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4E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4EA2>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현재 운행 중 | ||
3000형 | 5000형 | 6000형 (6050형) | |
7000형 (7050형) | 9000형 | 600형(2대) | |
퇴역 | |||
1000형 | 313형 | 2000형 | |
8000형 | 600형(1대) | 700형 |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니시테츠 9000형 전동차 西鉄 9000形 電車 Nishitetsu 9000 Series (EMU) | }}} | |||
| |||||
외부 | |||||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량 수 | 2량, 3량 | ||||
운행 노선 | | ||||
도입년도 | 2016년 ~ | ||||
제작회사 | 가와사키 중공업 | ||||
소유자 | 서일본 철도 | ||||
운영자 | |||||
차량기지 | 치쿠시 차량기지 | ||||
편성번호체계 | 90xx ~ 95xx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전장 | 19,500㎜ | |||
전폭 | 2,760㎜ | ||||
전고 | 4,091㎜ | ||||
궤간 | 1,435㎜ | ||||
사용전류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운전보안장치 | 니시테츠형 ATS | ||||
제어 방식 | 도시바제 VVVF-Hybrid SiC | ||||
동력 장치 | 3상 농형 유도전동기 | ||||
기어비 | 6.21 | ||||
제동 방식 | 회생제동병용 전기지령식 전자직통공기제동 | ||||
모터 출력 | 175㎾ | ||||
최고속도 | 설계 | 120㎞/h | |||
영업 | 110㎞/h | ||||
가속도 | 2.5㎞/h/s | ||||
감속도 | 상용 3.5㎞/h/s 비상 4.0㎞/h/s | ||||
전동차 비 | 2량 1M 1T (Mc-T2) 3량 1M 2T (Tc1-M-Tc2) | }}}}}}}}} |
1. 개요
서일본 철도에서 운용하는 텐진오무타선의 통근형 전동차다. 2017년 현재는 7개 편성이 재적 중이다.2. 도입 계기
|
조감도 |
3. 성능
본래의 IGBT보다 작고 저전력화된 SiC(탄화규소)를 이용한 VVVF 인버터를 사용한 열차며, 모든 전등을 LED등으로 설치하여 소비전력량이 기존의 5000형보다 50% 줄어들었다고 한다.
차체는 3000형 전동차와 같이 스테인리스를 사용하였고, 전두부는 유지보수가 쉽도록 일반 철강으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니시테츠 최초로 전면과 측면 모두 행선지 표시기를 풀컬러 LED[1]로 설치했으며 일본어와 영어는 물론 한국어와 중국어도 표기하고 있다.
집전장치는 싱글암이며 2개씩 설치되어 있다.
4. 차체
차체는 3000형 과 같은 스테인리스 차체로 조립에는 레이저 용접을 채용하고 있다. 전두부만 사고시 보수에 대비하여 보수가 용이한 강철이다 .7050형과 마찬가지로 출입문을 3비타로 배치하고 문 사이에 대형 창 2장을 배치하고 있다. 측면창은 니시테츠 최초의 UV컷 유리를 채용하고 있지만, 기존의 차량과 마찬가지로 롤 커튼도 설치되어 있다. 전두부는 7000형 이후의 기존차와 마찬가지로 관통형 으로, 전면창이 양쪽모두 측면까지 있는 파노라마 창문이다. 전조등과 후미등은 기존 차량과 마찬가지로 전면창 아래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형식에서는 전조등과 후미등이 세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차체색은 무도장 스테인리스(전두부는 은색)으로 하고, 차체 측면창 아래와 측면 상부에는 진한빨강 띠를 넣고 있다. 차체 전면부도 진한빨강으로 도색되어 있다. 행선지 표시기는 전면·측면 모두 기존의 롤지 대신, 니시테츠에서는 최초가 되는 일본어 · 영어 · 한국어 · 중국어 4언어 표시 풀컬러 LED 행선기가 탑재되어 있다. 측면 표시기는 속도가 일정 이상에 도달하면 소등이 가능하다.
5. 차내 설비
좌석은 전석 롱시트로, 1인당 좌면폭은 470mm로 5000형에 비해 20mm 넓어지고 있다. 그 때문에 문 사이의 좌석은 9명에, 양쪽끝의 좌석은 4명이 되었다. 착석시의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모켓의 경사각은 3도에서 6도로 확대되어 있다. 문간 좌석의 중간부의 봉 손잡이는 7050형이나 5000형 갱신차에서는 1개씩이었지만 본 형식에서는 2개씩이 된 것 외, 본 형식에서는 차단부의 좌석의 중간부에도 스탠션 폴을 마련하고 있다. 이 때문에 봉 손잡이의수는 선두차 9개, 중간차 11개가 되었다. 좌석단부의 소매 분할은 사고시 안전성 향상을 위해 7000형에 비해 대형화되어, 강화 유리로가 되었다. 또, 본 형식에서는 휠체어·유모차 우선 좌석이 중간차도 포함해 전 차량에 1개씩 설치되고 있다.
이 형식에서는 바닥 무늬가 중앙 통로부에 무늬를 넣은 양탄자 패턴이다. 이 양탄자바닥의 무늬는 물의 흐름을 디자인한 것으로, 착석시 발을 앞으로 내미는것을 막는 심리적 효과도 노리고 있다.
3000형과 마찬가지로, 차량간의 연결면의 관통로에도 문를 설치하고 있다. 지금까지 니시테츠에서는 연결면에 창을 설치했지만, 본 형식에서는 연결면의 창이 삭제되었기 때문에, 폐쇠감을 내지 않도록 연결면의 관통문은 강화 유리제로 되어 있다.
출입문 위에 경의·중앙선 열차들처럼 모니터가 2개씩 설치되어 있다. 보다시피 왼쪽 모니터는 광고용, 오른쪽 모니터는 행선안내용으로 사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