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09:17:06

네모토 리쿠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0000><tablebgcolor=#ff0000>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히로시마 도요 카프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49년~
초대
이시모토 슈이치
(1950~1953)
2대
시라이시 카츠미
(1953~1960)
3대
몬젠 마사토
(1961~1962)
4대
시라이시 카츠미
(1963~1965)
5대
하세가와 료헤이
(1965~1967)
6대
네모토 리쿠오
(1968~1972)
7대
벳토 카오루
(1973)
8대
모리나가 카츠야
(1974)
9대
조 루츠
(1975)
10대
코바 타케시
(1975~1985)
11대
아난 준로
(1986~1988)
12대
야마모토 코지
(1989~1993)
13대
미무라 토시유키
(1994~1998)
14대
타츠카와 미츠오
(1999~2000)
15대
야마모토 코지
(2001~2005)
16대
마티 브라운
(2006~2009)
17대
노무라 켄지로
(2010~2014)
18대
오가타 코이치
(2015~2019)
19대
사사오카 신지
(2020~2022)
20대
아라이 타카히로
(2023~)
:일본시리즈 우승 / : 센트럴리그 우승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143d69><tablebgcolor=#143d69>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미야자키
파일:일본 국기.svg
(1950)
미하라
파일:일본 국기.svg
(1951~1959)
카와사키
파일:일본 국기.svg
(1960~1961)
나카니시
파일:일본 국기.svg
(1962~1969)
이나오
파일:일본 국기.svg
(1970~1974)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에토
파일:일본 국기.svg
(1975)
듀로셔
파일:미국 국기.svg
(1976)
키토
파일:일본 국기.svg
(1976~1977)
네모토파일:일본 국기.svg
(1978~1981)
히로오카
파일:일본 국기.svg
(1982~1985)
<rowcolor=#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모리
파일:일본 국기.svg
(1986~1994)
히가시오
파일:일본 국기.svg
(1995~2001)
이하라
파일:일본 국기.svg
(2002~2003)
이토
파일:일본 국기.svg
(2004~2007)
와타나베
파일:일본 국기.svg
(2008~2013)
<rowcolor=#fff> 16대 17대 18대 19대
이하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
타나베
파일:일본 국기.svg
(2014~2016)
츠지
파일:일본 국기.svg
(2017~2022)
마츠이
파일:일본 국기.svg
(2023~2024)
감독 대행
와타나베
파일:일본 국기.svg
(2024)
<rowcolor=#fff> 20대 21대 22대 23대 24대
니시구치
파일:일본 국기.svg
(2025~)
: 일본시리즈 우승 / : 퍼시픽리그 우승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cc800><tablebg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35년~
초대
타카스 카즈오
(1938~1940)
2대
미타니 하치로
(1941~1942)
3대
카토 키사쿠
(1942)
4대
타카다 카츠오
(1943)
5대
카토 키사쿠
(1943~1944)
6대
츠루오카 카즈토
(1946~1965)

7대
카게야마 카즈오
(1965)
8대
츠루오카 카즈토
(1966~1968)
9대
이이다 토쿠지
(1969)
10대
노무라 카츠야
(1970~1977)
11대
히로세 요시노리
(1978~1980)
12대
돈 블레이싱게임
(1981~1982)
13대
아나부키 요시오
(1983~1985)
14대
스기우라 타다시
(1986~1989)
15대
타부치 코이치
(1990~1992)
16대
네모토 리쿠오
(1993~1994)
17대
오 사다하루
(1995~2008)
18대
아키야마 코지
(2009~2014)
19대
쿠도 키미야스
(2015~2021)
20대
후지모토 히로시
(2022~2023)
21대
코쿠보 히로키
(2024~)
: 단일리그 우승 / :일본시리즈 우승 / : 퍼시픽리그 우승
7대 감독인 카게야마 카즈오는 취임 4일 후 급사하여 정식 감독으로써 지휘한 적은 없다.
}}}}}}}}}}}}}}} ||
파일:네모토 리쿠오.jpg
이름 네모토 리쿠오(根本陸夫)
생년월일 1926년 11월 20일
사망 1999년 4월 30일 (향년 72세)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출신지 이바라키현 미토시
포지션 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52년
소속팀 킨테츠 펄스(1952~1957)
지도자 경력 긴테츠 버팔로즈 2군 코치 (1962~1966)
히로시마 카프 1군 코치 (1967)
히로시마 도요 카프[1] 감독 (1968~1972)
크라운라이터-세이부 라이온즈 감독 (1978~1981)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감독 (1993~1994)

1. 개요2. 선수 시절3. 지도자, GM 시절4. 사망5. 여담6. GM으로서의 특징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선수, 지도자, 경영인.

