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10:27:54

단파방송

라디오 방송 방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5a5a5a><colcolor=#ffffff> 아날로그 장파방송 중파방송
(AM방송)
단파방송 FM방송
표준FM
디지털 {{{#!wiki style="margin: -16px -11px;" DAB DRM HD Radio }}}
}}}}}}}}} ||


1. 개요2. 특징 및 현황
2.1. 한국 상황
3. 한국에서 수신할 수 있는 주요 단파라디오 방송국들
3.1. 한국어 방송이 있는 방송국3.2. 한국에서 수신할 수 있는 외국어 단파 방송3.3. 폐쇄된 단파 방송3.4. 인터넷으로만 청취 가능한 한국어 방송3.5. 선교 방송3.6. 해외에서 수신할 수 있는 한국어 단파 방송
4. 기타

1. 개요

단파방송(短波放送, shortwave radio broadcasting)은 단파를 이용한 방송이다. "단파라디오"라고도 하지만 이는 수신기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므로 둘을 구분할 때는 "단파방송", "단파수신기"로 별도 지칭한다. 단파는 특성상 먼 곳까지 도달하므로 장거리 방송용으로 활용된다.

국경을 넘는 경우 자국어뿐만 아니라 목표 지역에서 주로 쓰이는 언어나 영어처럼 국제 사회에서 널리 통용되는 언어를 사용하여 방송하기도 한다. 남북한, 중국 조선족 청취자를 겨냥한 한국어 방송도 있다. 이런 방송을 송출하는 비용이 만만치 않고, 광고수익을 얻기 어려운 경우 대개 국영이나 공영방송이다. 민영방송도 있지만, 대개 특정 종교 단체가 선교 목적으로 만든 것이다. 바티칸이나 일부 아랍 국가처럼 교정일치 국가에서는 양쪽 모두에 해당하는 방송도 있을 수 있다.[1] 그 밖에 지하 방송에 이용되기도 하는데 특정국 정권에 반대하는 방송 등이다. 물론 그러한 방송은 그 나라의 반정부세력이 해외나 공해상에서 하는 경우도 있고, 그 나라의 적국에서 만든 방송(국영, 공영, 민영 불문)인 경우도 있다. 가끔은 그 나라의 적국 국영방송국이 자신의 소속을 숨기고 마치 그 나라의 반정부 단체가 지하 방송을 하는 것처럼 꾸며서 방송하기도 한다.

이런 방송만 전문으로 하는 방송국을 만드는 경우도 있고(예: 중국국제방송 CRI, 미국의 소리 방송 VOA) 국내 방송을 주로 하는 기간방송국이 국제 방송도 겸하는 경우도 있다(예: 한국방송공사, 영국방송협회, 일본방송협회). 단, 뒤에서 이야기하겠지만 북한은 물론이며 남한에서도 단파라디오가 잘 보급되지 않아서 수신 인구가 적었고, 그래서 한국어 방송을 폐지한 방송국도 많다. 1980년대에 나돌았던 BBC 월드 서비스 한국어 방송 개국 떡밥은 이 문제 때문에 백지화된 적이 있다. 유명한 단파라디오 방송국으로는 미국의 미국의 소리, 영국의 BBC 월드 서비스, 네덜란드의 RNW, 독일의 도이체 벨레(Deutsche Welle), 중국의 중국국제방송(China Radio International) 등이 있다.

또한 하루 종일 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시간을 정해 두고 그 시간 동안에만 방송하는 방송국이 많다. 짧으면 20분 정도,[2] 길면 2시간 정도. 그리고 한 방송국이 여러 주파수를 사용하기도 하고 한 주파수를 여러 방송국이 돌려 쓰기도 한다. 또 같은 방송국의 같은 프로그램이라도 하절기와 동절기 주파수를 다르게 하기도 한다(계절에 따른 전파 수신 상황이 다르므로.). 이런 것이 일반적인 국내 방송과의 차이이다.

