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0 01:06:55

당직부관


당직근무의 종류
당직병 당직부사관 당직사관 당직부관 당직사령 당직총사령

당직부관의 책무
당직사령을 보좌하고, 그의 지시를 받아 근무하며, 당직근무 상 필요한 기록을 작성·유지한다.
당직부관 완장

1. 개요

군대의 당직근무 중 하나. 참모장의 임무를 대리수행한다.

대한민국 육군대한민국 공군의 당직근무요원 중 하나로, 보통 대대 이상의 부대, 그러니까 당직사령 밑에 하루 한 명의 근무자가 배치된다. 당직사관-당직부사관처럼 당직사령의 대리자. 원칙적으로는 당직사령이 주둔지의 장을 대리하듯 참모장(연대 이하의 경우 작전과장)을 대리하는 역할이지만 사실상 당직사령이 자리를 잠시 비울 때 대기하는 역할이 주 임무이며, 덤으로 위병소/탄약고 근무교대를 도와준다.[1]

'당직팀장', '상황반장', '상황부관'이라고 부르는 등 부대마다 부르는 명칭이 다르다.[2] 병사의 경우는 상황병이라고도 부르는데, 엄밀히 따지면 상황병은 당직근무와는 별개로 상황근무를 서는 병을 가리키므로 올바른 표현은 아니다.

예전에는 주번부관, 일직부관으로도 불렀었다.

2. 대한민국 육군

당직사령을 보좌하여 일일 당직 근무에 임한다. 근무 시 노란 바탕에 붉은 색 세 줄 팔띠를 착용한다. 기본적으로 지휘통제실 근무이므로, 지휘통제실 업무와 관련이 많은 자가 서야 한다.

간부의 수가 부족하거나 규모가 작은 부대에서는 당직부관을 건너뛰고 당직사관과 당직사령만 투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부대 출신들은 당직부관이란 게 존재했단 사실을 아예 모르고 있기도 하다. 이런 경우 부관에 맡는 임무는 해당 부대의 본부중대 당직병이 대신한다.[3]

당직부관을 근무 편성하는 경우, 근무 자원에 따라 크게 두 유형으로 나뉘는데, 간부인 경우와 병 계급인 경우이다. 간부인 경우는 다시 장교인 경우와 부사관인 경우, 둘 다 하는 경우가 있다. 군무원이 많으면 군무원이 서는 부대도 있다.

간부가 당직부관을 맡는 경우, 부대의 편제단위가 높을수록 당직부관에 투입되는 계급도 높다. 이는 편제단위가 클수록 참모부의 규모가 크고 그만큼 참모장의 지위도 높기 때문이다.

여단급부터는 아무리 낮아도 부사관까지만 투입되고,[4] 사단 이상 가면 아예 거의 장교로 구성된다.[5] 근무투입자가 장교일 때는 대개 당직부관이 아니라 상황장교라고 호칭하는데, 대대급에서도 가끔식 소위~중위급이 당직부관 근무를 들어가는 사례가 있으며 이 때도 상황장교라고 부른다.

사단급 이상의 부대에서는 당직사령이 짬소령이나 짬중령일 경우 당직부관은 당연히 물소령이 서게 되는데,[6] 이 경우 당직부관이 당직사령을 대신해서 상황보고를 해야 하기에 상당히 토나오는 일이다. 상황보고 내용은 당직사령 문서에 가면 명시되어 있으니 해당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당직부관이 주임원사가 아닌 참모장의 대리임무수행인 이유는 여기에 있다. 주임원사는 상황보고 같은 거 안하기 때문이다.

연대급에서는 당직부관에 중위나 선임중사가 들어가기도 한다. 간혹 고연차 중위가 연대 당직부관을 서는 경우 대대 당직사령들을 모아놓고 화상회의로 이래라 저래라 하는 경우도 있다. 포병연대의 경우 연대본부에 중·소위나 중·하사 보직이 거의 없는 까닭에 당직부관에 중위나 중사들이 들어가는 경우가 간혹 있다. 대대급에서는 대위까지는 보통 당직사령을 맡고, (주로 본부의) 중·소위와 부사관들이 당직부관을 맡는다.