다이쇼 시대(1912~1926)에 태어난 일본 야구인 중 가장 마지막으로 프로야구 감독을 지낸 인물이기도 하다.

2. 선수 시절

1926년 이바라키현 미토시에서 부유한 사업가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몸이 약했던 네모토는 가정교사인 변호사와 캐치볼을 하면서 야구에 눈을 떴고, 집 담벼락에 공을 던지고 받는 등 혼자서도 야구를 즐긴 덕분에 몸이 튼튼해 졌다고 한다.

이바라키 중학-호세이대학에서 포수로 활동한 네모토는 대학 졸업 후 사회인 야구 가와사키 콜럼비아 팀을 거쳐 1952년 킨테츠 펄스에 입단하였지만 선수로서 눈에 띄는 성적은 거두지 못하고 1957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했다. 통산 성적은 186경기 출장, 70안타, 2홈런, 23타점, 타율 .189였다.

3. 지도자, GM 시절

은퇴 후 네모토는 킨테츠의 스카우트로 활동했고 1962~1966년 킨테츠 버팔로즈의 코치로 뛰면서 훗날 팀의 중심 타자가 되는 도이 마사히로[2]를 육성했다.

3.1. 히로시마 도요 카프 시절

파일:external/img.47news.jp/PN2011122901000745.-.-.CI0003.jpg

1966년 시즌을 끝으로 킨테츠 코치에서 물러난 네모토는 잠시 철강회사에서 근무하다가 주변 인맥을 통해 히로시마 카프의 코치로 다시 그라운드에 돌아왔고, 1968년 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새롭게 바뀐 팀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당시 도요공업이 카프의 모기업이 되면서 히로시마 구단주로 취임한 마쓰다 쓰네지는 "시즌 전패를 해도 상관없다. 팀의 기초를 만들어 달라"며 네모토에게 요청했고 오너의 지원을 받은 네모토는 팀의 체질 개선을 통해 만년 하위권이던 히로시마를 감독 취임 첫해인 1968년 시즌 리그 3위로 끌어올리는 성과를 보였다. 이는 1950년 팀 창단 이후 최초의 A클래스 기록 이었다.

그러나 이후 히로시마는 별다른 진전 없이 6위-4위-4위-6위로 계속해서 4위 이하의 하위권(리그 B클래스)를 맴돌았으며[3] 결국 네모토는 성적부진으로 1972년 6월, 시즌 도중 감독 자리에서 물러났다. 하지만 네모토가 히로시마 감독 시절 키워낸 기누가사 사치오, 야마모토 코지, 미즈타니 지츠오 등의 선수들은 1970년대 중반 고바 다케시 감독 시절 히로시마의 전성 시대를 이끈 주역으로 성장했다.

한편으로 히로시마의 배터리 코치이던 우에다 토시하루와는 야구관의 차이로 인한 의견 충돌을 일으키며 우에다가 히로시마를 떠나게 되는 단초를 제공한 적도 있다. 그리고 퍼시픽 리그 에서 상대 팀 감독으로 맞붙으면서 우에다가 맡은 팀을 만날때마다 호구잡히기 바빴다.[4]

3.2. 크라운라이터-세이부 라이온즈 시절

파일:external/www.seibulions.jp/79_81_1.jpg

1973~1977년 마이니치 방송의 해설가로 활동한 네모토는 1978년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의 감독으로 영입되었고, 1978년 시즌 이후 구단이 세이부 철도로 매각되어 사이타마로 이전하면서 세이부 라이온즈로 팀명이 바뀐 1979년부터는 구단 관리부장까지 겸임하며 프런트진을 정비하면서 드래프트 번외라는 편법을 통해 당시 사회인야구의 유망주였던 마츠누마 마사유키, 히로히사 형제를 영입하고[5] 한신 타이거즈와의 대형 트레이드로 타부치 코이치, 후루사와 켄지[6][7]를 끌어들인 데 이어 1980년 시즌 후엔 스기모토 타다시, 이시게 히로미치, 아키야마 코지, 이토 쓰토무, 쿠도 키미야스 등의 신인 스카우트로 전신 니시테츠가 팀 운영에서 손을 뗀 이후 바닥에서 헤메던 팀을 상위권으로 발돋움 시킬 발판을 마련하였다.