겨울철보다는 여름철에 원거리 DX가 더 수월하다. 전리층의 전자 밀도가 높기 때문. 이로 인해, 야간 시간대 기준으로 여름철에는 MUF(Maximum Usable Frequency)가 7MHz 이상에 머물지만, 겨울철에는 3~6MHz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라디오 수신기로는 들을 수 없으며, 단파수신기를 이용해야 들을 수 있다.[3] 사실 일반 AM 라디오를 단파수신기로 개조할 수 있긴 한데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니라서… 자세한 정보는 해당 항목 참조.

2. 특징 및 현황

인터넷[4]이나 위성방송[5]이 없던 옛날에는 외국 방송을 들을 수 있었던 유일한 수단으로, 특히 어학용이나 전쟁 같은 비상사태[6]에서의 방송 청취에 요긴하게 쓰였다.[7] 특히 1970년대 일본에서는 많은 중고생들 사이에서 해외 방송을 청취하여 그 기록을 해당 방송사에 보내어 QSL 카드[8]를 모으는 취미가 유행하기도 했다. 그 때문에 소니를 비롯한 일본의 가전업체들이 경쟁적으로 단파라디오를 발매하였다.[9] 이들 일본 가전업체 중 단파수신기 시장에서 2010년대까지 유일하게 명맥을 잇던 기업은 소니뿐이었다.

하지만 위성방송이나 인터넷 같은 신매체가 등장하면서 단파 방송은 점차 하락세에 들었으며, BBC와 같은 주요 단파 방송국도 단파 송출을 감축했다. BBC의 경우 북미(2001년), 유럽 지역(2006년에 단계 축소 후 2008년 전면 종료.)에서 전면 단파 송출 중단하였고 2008년 봄에 동아시아(동남아 포함) 지역에서의 낮 시간대 단파 송출을 중단하였다(그러나 남아시아 쪽을 목표로 하는 방송들이 잡히는 경우가 없는 것은 아니다.). 2010년 이후로 BBC 같은 유수의 단파 방송사들이 중국어 방송을 중단하였다.[10] 이들 방송국은 실제로 현지 FM/AM 방송국 송출 제휴[11],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강화와 같은 정책을 펼치고 있다. 따라서 단파 방송 자체의 전망이 그리 밝지 않다.

게다가 휴대용 무선인터넷 라디오나 다름없는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망했다.[12] 따라서 단파라디오를 찾는 사람이 많이 줄어든 상태. 지금은 소수 애호가들의 취미[13]로 전락. 어학용으로서도 절대적 가치를 지녔던 때는 90년대 말까지.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어학용으로는 꽤 쓸모 많았다. 그러나 지금은 팟캐스트스마트폰 때문에…

하지만, 국토가 넓은 일부 개발도상국에서는 자국 방송을 송출하는 데 요긴한 방송 수단이다. 중국 중앙인민방송이 여기에 해당되며,[14] 이들 지역에서는 단파라디오가 많이 보급되어 있다. 반대로, 이런 점을 이용해서 미국이나 러시아, 중국에서는 냉전시절에 자국의 프로파간다를 목적으로 많이 써먹었으며, 지금도 제일 활발하게 쓰이는 분야 중 하나다. 미국의 소리자유아시아방송도 사실상 프로파간다를 목적으로 하는 방송의 일종이라, 중국이나 북한 같은 독재 국가에서는 두 방송의 주파수를 차단하기 위해 여러모로 고민하고 있다.

