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4E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4EA2>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현재 운행 중 | ||
3000형 | 5000형 | 6000형 (6050형) | |
7000·7050형 | 9000형 | 600형(2대) | |
퇴역 | |||
1000형 | 313형 | 2000형 | |
8000형 | 600형(1대) | 700형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니시테츠 6000형 전동차 西鉄 6000形 電車 Nishitetsu 6000 Series (EMU) | }}} | |||
| |||||
▲ 외부 | |||||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대수 | 4량, 3량 1편성 | ||||
운행노선 | | ||||
도입연도 | 1993년 ~ 1999년 | ||||
제작회사 | 가와사키 중공업 | ||||
소유기관 | 서일본 철도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 1993년 5월 ~ 현재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전장 | 19,500㎜ | |||
전폭 | 2,716㎜ | ||||
전고 | 4,016㎜ | ||||
궤간 | 1,435㎜ | ||||
정원[1] | 선두차: 132(42)명 중간차: 146(52)명 | ||||
대차 | |||||
차중 | |||||
차체 | 탄소강 | ||||
신호장비 | 니시테츠형 ATS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제어방식 | 저항제어(6000형) VVVF GTO, IGBT(6050형) | ||||
제동방식 | |||||
동력장치 | 3상 농형 유도전동기 | ||||
동력전달장치 | |||||
기어비 | |||||
주전동기 출력 | 135kW X 4(6000형) 165kW X 4(6050형) | ||||
최고속도 | 영업 | ㎞/h | |||
설계 | ㎞/h | ||||
가속도 | ㎞/h | ||||
감속도 | 상용 | ㎞/h/s | |||
비상 | ㎞/h/s | ||||
MT 비 | 2M 1T, 2M 2T(6000형) 2M 2T, 1M 2T(6050형) | }}}}}}}}} |
1. 개요
- 서일본 철도에서 운영하는 전동차이다.
- 니시테츠 텐진오무타선에 투입한 니시테츠 첫 4비차 차량이다.
- 6000형·6050형을 합계해 59량이 제조되었다.
2. 상세
- 6000형과 6050형끼리 또한 7000형 및 7050형과 병결하여 운행이 가능하다.
- 2025년 현재, 6050형을 포함하여 총 16개 편성이 재적 중이다.
- 전면은 5000형 에 준하여 운전석 측만 파노라믹 창문으로 한 관통 구조이지만, 지붕의 곡선을 완만하게 하고, 전면창의 하부에 전조등과 후미등을 탑재하고, 전면창의 상부에는, 원맨 표시등을 마련하고 있다. 전면 하부에서는 배장기를 대형화함과 동시에 전기연결기를 장착하여 기존 구형연결기를 없애는것 등이 5000형과의 주된 차이점이다. 측면에 대해서는 출입을 4개로 배치로 함과 동시에, 객실 측창은 2단식 낙창식에서 측면문간은 1단 하강식의 대형창으로 바꾸었다.
- 좌석은 모두 롱시트로, 모켓의 색은 노약자석이 파랑, 나머지는 로즈 핑크로 되어있다. 또한, 승강문과 좌석 사이의 입객 공간은 노약자석 측을 넓게 취하고 있다. 또, 휠체어 공간은 노약자석의 위치에 좌석을 2인분의 자리를 남겨 설치했다. 차내 비상경보장치는 1량당 2개로 설치되어 본 형식보다 객실과 승무원 쌍방통화가 가능한 사양으로 만들어졌다.
- 2006년 2월부터 LED식 차내행선표시기 · 도어차임 · 음성 합성 식 자동안내방송장치를 전 편성에 설치했다.
2.1. 사양
2.2. 파생형
3. 니시테츠 6050형 전동차
* 6000형에서 파생된 차량. 6000형의 저항제어이지만 이 차량은 VVVF 인버터를 사용한다. 이 점을 제외하면 거의 동일한 차량이다.
4. 관련 문서
[1] 괄호 안은 좌석정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