1981년 시즌을 끝으로 네모토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명 유격수 출신 히로오카 타츠로에게 후임 감독직을 넘기고 요미우리의 프랜차이즈 포수였던 모리 마사아키도 수석 코치로 영입하면서 관리부장 직에만 전념하였다. 세이부의 구단주 츠츠미 요시아키는 네모토에게 구단 운영의 전권을 맡기며 네모토는 사실상 일본 프로야구 최초의 GM으로 이름을 남겼다. 이후 네모토는 세이부 1980~1990년대에 걸쳐 일본시리즈 제패 8회(1982~1983[8], 1986~1988, 1990~1992[9])의 기틀을 잡는데 공헌하였다.

다만 이 시절 구마모토현립 구마모토공업고등학교를 다니고 있던 이토 쓰토무를 꼼수를 써서 세이부 구단이 있는 도코로자와시의 사이타마현립 도코로자와고등학교로 끌어온 흑역사가 있다(...). 그래서 이토는 실질적으로 구마모토공고 OB 취급을 받는다.

3.3.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시절

파일:external/www.zakzak.co.jp/bbl1107070932000-p1.jpg

1993년 세이부를 떠난 네모토는 라이벌 구단인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의 대표이사 전무 겸 감독으로 적을 옮기며 당시 일본 프로야구에 큰 파문을 남겼고, 세이부에서 하던 대로 공격적인 트레이드와 스카우트를 통해 세이부의 주력 선수이던 아키야마 코지쿠도 키미야스, 대형 유망주 조지마 겐지[10] , 마쓰나카 노부히코, 이구치 타다히토 등의 선수를 영입하여 팀을 상위권으로 올리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부임 첫해인 1993년엔 새로운 홈구장 후쿠오카 돔의 크나큰 그라운드에 적응하지 못한 선수들의 부진으로 최하위로 끝났지만, 이듬해인 1994년엔 시즌 막판까지 상위권 싸움을 벌였고, 결국 전반기 최하위였던 킨테츠 버팔로즈가 후반기에 타선 폭발로 무려 26승 8패란 말도 안되는 성적으로 오릭스 블루웨이브와 공동 2위를 기록해 내는 바람에 불과 6모 차로 하위권인 4위에 머물러야 했지만, 69승 60패 1무, 승률 .5348로 난카이 호크스 최후의 A클래스 시즌이었던 1977년 이래 무려 17년만의 5할 승률과 60승을 찍는 놀라운 성과를 거뒀다. 그 해 시즌을 끝으로 네모토는 감독 사임 후 구단 전무이사로만 일하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간판이라 할 수 있던 오 사다하루를 후임 감독으로 끌어들이는 파격적인 인사를 단행하고[11] 이후로도 다이에의 GM으로서 아무도 생각 못한 선수를 영입하는 등의 변함없는 맹활약을 보였다.

GM으로 재임하던 시절 네모토는 팬들이나 야구계 인물 등 구단 바깥에서의 비난에 아랑곳 않고 팀의 체질개선을 위해 남들이 보기에 비상식적인 스카우트와 트레이드를 감행하는 등 거리낌 없이 악역을 자처하며 "욕을 먹어도 내가 먹을 테니 자네들(선수단과 프런트)은 맡은 임무에 충실하라"고 격려하면서 서포트 해주는 입장이었다. 그래서 카와카미 테츠하루가 일본 야구계에서 "양지의 돈(Don, 두목)" 이라고 불린 데 비해 네모토는 "음지의 돈"으로 통했다. 카와카미는 감독 시절에 요미우리의 일본시리즈 V9를 달성하는 등 확실한 업적이 있던 반면 네모토는 감독으로서 뚜렷한 성적은 올리지 못했지만[12] 그가 영입하거나 육성한 선수들이 나중에 팀의 중심 선수로 성장하고 좋은 성적을 올리는 데 일조하는 등 이면에서 이룩한 공헌이 더 컸기 때문이다.