먼 외국까지 전파가 나간다는 점 때문에 비상사태[15]에 요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지금도 단파방송 자체가 유지되고 있다.[16]

단파라디오는 중계국이 없어도 전파가 멀리 잘 퍼지는 특성이 있지만[17] 대신 모든 지역에서 전파가 깨끗하게 잡힌다고 보장할 수 없으며, 건물 구조나 주변에 있는 전자기기의 영향도 굉장히 많이 받는다.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고자 유럽 지역 중심으로 디지털 압축 코덱을 사용하는 DRM[18]이라는 디지털 단파 방송이 실시되고 있지만, 송출 자체가 유럽 지역 위주로 되어 있고 수신기도 극히 드물어, 아날로그 단파 방송을 완전히 대체하려면 한참 멀었다. 그리고 단파 신호가 아무리 멀리 갈 수 있다 해도 보통 5,000km 이상을 넘어가면 일반 수신기로 청취하기에는 신호가 상당히 약해지므로 주요 방송국들은 대륙 단위로 세계 곳곳에 중계소를 세우거나, 유상 계약 혹은 교환 송출 제휴를 통해 타국 방송사 소유의 송신소를 이용하여 각 대륙을 위한 주파수로 재송출[19]하고 있다.[20]

전통적으로 유럽[21]과 미국 동부는 단파 신호 강전계 지역이었으며, 호주뉴질랜드는 단파 신호 약전계 지역이었다. 한국과 일본은 중전계 지역. 중국 방송 한정으로 중국은 강전계 지역.

단파 대역 주파수 포화 문제로 1987년도 ITU 주관 WRC에서 '2015년부로 모든 단파 방송을 기존의 DSB-AM 변조 방식에서 SSB-AM 변조 방식으로 바꿀 것'으로 의결하였는데, 현재의 중파, 단파 방송에 쓰이는 DSB 방식에 비해 SSB 방식[22]은 DSB에 비해 대역 폭을 덜 잡아먹을 뿐만 아니라 전력 효율성[23] 및 잡음과 페이딩[24]에 대한 대처 능력 등에서 더 우수한 특성을 보이기 때문. 하지만 현재 단파 방송 자체가 퇴조한 데다가 SSB와 전혀 다른 형태인 디지털 단파 방송이 도입된 상황이라 1987년도의 그 의결은 사실상 백지화되었다.

또한 주파수 포화 문제로 1992년도 WRC 의결에서 단파 방송 대역 폭이 확대되었는데, 2007년에는 그 확대된 대역 폭이 정식 단파 방송 대역으로 굳혀졌다. 그 이전에는 '잠정적'으로 확대된 걸로 취급한 셈. 2010년 전후로 ITU 제3지역(동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의 41미터 단파 밴드 최하 주파수가 7100kHz에서 7200kHz로 축소되었다. 아무래도 단파 방송 퇴조에 맞춰서 그 여유분을 아마추어 무선용으로 추가 할당한 것으로 보인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스마트폰 보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오랜 역사를 지닌 '러시아의 소리' 방송국까지 단파 방송을 중단하기에 이른다. 앞으로 전 세계적으로 추가적인 폐국, 혹은 축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이제는 점차 구시대의 유물이 되어가고 있는 중이다. 서방 선진국들의 대대적인 단파 방송 축소 및 전면 폐지는 과거에 비해 타이트해진 재정 상황 때문이다. VOA 영어 방송의 아시아향 단파 송출이 전면 폐지된 이유는 역시나 예산 감축 문제 때문(…).

라디오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의 소리 영어 단파 송출의 갑작스러운 폐지는 2014년 7월에 이루어졌다. BBC 월드 서비스의 북미 지역 단파 송출이 중단된 것도 2001년 7월 1일이다.[25]

국토가 넓어 아날로그 단파 방송 최후의 보루 중 하나로 꼽히는 중국도 2010년대 후반에 들어가면서 과거에 비해 송출 규모가 꽤 줄어들었다. 아직까진 대륙의 기상이 유지되는 수준이지만 말이다.

죽어가고 있는 아날로그 매체라고는 하지만, 세계구급 비상사태가 터지면 일시적으로 단파 송출이 확장되는 경우가 있다. 2013년 필리핀 태풍 피해로 BBC 월드 서비스 영어 방송의 단파 송출이 확대된 적이 있으며, 2014년 5월 태국 정변으로 NHK 월드 라디오 일본의 동남아향 단파 송출 시간이 확대된 바 있다. 그리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BBC 영어 방송 우크라이나·서부 러시아향 단파 송출이 아예 부활했다.

