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3d5bab> | }}} | ||||
[[틀:대전광역시의 급행·광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 font-size: 14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colbgcolor=#3d5bab><colcolor=#fff> 1권역 | 101[a] | 102 | 103 | 104[a] | 105 |
106 | 107[a] | 108 | 113[a] | 114[a] | ||
115 | 119[a] | |||||
2권역 | 201 | 202[a] [b] | 203[a] | 211 | 213[a] | |
216[a] | ||||||
3권역 | 301-1 | 311 | 312[a] | 314 | 315[a] | |
316[a] | 318[a] | |||||
5권역 | 501 | 511 | 512[a] | 513[a] | 514[a] | |
6권역 | 601[a] | 602[a] | 603 | 604 | 605 | |
607[a] [b] | 608[a] | 611[a] | 612[a] | 613[a] | ||
615 | 616[a] | 617[a] | 618[a] | 619[a] | ||
7권역 | 701[a] | 703 | 704 | 705 | 706 | |
707[a] | 711[a] | |||||
8권역 | 802[a] | |||||
[a]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 노선 [b] 타 지역 시내버스와 공동배차 |
| |
대전교통 차량 | 동인여객 차량 |
1. 개요
대전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대전광역시 대덕구 석봉동(신탄진기점) | 종점 | 대전광역시 서구 괴곡동(정림동종점) | ||
종점행 | 첫차 | 05:45 | 기점행 | 첫차 | 05:45 |
막차 | 22:25 | 막차 | 22:30 | ||
평일배차 | 12분 | 주말배차 | 토요일 14분, 공휴일 15분 | ||
운수사명 | 대전교통, 동인여객 | 인가대수 | 21대[1][2] | ||
노선 | 신탄진기점 - (→ 금강엑슬루타워정문 →) - 금강엑슬루타워 - 신탄진역 - 신탄진한일병원 - 신대주공아파트 - 대한통운 - 회덕동행정복지센터 - 대전병원 - 오정농수산물도매시장 - 수정타운/가람아파트 - 꿈나무/둥지아파트 - 법원·검찰청 - 시청·교육청 - 은하수네거리 - 용문역 - 변동네거리 - 호반써밋 그랜드센트럴 - 도마삼거리 - 정림삼거리 - 정림공원 - 정림동종점 |
중간 출발 정류장 | |
정림동 방향 | 신대주공아파트5:45, 수정타운아파트5:45 |
신탄진 방향 | 변동네거리5:45, 시청5:45 |
3. 역사
- 구 735번(와동 - 갈마동)이 전신이다.
- 2008년 개편 때 '신탄진 - 탄방역' 노선으로 변경되었으며, 번호도 703번으로 바뀌었다.
- 그러나 '서남부권(관저, 가수원, 정림) - 도산로(도마, 변동, 가장) - 둔산동' 연계 수요가 211번 하나로 집중되어 결국 211번이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자, 이를 완화하기 위해 연장되었다. 211번의 과수요 문제는 703번의 연장에 이어 폐선되었던 216번이 부활하면서 진정되었다.[3]
- 결국 용문역-변동5-도마4 경유, 정림동까지 운행하는 현재 노선으로(개편 전 704번 및 704-1번과 유사하게) 연장되었다. 이때 노선 연장에 맞춰 증차도 같이 이루어졌는데, 이 회사, 저 회사에서 1~2대씩 막 끌어오다보니 7개 회사가 공동배차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 문제는 나중에 다른 노선들도 조정되고 이에 따라 운행회사가 바뀌는 과정에서 해결되었다. 덕분에 코스모스아파트, 우성아파트, 보람아파트, 늘푸른아파트, 금성백조아파트 등 정림동 지역 주민들은 둔산 지역으로 가기 위해 도보로 10~20분 걸리는 계백로 정림3거리까지 나올 필요가 없어졌다.
- 2013년 6월 25일에 1대가 증차되어 18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대전광역시 공지사항
- 2015년 7월 24일에 운행사가 충진교통에서 동건운수로 바뀌었다.
- 2015년 7월 31일부터 신탄진기점에서 바로 신탄진시장으로 가지 않고, 금강엑슬루타워 정문 쪽으로 돌아서 간다. 대전광역시 공지사항
- 2017년 7월 28일에 동건운수 단독운행에서 경익운수, 동건운수 공동운행으로 바뀌었다.[4]
- 2018년 10월 22일부터 1대가 증차되어[5] 21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19년 12월 27일부터 코스모스아파트 편도운행이 폐지되고 정림공원-백목련아파트-코스모스아파트를 경유하여 정림중학교까지 연장운행한다.