세이부 라이온즈의 실적에 주목하여 다이에 시절의 오너인 나카우치는 네모토를 감독 겸 구단 이사로 영입했다. 네모토를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고 후에 치바 롯데 구단 대표와 오릭스 구단 본부장을 맡은 세토야마 류조는 아래와 같이 네모토의 감독 1년차인 1993년을 회상했다.
2월의 캠프 첫날입니다. 네모토 씨는 사람들 앞에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이길 생각이 없다. 하지만 너희들 각자 알아서 성장해라. 몇 년 후에는 강한 팀을 만들겠다'고, 그런 반면에 팀에서 오랫동안 활동한 선수들에게는 꽤 신랄했습니다. '시즌이 끝나면 지금의 팀은 동호회이다. 그러면 안된다'며 팀을 바꾸기 위하여 혈액의 교체와 같은 말을 아무렇지도 않게 사용했고 프런트에 요청해 FA 선수의 조사도 실시하였습니다.

후쿠오카 돔 입성 원년인 1993년 시즌을 마치고 네모토는 승리에 집착하기 보다는 팀의 앞을 내다보고 팀의 손볼 곳을 파악하고 있었다. 감독, GM, 구단본부장, 대표이사 전무 등을 겸직하면서 이룬 성과가 아키야마 코지가 포함된 세이부와의 대형트레이드였다. 세토야마에 의하면 그때의 네모토는 더 큰 일을 향해 움직이고 있었다고 한다. 세토야마는 이렇게 말했다.
네모토 씨는 다이에에 입성한 때부터 나는 기초를 만든다. 그래서 강아지(오 사다하루)를 부른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오 사다하루씨를 데리고 와서 감독으로 임명한다는 것입니다. 그때 J리그가 발족했는데 이대로 가면 야구는 축구에 진다. 반격을 위해서는 ON대결 밖에 없다. 즉, 나가시마 시게오오 사다하루가 이끄는 요미우리와 다이에의 일본시리즈가 일본프로야구계를 북돋운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고 하네요.

요미우리의 슈퍼스타였던 오 사다하루를 퍼시픽 리그 구단으로 데려오는 것은 - 세이부 라이온스가 요미우리의 히로오카 타츠로모리 마사아키를 데려온 전례도 있었지만 - 지명도나 존재감에서 현격한 차이가 있는 만큼 실현 불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네모토는 야구계의 행사에서 오 사다하루를 만날때 마다 초대를 했고, 1994년 1월에는 네모토, 세토야마, 오가 참석하는 3명의 회식 자리에서 공식적으로 영입 요청을 하였다. 그 뒤로 세토야마가 매달 1회씩 오와 식사를 하면서 협상을 진행했고 결국 같은 해 7월에 차기 감독으로 내정되었다. 사실 오는 요미우리 감독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요미우리 감독직으로의 복귀를 꿈꾸며 요코하마(現 DeNA)의 감독 취임 요청도 거절하고 있었다.[13] 오 사다하루는 다음과 같이 그 당시의 심경을 말했다.
처음에는 농담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진지하게 얘기주는 것을 알고 네모토 씨가 포기하지 않고 계속 요청했을 때 저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평생 자이언츠"의 생각을 끊고 심기일전을 도모한다면, 당시 도쿄 돔이 홈구장이었던 닛폰햄이나 재경 구단(在京 球團)[14] 말고, 그렇다면 반대로 도쿄에서 멀리 떨어진 퍼시픽리그 구단이라면 괜찮지 않을까. 그리하여 다이에의 유니폼을 입는 것도 좋지 않을까라고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타이밍도 좋았던 것이 아니었을까요.