그러나 야전부대 중에서는 가끔 부대 사정에 따라 본부중대 선임병사 및 하사가 당직부관 근무를 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대체로 당직사령과 중대가 같다. 이러한 부대들은 인원 미달로 각 근무에 맡는 계급 정원이 충족되지 못해서인데, 참모장을 대리하는 중임이니만큼 원칙적으로는 간부가 맡아야 하나 그러기가 어려우니 해당 근무에 필요한 교육을 정식으로 받지 못하였더라도 선임자의 숙련도를 믿고 투입하는 것이다. 대체로 하사병장이 당직부관을, 상병 이하 병사가 당직병을, 상급 부사관들이 당직사관을 맡는다. 혹은 정원을 채우기가 몹시 어려운 부대의 경우, 당직병 근무 자체를 없애고 그 역할을 당직부사관에 통합시키기도 하며, 보충중대처럼 사람 수가 극단적으로 적은 부대에서는 일병이나 심지어 어느 정도 적응한 이병까지도 투입한다. 인원 상황상 숙련병으로만 돌리면 숙련병들은 다른 일과나 작전을 제대로 뛰지 못하고 교대로 당직근무를 서는 경비원 노릇만 해야 하기 때문이다.[7] 이러한 방식에서는 병사가 당직병-당직부관 혹은 당직병-당직부사관 테크트리를 타게 되니, 자기 근무를 서면서도 당직병의 업무를 도와줄 수도 있고 부대사정에 대해 빠삭하며 유사시 대처사항에 관해서도 부대 임기제부사관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훈련받은 상태라서 큰 문제 없이 그럭저럭 부대운용이 가능하다.

병사들 사이에서는 부대마다 인지도가 천차만별인데, 해당 부대가 당직부관을 어떤 식으로 굴리는지에 따라 다르다.

특별한 일 없이 지휘통제실에만 머무르는 경우, 그 주둔지 안에 근무하는 당직계통 중 가장 존재감이 없는 당직계통이다. 당직병~당직사관 라인은 경계근무 교대에서 직접 마주치고 당직사령5분전투대기부대 상황이 걸리거나 아침 점호 때 반드시 마주치지만, 당직부관은 병사와 직접 접촉하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접점이라고는 끽해야 당직병이나 당직부사관으로 근무할 때 이따금씩 지통실에서 행정실로 연락하는 것을 응대하는 수준이 될 텐데, 그것도 그냥 지휘관이나 다른 당직근무자, 상황병, 행정병 등이 해오는 경우가 더 많다. 그러다 보니 당직부관에 본부중대 선임병을 투입시킨다면 종종 다른 병 계급으로부터 경례를 받는 일마저 생긴다. 마주치는 횟수는 매우 적은 데다가 당직사관보다도 많은 3줄짜리 완장 덕분에 사정을 잘 모르는 타 중대 병사와 마주치면 간부로 오인되어 경례를 받는 것이다. 이 경우 그냥 무시하거나 설명하는 사람도 있으나, 대부분 그 자리에서 간부 아니라고 하기도 귀찮고 애매해서 경례를 받아주고 지나간다.

반면, 당직부관이 부대 일손으로서 부지런히 돌아다니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부대에서는 위병조장이나 정문 초소 근무자들이 지겹도록 볼 수 있다. 간부 정원이 적거나 현재원이 만성적으로 부족한 부대에서는 외진 인솔이나 종교활동 인솔, 출타자 퇴영·복귀 인솔, 출퇴근 인솔, 기타 병력 수송 인솔, 물품인수인계, 비품 구입 등 온갖 인솔과 심부름을 도맡아하는 광경도 볼 수 있다. 이 경우 상급자들이 하사나 소위, 임기제부사관 등 하급 간부가 생기는 족족 운행 셔틀로 써먹을 겸 당직근무 부담을 덜 겸 서둘러 선탑자격시험을 보낸다.
[1] 부대 규모에 따라 ''급의 부대에서 당직사관-당직부관의 관계로 존재할 때도 있다.[2] 상황부관이라고 부르는 부대에서는 당직부사관을 '당직부관'이라 많이 부르기도 한다.[3] 부대 사정에 따라 특정 근무가 편성되지 않거나 임시 근무가 추가 편성되는 경우는 은근 흔하다. 예컨대 다른 것은 다 있으나 당직병만 편성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부대에서는 당직부사관을 병 분대장 및 선임병이 맡으면서 당직병의 임무를 겸한다. 반면, 어떤 부대에서는 당직부사관이나 당직병도 다 막사에 머무르게 하면서 경계근무 인원의 교대만을 전담하는 근무를 따로 편성하기도 한다.[4] 부사관이라도 짬 찬 중사부터는 웬만하면 당직사관으로 투입된다. 중위도 참모부 장교만 당직부관으로 투입된다.[5] 사단은 대위~소령, 군단은 소령, 작전사 이상은 중령이 주로 임명된다. 다만, 당직부관이 소령일 때는 당직사령으로 들어가는 소령과의 짬 차이가 크다.[6] 사단의 경우만 짬대위가 선다.[7] 전역 직전 말년휴가 중 혹한기 훈련 일정이 겹쳐 휴가를 나눠서 휴가 중간에 5일간 부대에 복귀해 4박 5일 당직을 선 사례도 있다. 해당 병사는 포상휴가 4박5일을 다녀와서 5일간 당직-근침을 5일간 반복 후 9박10일 정기휴가와 격오지 위로휴가를 다녀온 다음날 전역했다. 물론 말만 중대지 실제 규모는 친구들 모임 수준이라 가능한 일이다. 다만 그린캠프 관리업무를 떠맡은 경우에는 자살소동과 몽유병 탈영같은 화려한 쑈도 구경 가능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