- 2020년 8월 5일에 운수업체가 경익운수, 동건운수에서 대전교통, 동인여객으로 바뀌었다. 대전교통 소속 차량은 용문역에서 가까워 공차 회송거리가 짧아졌지만,[6] 동인여객 소속 차량의 공차거리가 상당히 멀어졌다.[7]
- 2023년 3월 17일에 동인여객에서 1대가 증차되었다.
- 1001번 신설을 위해 2023년 8월 18일부터 대전교통에서 1대가 감차되었다.
4. 특징
- 신탄진, 신대동에서 둔산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읍내동 대한통운까진 둔산행 유일의 노선. 대한통운부터 출발하는 706번도 둔산을 경유한다. 신탄진에서는 705번도 있지만 배차도 길고 테크노밸리와 전민동을 경유하므로. 사실상 신탄진, 신대동에서 둔산으로 갈 때는 703번을 주로 이용한다. 또한 기점지 바로 옆에 금강 엑슬루타워가 완공되면서 예전보다 승객이 많이 늘어났다.
- 출퇴근 및 등하교 시간에는 이미 정림동종점부터 만차상태가 된다. 이는 615번 버스도 마찬가지.
- 둔산 지역을 중심으로 신탄진, 회덕, 가장동, 정림동 지역을 주된 수요처로 삼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러시아워 시간대는 헬게이트 수준을 자랑하는 롯데백화점과 갤러리아타임월드 덕분에 배차시간이 들쑥날쑥하다. 신대동과 신탄진 주민들의 둔산 접근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2대 가량 더 증차하여 간격을 줄인다면 둔산 접근성 향상과 배차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여겨졌는데, 증차되었다.[8] 운행업체도 신탄진 종점이 가까운 동건운수로 변경되면서 평일 2대 주말 1대가 증차. 하지만 이렇게 증차하였음에도 2019년도 기준으로 출퇴근시간에는 여전히 배차시간이 심하게 들쑥날쑥한 경우가 잦다. 둔산, 탄방, 용문동 지역의 극심한 정체가 원인.
- 2016년 7월 이후로 배차간격이 상당히 들쑥날쑥해졌다. 운행 시간이 기존 86분에서 97분, 배차 간격은 11분에서 12분으로 증가함에 따라, 일부 시간대에는 간격이 14분으로 늘어나는 경우가 생겼고, 이 때문에 정체 구간에 따라 18~20분까지 늘어난다. 특히 출퇴근 러시아워 시간에는 20분 이상으로 늘어나는 경우가 종종있다.[9] 현재는 운행 시간이 102분으로 조정되어 대전 공동 2위를 차지하고 있다.[10]
- 동인여객 간선노선들중 유일하게 공차회송하는 노선이다.[11][12] 신탄진기점지와 정림동종점에서 모두 공차회송 거리가 상당한데 신탄진기점지에서는 30km, 정림동종점에서는 23km 정도 회송해야 한다.
- 주요 수요처는 신탄진 방면에서 정림동~도마동~변동~가장동~용문동에서 둔산 도심이며, 그리고 정림동 방면에서는 와동,신대동~읍내동~대화동~오정동에서 각각 둔산 도심과 롯데백화점 대전점까지이니 당연히 서남부터미널 종점 시절 701번과 더불어 가축수송노선 이다.[13]
- 700번대 노선들중 711번과 같이 유성구로 가지 않는다.
- 동인여객에서 신차 배정 시 가장 우선순위로 배정받는 노선이다. 그 다음은 108번.
- 대한통운종점-도마삼거리 구간은 615번과 소요시간이 비슷하나, 둔산동, 용문동 정체가 심할 경우 본 노선이 시간이 더 걸린다.
- 신탄진에서 정림동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보니 운행 거리도 길고, 둔산동, 용문동 정체 구간 및 굴곡 코스 등으로 인해 운행 시간도 길어 배차 간격과 운행 시간을 맞추기 위해 대전 버스 치고는 운행 속도가 꽤 빠른 편이다.