1994년 10월, 네모토의 감독 사임과 오 사다하루의 차기 감독 취임이 발표되었고 계약 기간은 5년이었다. 네모토는 "어떤 일이 있어도 5년을 맡긴다"라고 말하고 GM으로서의 업무에만 전념하기 시작했다. 세이부에서 FA의 구도 기미야스, 이시게 히로미치 영입, 고마자와 대학 진학이 내정되어 있던 대형 포수 조지마 켄지의 1순위 강행 지명 획득 등 야구팬들을 놀라게할만한 일들이 연속으로 일어났다. 대학 진학 지망 선수를 프로가 "차단"했다고 말들이 있었지만, 네모토는 조지마가 100% 대학 진학 희망 의사는 없다는 정보를 사전에 획득하고 지명한 것이다.

보강 및 전력 정비가 순조롭게 이어졌지만 오히려 1994년보다 한 계단 하락한 5위(1995년) - 최하위(1996년) - 공동4위(1997년) - 공동3위(1998년) 등 실적이 나오지 않자 주위에서는 감독 교체 목소리가 점차 커져갔다. 세이부 시절의 성과를 다이에에서도 낼 수 있다고 보고된 네모토에 대한 반발과 비판도 있었다. 세토야마에 따르면 나카우치 오너의 마음도 중간에 흔들리고 있었던 시기가 있었다고 한다. 네모토는 그러나 5년 계약 완수를 강조했다. 오 사다하루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아마 다이에 본사의 관계자는 "감독을 바꿔!"라는 말이 굉장히 있었던 것 같지만 네모토 씨가 노력해 준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시간이 걸렸지만 잘 참아주셨다고 생각합니다.

1999년 1월에는 전년도 12월에 있었던 스파이 의혹 사건[15]을 계기로 구단 사장으로 자기를 옮긴다. 그러나 불과 3개월 뒤인 4월 30일 심근경색으로 급서한다. 그리고 그 해 팀은 1999년 일본시리즈 제패를 완수했다. 호크스는 그 이후 퍼시픽리그의 강호가 되어, 구단 소유기업이 소프트뱅크로 바뀐 후에도 일본시리즈 6회(2011년 일본시리즈, 2014년 일본시리즈, 2015년 일본시리즈, 2017년 일본시리즈, 2018년 일본시리즈, 2019년 일본시리즈) 제패를 달성했다. 오 사다하루가 감독직을 퇴임하고 구단 회장이 되면서 아키야마, 구도가 감독직을 잇고 있다. 모두 네모토가 세이부에서 획득한 인재들이다. 2024시즌부터는 고쿠보 히로키가 호크스 감독을 맡고 있다.

네모토가 남긴 것은 또 하나가 있다. 바로 12구단 유일이라고 하는 미야자키 캠프이다. 고치에서 미야자키 캠프로 이동한 것은 2003년 가을이지만, 네모토는 1995년부터 이미 이 곳에 다니기 시작하여 미야자키 시장과 교섭을 거듭했다. 1군과 2군이 동시에 연습 할 수 있는 환경은 당시 일본프로​​야구에서 선진적이고, 그 환경이 호크스 선수층을 두껍게 해 온 것은 틀림 없다. 또한 미국 메이저리그 구단의 팜 조직을 여러 번 시찰하여 현재의 3군 제도를 구상했다.

4. 사망

1999년 1월 다이에 구단 사장으로 취임하였지만 그해 4월 30일 급성 심근경색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72세.

오 사다하루는 네모토의 사망에 다음과 같이 애석함을 드러냈다.
아마 네모토가 없었으면 다이에 호크스에서 이미 끝났을 것이고,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연결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호크스 뿐만 아니라 야구계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정도로 의미가 있는 잊지 못할 분이고 아까운 분을 잃었다고 지금도 생각합니다.

네모토가 세상을 떠난 이후 다이에는 덕아웃에 시즌 내내 네모토의 영정을 걸고 시합에 임했고, 그 결과 1999년 35년만의 일본시리즈 우승을 달성하며 네모토의 무덤 앞에 우승 트로피를 놓고 참배할 수 있었다. 그 해 일본시리즈 우승의 주축 멤버들은 대부분 네모토가 영입한 선수들 이었다.