단파라디오를 취미로 삼는 사람들의 경우 방송 중간중간 나오는 테마 음악(Interval Signal)만 모아서 듣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아날로그 감성을 추구하는 이들 특성상 음질이 깨끗한 2000년대 이후의 방송보다는 70~90년대의 방송에서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2.1. 한국 상황

한국에서는 남북 분단이라는 현실 때문에 1995년까지는 허가된 사람[26]을 제외하고는 단파수신기의 소지가 금지되어 있었다.[27] 그 이유는 단파라디오가 있으면 북한 방송[28]을 선명하게 들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다만 북한 수준으로 가택까지 수색하며 빡세게 통제하던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단파수신기(특히 남대문 수입 상가, 미군 PX, 해외 출장 개인 소지품 등의 경로로 들어온)가 알음알음 유통되기도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물론 체제 경쟁에서 승리하였고 민주화가 완성된 지금은 자유롭게 소지하거나 구매할 수 있다. 단 혼자서 북한 방송을 호기심상 잠깐 듣는 건 몰라도 그걸 녹음하여 배부하거나 구체적 내용을 알리는 건 법에 어긋난다.[29] 물론 전에는 그것이 단파라디오인지도 모르고 갖고 있었던 사람도 있긴 했다. 해외, 특히 일제나 한국에서 아주 오래전에 만들어진 라디오 겸용 카세트에 단파 방송 수신 기능이 있는 경우가 있기도 했기 때문이다. 옛날 간첩 신고 포스터에서 묘사되는 간첩의 스테레오타입 격 특징 중 하나로 이불을 뒤집어 쓴 채 단파라디오로 몰래 청취하는 묘사가 있으며, 적발된 간첩이나 종북주의자 이적단체 압수품, 무장공비가 지참한 장비(생포된 공비에게서 압수했든, 교전 후 사망한 무장공비가 지니고 있든, 유류품에서 발견되든) 중에 꼭 난수표와 함께 단파라디오가 있었다.[30] 당시에는 이어폰 자체가 일반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간첩은 이어폰을 이용하지 않고 이불을 뒤집어썼던 일이 많았고, 간첩 신고 교육 시 '이불을 뒤집어쓰고 라디오 듣는 사람'을 수상하게 여기라고 했다. 그런데 이어폰이 많이 쓰이던 시절에도 그 내용은 빠지지 않아서 '이어폰 끼고 들으면 되지 왜 이불을 뒤집어쓰느냐'는 의문을 가진 꼬꼬마도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태는 단파 방송 청취 애호가에게는 흑역사로 여겨지고 있다.

단파라디오 소지 규제가 풀린 1995년 이후[31]부터 단파 방송 쇠락기가 시작된 2000년대 중반까지 단파 방송은 어학용이나 외국 방송 청취 목적 등으로 반짝 전성기를 누리기도 했다. 그러나 외국과 다르게 한국에서는 단파라디오 자체가 대중화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32] 인지도 면에서는 지금도 떨어진다. 그나마도 단파수신기와 단파 방송의 존재를 아는 사람들마저도 상당수는 '단파라디오=북한 간첩종북주의자들의 전유물'로 생각하는 인식 내지 편견이 꽤 남아있는 편이다. 2010년 이후로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어학용으로서의 가치는 거의 사라지고[33], 21세기에는 그저 일부 동호인들의 취미로 전락해 버렸다.