4.1. 노선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정림동종점 35650 · 35640 | |||||
정림중학교 34610 | 정림중학교 34600 | |||||
코스모스아파트 35630 | ↓ | ↑ | 백목련아파트 35620 | |||
정림공원 30890 | 정림공원 35610 | |||||
정림초등학교 30880 | ↓ | ↑ | 정림초등학교 30860 | |||
정림삼거리 30840 | 정림삼거리 30830 | |||||
정림동 30900 | ↓ | ↑ | - | |||
서부소방서 30910 | 서부소방서 30490 | |||||
도마삼거리 30640 | ↓ | ↑ | 도마삼거리 30650 | |||
도마1동행정복지센터 30710 | 도마1동행정복지센터 30700 | |||||
구농도원네거리 30690 | ↓ | ↑ | 구농도원네거리 30680 | |||
구농도원 30670 | 구농도원 30660 | |||||
향우네거리 30260 | ↓ | ↑ | 향우네거리 30250 | |||
변동네거리 30290 | 변동네거리 30270 | |||||
변동오거리 31460 | ↓ | ↑ | 변동오거리 30320 | |||
- | 맑은아침아파트 31720 | |||||
래미안아파트1단지 31490 | ↓ | ↑ | 래미안아파트1단지 31510 | |||
래미안아파트2단지 31520 | 래미안아파트2단지 31550 | |||||
대전산업정보고 30920 | ↓ | ↑ | 대전산업정보고 30930 | |||
- | 용문역3번출구 30950 | |||||
용문역5번출구 31160 | ↓ | ↑ | 롯데백화점 31450 | |||
서부농협본점 31120 | 탄방네거리 31420 | |||||
개나리아파트 31050 | ↓ | ↑ | 유승기업사 31020 | |||
대전상공회의소 32100 | 큰마을아파트 31970 | |||||
은하수네거리 32080 | ↓ | ↑ | 은하수네거리 32070 | |||
SK브로드밴드 32220 | 아이빌딩 32190 | |||||
대전광역시청 32350 | ↓ | ↑ | 시청.교육청 32310 | |||
시청역 32410 | 시청역 32390 | |||||
법원.검찰청 32480 | ↓ | ↑ | 법원.검찰청 32440 | |||
사학연금회관 32490 | 사학연금회관 32450 | |||||
둥지아파트정문 32560 | ↓ | ↑ | 꿈나무아파트 32520 | |||
삼천중학교 32630 | 수정타운아파트정문 32640 | |||||
가람아파트 32650 | ↓ | ↑ | 수정타운아파트 32660 | |||
오정농수산물시장 50040 | 오정농수산물시장 50030 | |||||
화정초등학교 50110 | ↓ | ↑ | 신동아아파트 50100 | |||
대전병원 50300 | 대전병원 50290 | |||||
대화동육교 50570 | ↓ | ↑ | 대화동육교 50580 | |||
대전산업단지삼거리 50600 | 대전산업단지삼거리 50590 | |||||
읍내네거리 50660 | ↓ | ↑ | 읍내네거리 50650 | |||
회덕동주민센터 50680 | 회덕동주민센터 50670 | |||||
대한통운 50700 | ↓ | ↑ | 대한통운 50690 | |||
정수장 50770 | 대한통운종점 50710 | |||||
대덕구장애인복지관 53170 | ↓ | ↑ | - | |||
성우동산 50750 | 성우동산 50740 | |||||
연축아파트 50760 | ↓ | ↑ | 와동초등학교 50790 | |||
와동현대아파트 50810 | 신대주공아파트 50800 | |||||
들말/신대차고지 50840 | ↓ | ↑ | 들말/신대차고지 50820 | |||
선바위 52210 | 선바위 52200 | |||||
상서삼거리 52230 | ↓ | ↑ | 상서삼거리 52220 | |||
신탄진한일병원 52260 | 신탄진한일병원 52270 | |||||
평촌동 52320 | ↓ | ↑ | 평촌동 52310 | |||
덕암동주민센터 52340 | 덕암동주민센터 52330 | |||||
남경마을 52830 | ↓ | ↑ | 남경마을 51720 | |||
신탄진역 52810 | 신탄진역 52790 | |||||
신탄진시장 51710 | ↓ | ↑ | 신탄진시장 51700 | |||
금강엑슬루타워 51680 | 금강엑슬루타워 51660 | |||||
- | ↓ | ↑ | 금강엑슬루타워정문 53370 | |||
신탄진기점지 51650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정림동종점 ▼ | ▲ 정림동종점 |
괴곡길 | ||
코스모스아파트 ▼ | ▲ 정림중학교 | |
