 또는 행안부 표준디자인을 혼용중이다.[4] 타 광역자치단체와 같이 한길체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