1999년에 한국단파클럽(KSWC)이라는 다음 카페가 개설되어 2000년대 중후반까지 비교적 활동이 활발한 편이었으나 현재는 활동이 거의 없는 상태이고 가끔 중고 기기 판매글이나 단파 주파수 업데이트 글이 올라오는 상황이다.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이지만, 단파 방송은 일제 치하의 한반도에 임시정부가 있다는 사실과 일제의 패망 소식을 전파하는 등 독립에 큰 역할을 했다. 그리고 이것 때문에 일어난 사건이 바로 항일단파방송 사건이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단파 방송국들의 송출 축소와 폐국이 잇따라 이루어지고 있어 대한민국에서는 기를 펴지도 못한 채 점점 쇠퇴해가고 있다. 다만 중국과 북한의 존재 때문에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시아 지역은 전 세계 중에서 단파 방송, 특히 아날로그 단파 방송이 존속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에 속한다. 그렇다고 해도 중국어 단파 방송과 한국어 단파 방송 정도만 살아남고, 영어 방송을 비롯한 기타 언어 단파 방송은 CRI를 제외하고는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 동북아시아 지역 영어 단파 방송 중 서방 방송으로서는 유일하게 BBC 월드 서비스가 그나마 생존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서방 지역에서는 단파 방송 재정 축소가 계속 진행 중에 있기 때문에 그 지속 가능성은 장담치 못한다.

2022년 기준으로 한국에서 주로 잡히는 단파 방송은 중국 방송(대내/대외)+일본 NHK 및 닛케이 방송+북한 방송+북한향 지하 방송/한국어방송+KBS 그리고 RTI 라디오 타이완 정도이다.

3. 한국에서 수신할 수 있는 주요 단파라디오 방송국들

굵은 글씨는 현재 한국어 방송을 하는 단파 방송국들이다. 러시아와 중국, 일본과 매우 가까이 있다는 지리적 특성상 중국이나 러시아 극동 지방, 일본을 겨냥한 방송들도 한국에서 쉽게 잡을 수 있다. 또한 태국에서 미국 서부를 겨냥하는 방송도 마찬가지.[34] 다만 지리적으로 가깝고 여러 언어와 주파수로 송출하는 중국의 CRI[35], CNR, 지역 라디오 방송과 겹치거나 인접한 주파수의 방송은 수신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표준 중국어가 아닌 방송을 수신했다 해도 CRI/CNR/지역 단파/대(對) 대만 방송일 가능성이 높으니[36] 아나운서의 방송국명 고지를 확인하거나 정확한 주파수를 확인해 보아야 한다. 또한 분명 청취를 하고자 하는 방송의 주파수는 맞으나 전파 방해로 CNR이 수신되거나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단파 DX를 생각한다면 생각해 보아야 할 점이다. 일부 방송 수신을 위해서는 감도와 선택도 좋은 수신기가 필요하다.[37]

3.1. 한국어 방송이 있는 방송국

3.2. 한국에서 수신할 수 있는 외국어 단파 방송

3.3. 폐쇄된 단파 방송

3.4. 인터넷으로만 청취 가능한 한국어 방송

3.5. 선교 방송

선교 방송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송이 수신 가능하다. 바티칸 라디오를 제외하면 주로 개신교 관련 선교 단체에서 운영한다.