구봉로 | ||
정림공원 ▼ | ▲ 백목련아파트 | |
정림로 | ||
정림동 ▼ | ▲ 정림삼거리 | |
계백로 | ||
도마1동행정복지센터 ▼ | ▲ 도마삼거리 | |
도산로 | ||
용문역5번출구 ▼ | ▲ 용문역3번출구 | |
계룡로 | ||
은하수네거리 ▼ | ▲ 큰마을아파트 | |
대덕대로 | ||
SK브로드밴드 ▼ | ▲ 은하수네거리 | |
둔산로 | ||
법원.검찰청 ▼ | ▲ 시청역 | |
문예로 | ||
둥지아파트정문 ▼ | ▲ 사학연금회관 | |
청사로 | ||
삼천중학교 ▼ | ▲ 꿈나무아파트 | |
문정로 | ||
가람아파트 ▼ | ▲ 수정타운아파트정문 | |
한밭대로 | ||
대전병원 ▼ | ▲ 신동아아파트 | |
대전로 | ||
정수장 ▼ | ▲ 대한통운 | |
신탄진로 | ||
신탄진시장 ▼ | ▲ 신탄진역 | |
대덕대로 | ||
신탄진기점지 ▼ | ▲ 금강엑슬루타워 | |
대덕대로1527번길 | ||
▲ 신탄진기점지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6대 명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7ec384,#3c8142><colcolor=#fff> 수제비와 수통골 여행버스 | 11, 103, 104 |
한방백숙과 계족산 여행버스 | 74, 311 | |
전통냉면과 식장산 여행버스 | 611 | |
보리밥과 보문산 여행버스 | 802 | |
손두부와 장태산 여행버스 | 22 | |
호떡과 만인산 여행버스 | 501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천혜의 가로수길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87cefa><colcolor=#fff,#191919> 해물칼국수와 벚꽃 여행버스 | 703, 705 |
산채비빔밥과 벚꽃 여행버스 | 107 | |
송어회와 벚꽃 여행버스 | 30, 31, 32 | |
산림욕과 물놀이 여행버스 | 501 | |
민물매운탕과 단풍 여행버스 | 72, 73 | |
대청호 카페와 억새 여행버스 | 60, 61 | |
복수한우와 눈꽃 여행버스 | 34 |
[1] 대전교통 8대, 동인여객 13대[2] 토요일 17대(동인 10대, 대교 7대), 공휴일 16대(동인 9대, 대교 7대) 운행[3] 은하수내거리부터 정림동까지 노선이 완전히 겹치는데, 이 구간은 사실상 두개의 노선이 같이 운행하는 셈이다.[4] 동건운수 차량은 5대로 줄면서 605번, 701번, 711번으로 넘어갔다.[5] 2304호, 312번에서 이동[6] 단, 새벽 신탄진발 차량의 공차회송거리는 긴 편이다.[7] 동인여객은 신탄진에서 운행을 종료하기에, 대전의 끝에서 끝까지 공차회송해야한다. 하지만 이도 104번 시절보다는 나아진 것이다. 104번의 경우에는 수통골에서 낭월차고지까지 무려 31km라는 간선버스 노선 전 구간 길이에 버금가는 수준이기 때문. 심지어 저건 고속도로까지 탔다.물론 703번도 20km는 그냥 넘어가는 공차회송 거리를 자랑한다[8] 1대가 증차, 312 감차분 차량이 이 노선에 투입되었다.[9] 공식 배차 간격이 11분에서 12분과의 차이는 천지차이다. 같은 도산로를 경유하는 211번과 비교하면 확실히 체감된다. 더군다나 703번은 둔산동 굴곡 코스와 그에 따른 정체로 인해 신호 한두번만 놓쳐도 18분에서 21분까지 느는건 한순간이다.[10] 자주 운행하지 않는 외곽 노선을 제외하고, 시간표상 편도 운행 시간이 긴 순서로 1위 202번, 2002번(1시간 46분), 공동 2위 703번, 704번(1시간 42분), 4위 103번(1시간 39분), 5위 316번(1시간 38분), 6위 802번(1시간 36분), 7위 705번(1시간 35분), 8위 514번(1시간 34분), 9위 311번(1시간 33분), 10위 119번(1시간 32분), 공동 11위 213번, 603번(1시간 30분) 순이다. 본래 1위는 705번(1시간 54분)이었으나, 2023년 11월 24일 이후 종점이 대전역동광장에서 시청환승지로 다시 단축됨에 따라 편도 운행 시간이 19분 감소하여 편도 1시간 35분으로, 7위로 떨어졌다.[11] 지선, 외곽버스까지 포함하면 60번과 317번도 포함된다.[12] 동인여객과 차고지를 공유하는 산호교통 간선노선인 514번과 완전 반대이다.[13] 퇴근 시간때 용문역 3번 출구 정류장에서 몇 명 못 탈 정도이다. 퇴근시간에 용문역 3번 출구에서 탈 일 있으면 다른 사람들보다 미리 도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