네모토는 2001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5. 여담

6. GM으로서의 특징

7. 관련 문서


[1] 마츠다(당시엔 도요공업)가 모기업을 맡게 됨에 따른 구단명 변경.[2] 일본프로야구 통산 465개의 홈런을 기록한 강타자로 훗날 세이부 라이온즈에서 타격코치를 맡아 기요하라 카즈히로를 지도했다.[3] 다만 중간의 2년 연속 4위는 전부 5할 승률을 넘겼지만 아쉽게도 다른 팀들이 더 잘하면서 하위권에 머물렀다. 특히나 1971년엔 불과 3모 차로 타이요 훼일즈에게 밀렸다. 참고로 그 해 타이요와 히로시마의 성적은 전부 .508(타이요 .5083/히로시마 .5080)로 3자리 수까지 계산하면 동률이었다.[4] 세이부 감독 시절에는 한큐의 승점자판기 그 자체였다.[5] 요미우리가 마츠누마 형제를 영입하려고 접촉했는데 금액에 있어서 마찰이 있었고, 이때 네모토 감독이 마츠누마 형제를 눈여겨 보고 세이부 구단에서 형제들과 접촉하여 요미우리가 제시한 금액보다 많은 금액을 제시하며 마츠누마 형제가 세이부 입단을 결정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6] 한신에 반대급부로 보낸 선수 중 대표적인 인물이 마유미 아키노부 였다.[7] 이 트레이드를 시점으로 네모토 감독은 한신 뿐만 아니라 다른 팀들과도 트레이드를 단행했는데, 트레이드로 세이부 유니폼을 입지도 못하고 떠난 선수들 일부는 니시테츠 시절부터 활동했던 선수들이었다. 니시테츠 시절부터 다이헤이요 클럽, 크라운라이터, 세이부로 팀명이 바뀐 후에도 계속 재적했던 선수는 히가시오 오사무와 오타 타쿠지 두명 밖에 없었다.[8] 히로오카 감독 시절[9] 모리 감독 시절[10] 당시 조지마는 고마자와 대학 진학이 거의 확정된 상황이었지만 아마추어 야구계와의 마찰을 우려한 커미셔너 사무국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네모토는 조지마의 드래프트 1순위 지명을 강행했다. 당연히 고마자와 대학은 펄펄 뛰며 "앞으로 다이에 구단에 선수 안 보낸다" 라고 크게 반발했지만 그 무렵 감독에 취임한 오 사다하루의 중재로 조지마에게 다이에 유니폼을 입힐 수 있었다.[11] 이 때 네모토가 다이에 입단을 망설이던 오 사다하루를 "요미우리를 한 집안으로 치자면 나가시마 시게오가 장남이고 당신(오 사다하루)이 차남이다. 차남이 집안 대를 잇는거 봤냐?" 면서 설득했다고 한다.(참고로 나가시마는 오가 다이에 감독에 취임할 당시 요미우리 감독을 맡고 있었다.)[12] 감독으로서의 11시즌 통산 성적은 598승 687패 66무승부, 승률 0.465에 불과하고, 히로시마 감독 데뷔 첫해인 1968년 센트럴리그 3위가 본인의 감독 경력상 가장 높은 순위였다. 시즌 승률은 위에 나온 1994년의 .5348이 최고 기록이다.[13] 요미우리의 유니폼이 아닌 다른 팀의 유니폼을 입는 순간 요미우리 감독직은 영원히 맡을 수 없다. 요미우리 자이언츠문서의 감독순혈주의 문서 참조.[14] 재경(在京), 즉 수도권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1994년 당시 수도권을 연고로 했던 구단은 앞서 언급한 자이언츠와 닛폰햄 외에, 세리그의 야쿠르트, 요코하마, 파리그의 세이부, 롯데 등이 있었다.[15] 다이에 구단은 홈구장인 후쿠오카돔의 외야 관중석에 구단 직원이나 아르바이트생을 두고 상대 사인을 응원 도구를 이용해 선수에게 전달한 것이 드러나 사회적 문제가 됐다. 백스크린 근처 외야의 전용카메라가 촬영한 상대팀 포수의 사인을 자료실의 모니터 화면을 통해 해독한 뒤에 무전기 등으로 외야석의 아르바이트 학생에게 보내면 이 학생이 메가폰을 통해서 자기 팀 타자에게 연락하는 방법이다. 플라스틱 메가폰을 똑바로 들면 스트레이트, 오른손에 들면 커브나 슬라이더, 왼쪽에 들면 포크볼이나 체인지업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