3.6. 해외에서 수신할 수 있는 한국어 단파 방송

4. 기타



[1] 일본의 라디오 닛케이처럼 민영이면서 종교와 무관한 방송도 있긴 있다.[2] 바티칸 라디오가 대표적.[3] 단, 가까운 외국을 겨냥하는 방송은 단파가 아닌 중파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서 일반 라디오로 수신 가능하다. 중국국제방송의 조선어, 일본어 방송이나, 한국방송공사의 일본어, 중국어 방송 같은 게 좋은 예.[4] 1990년에 활성화가 되었지만 대중화는 1995년~현재(대한민국은 2000년대 중반에 완료).[5] 1985년 아스트라, 스카이를 통해 활성화.[6]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특히 영국의 BBC 월드 서비스는 생명줄과 같은 역할을 한다.[7] 실제로 나치 독일은 전선의 독일군에게 단파 라디오로 선전 방송을 했다.[8] QSL 카드(QSL card)는 단파방송을 들은 청취자가 해당 방송국에 수신 리포트를 제출할 경우, 방송국이 청취자에게 보내주는 방송 수신 확인 카드다.[9] 이때 발매된 단파라디오 중에서 소니의 스카이센서 시리즈나 파나소닉의 쿠거(Cougar)시리즈가 잘 알려져 있다.[10] 그래서 중국 경극 음악으로 구성된 중국 측 방해 전파가 드물어졌다. 다만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며 주로 심야 시간에 송출된다.[11] 미국의 소리 방송과 한국 극동방송도 이런 제휴가 맺어져 있다. 따라서 미국의 소리의 야간 한국어 방송을 극동방송으로도 들을 수 있다. 따라서 단파수신기가 필요 없다(여담으로 1970년대 이전에는 KBS나 CBS에서 미국 VOA 한국어 방송을 중파로 재송출한 적이 있었다.).[12] 한국의 대표적인 단파 청취 커뮤니티인 다음 모 카페는 2010년 이후로 카페 활동이 거의 정지했다시피 할 정도로 매우 뜸해졌다.[13] 특히 대한민국, 일본, 서유럽같이 인구가 밀집하고 국내 방송망이 발달한 선진국의 경우.[14] 중앙인민방송 같은 경우 서방이나 대만의 중국어 방송을 재밍하는 데도 쓰인다…[15] 지진이나 전쟁 같은 상황에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이 끊기는 것은 기본이요, 국내 방송망까지 마비되는 경우가 많다. 유일하게 의지할 수 있는 비교적 값싼 매체로서는 단파라디오가 유일하다.[16] 인터넷과 지상파 방송을 비교한다면 방송을 내보내기 위한 비용은 당연히 지상파가 인터넷보다 훨씬 비싸다. 그러나 방송을 듣기 위한 비용은 당연히 지상파가 싸다. 그러니 컴퓨터가 흔치 않거나 소득 수준에 비해 비싼 나라는 인터넷 방송을 듣기 어렵고 상대적으로 지상파 방송을 듣기가 쉬운 것이다. 그래서 단파 방송은 그런 곳 위주로 가는 것이다.[17] 여름철 새벽 한국에서 15400kHz로 아프리카 어센션 섬에서 송출되는 BBC 방송을 잡을 수 있을 정도. 다만 중국의 전파 방해로 이것도 옛말이 되었다. 일본 NHK는 최근 단파 송출 대폭 감축 이전에는 서유럽 지역에 대한 일본 야마타 송신소 직접 송출이 이루어진 적이 있다.[18] Digital Radio Mondiale. MP3 음악파일에서 얘기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와 다르다.[19] 1980년대 초반까지는 본국에서 송출한 전용 단파 통신망을 통해 각 중계소에서 이를 받아 재송출하여 전송 링크망의 페이딩 현상까지 그대로 재송출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후 위성 통신의 발달로 지금은 안정적인 재송출이 가능하며, 1990년대 후반 이후로(그 이전에는 아날로그 위성망) 디지털 포맷 방식의 위성망을 활용 중. 일부 방송국에서는 MP3 파일을 방송국으로부터 다운받거나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20] BBC 월드 서비스의 예를 들면, 동북아 및 동남아 지역을 겨냥한 중계소가 태국(2017년 폐쇄)과 싱가포르에 있다. 한국 김제에서 중국을 겨냥한 전파를 쏘기도 했다(한국방송공사와의 업무 제휴).[21] 유럽에서 단파라디오를 켜 보면 무슨 말인지 알게 될 것이다.[22] 아마추어 무선에 쓰이는 AM 통신은 이 방식이다.[23] 확실하게 DSB에 비해 송신 전력이 적게 든다.[24] 아마추어 무선을 고급형 단파라디오나 무선용 트랜시버 및 통신형 수신기로 수신해 보았으면 일반적인 단파 방송에 비해 페이딩 현상이 덜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25] 이 사건은 단파 방송 퇴조의 첫 신호탄이기도 하다.[26] 대표적으로 아마추어 무선햄 자격 보유자[27] 원칙적으로는 그러했지만 당시 한국의 전자기술 수준이 낮아 고급형 FM/AM 라디오 카세트를 만들면서 일본 제품(회로, PCB, 제품 금형 등)을 그대로 들여와 만드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일본제 원판이 FM/AM과 함께 단파(SW) 수신이 되는 제품인 경우가 있는데 기술력 부족으로, 아니면 실수로 단파 수신 기능을 제외하지 않은 채로 한국에서 제조된 사례가 종종 있었다. 물론 대부분 수 개월 이내에 단파 밴드가 제거된 버전으로 재발매되긴 했다. 1981년 발매된 금성사 TCR-553 모델이 대표적인 예. 단파 수신 기능이 있는 모델과 이후 단파 밴드가 제거된 모델이다. 제5공화국 초기에 당당하게 단파라디오를 출시하다니. 여담으로 저 라디오의 제한된 SW 밴드만 가지고도 중국(당시 중공)의 방송은 여러 주파수에서 흔하게 들을 수 있었으며 북한의 대남방송은 물론 난수표 읽는 방송까지도 들을 수 있었다.[28] 정규 언론, 대남선전을 불문하였다. 대남선전용 라디오 방송으로 <구국의 소리 방송>같은 게 있었다. 이 라디오 방송은 북한 체제 선전용 사이트인 우리민족끼리의 전신이기도 하다.[29] 실제로 몇몇 주파수에 남한 측 방해 전파가 걸려있다. 그러나 북한 측 방해 전파가 더 강하다.(...)[30] 그 당시가 군사정권 시절이니 민주화 운동가가 간첩으로 몰리기도 했던 걸 감안하면 아마 민주화 운동의 확산을 방지하려는 목적도 있었을 것이다.[31] 93년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95년 말에야 풀렸다. #[32] 대한민국을 제외한 서방 국가들(일본, 서유럽, 미국 등)의 경우 200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일반 전자 매장에 단파라디오가 한두 기종 정도는 진열되어 있는 경우가 흔했다.[33] 다만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을 가급적 적게 사용하면서 중국어나 일본어 학습 목적으로 단파라디오를 활용하는 것은 21세기 현재에도 나름 유용성이 있다. 반면에 영어의 경우 서방의 단파 방송국들이 이미 대규모로 송출 감축했거나 아예 폐지해 버렸기에 지금은 거의 유용성을 상실한 상태다. 그나마 남아있는 BBC 월드 서비스 영어 방송도 송출 시간이 과거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고, 중국의 전파 방해 때문에 청취 상태가 매우 나빠졌다.[34] 지구본에서 태국과 미국 서부를 최단거리로 연결해 보자. 지나가는 경로가 한국과 가깝다.[35] 특히 500kW 고출력으로 송출할 때가 많다.[36] 반면에 중국어 방송이지만 CRI/CNR이 아닌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런 경우 중국 측의 전파 방해로 수신이 매우 어렵다.[37] 성능이 좋은 단파수신기는 단파수신기 문서에 있는 추천 수신기 목록을 참조하면 된다.[38] 같은 주파수에서 중앙인민방송 제1방송을 내보낸다. 방송국 당국에서는 정식으로 공지하지 않은 주파수다.[39] 중국 전통음악이 나온다. 출처[40] 자세한 내용은 전파 방해 참조.[41] 현재 방송 중인 방송국명을 육성 낭독을 통해 알리는 것.[] [] [44] 1945년 8월 15일(!)부터 2009년 3월 29일까지 63년간.[45] 단파 방송을 집대성해 발간하는 WRTH에서만 봐도 한국어 방송은 전부 이렇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