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2 08:48:42

더 플래시: 버티컬 벨로시티(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문서가 존재하는 미국의 롤러코스터
{{{#!wiki style="border-top: 1px solid currentColor; width: 90%; margin: 5px auto;"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dd,#383b40><tablebgcolor=#fff,#1c1d1f><width=33%> 더 비스트
KI
1979
||<width=34%> 사이클론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M
]]
1991~2006
||<width=33%> 코멧
SGes
1994
||
조커의 복수
SF
1996~2001
빅 애플 코스터
N
1997
슈퍼맨: 크립톤에서의 탈출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M
]]
1997~2024
디 인크레더블 헐크 코스터
[[유니버설 올랜도 리조트|
U
]]
1999
머스크랫 스크램블러
SNo
2000~2005
로드 러너 익스프레스
SNo
2000~2005
메가 제프
SNo
2000~2005
지데코 스크림
SNo
2000~2005
선 오브 비스트
KI
2000~2009
니트로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Gad
]]
2001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M
]]
2002
배트맨: 더 라이드
SNo
2003~2005
제스터
SNo
2003~2005
킹다 카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Gad
]]
2005~2024
엘 토로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Gad
]]
2006
팬서리안
KD
2010
그린 랜턴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Gad
]]
2011~2024
로드 러너 익스프레스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M
]]
2011
밴시
KI
2014
트위스트 콜로서스
[[식스 플래그 매직 마운틴|
SM
]]
2015
위키드 사이클론
SNe
2015
퓨리 325
Ca
2015
스틸 벤전스
[[시더 포인트|
CP
]]
2018
해그리드 매지컬 크리처스 모터바이크 어드벤처
[[유니버설 올랜도 리조트|
U
]]
2019
저지 데블 코스터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Gad
]]
2021
쥬라기 월드 벨로시코스터
[[유니버설 올랜도 리조트|
U
]]
2021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코스믹 리와인드
[[EPCOT|
EP
]]
2022
트론: 라이트사이클/런
[[매직 킹덤|
MK
]]
2023
밥캣
SGes
2024
더 플래시: 버티컬 벨로시티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SGad
]]
2025
락샤사의 분노
SGam
2025
KI: 킹스 아일랜드
SGes: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이스케이프
SF: 식스 플래그 피에스타 텍사스
N: 뉴욕 뉴욕 호텔
SNo: 식스 플래그 뉴올리언스
KD: 킹스 도미니언
SNe: 식스 플래그 뉴 잉글랜드
Ca: 캐로윈즈
EP: EPCOT
SGam: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아메리카
더 플래시: 수직 속도
The Flash: Vertical Velocity
파일:더 플래시: 수직 속도.jpg
<colbgcolor=#EF3022><colcolor=#ffffff> 개장일 2025년 3월 29일
기종 Super Boomerang
위치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메트로폴리스
제작사 [[https://www.vekoma.com/|
파일:베코마 로고.svg
]]
디자인 벤야민 블루먼달 (Benjamin Bloemendaal)
트랙 길이 436m
운행 시간 1분 20초
추진 방식 LSM Launch, LSM Boost
런치(Launch) 1회[1]
부스트(Boost) 1회[2]
하강 횟수 10회
최고 높이 52m
최고 낙하 각도 90°
최고 종경사 각도 90°
탑승인원 24명
인원 수용량 시간당 800명
최고 속도 95km/h
최대 중력가속도
(G-Force)
4.0G
트랙 인버전 2회
라이더 인버전 4회
실내 구간 있음
특수 트랙 4개[3]
1. 개요2. 역사3. 특징4. 여담

1. 개요

파일:더 플래시: 수직 속도3.jpg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에 위치한 롤러코스터.

2. 역사

2021년 11월 EAP 매거진을 통해 베코마가 새로운 셔틀 급발진 코스터 레이아웃을 처음 공개했다. 오랜 기간 생산된 부메랑 모델을 계승하는 의미에서 슈퍼 부메랑(Super Boomerang)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해당 기종은 2023년 7월 중국 통산에 위치한 쉬저우 판타와일드 원더랜드에서 클라우드 셔틀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장하였다.

한편, 2022년 11월 기준 식스 플래그 체인의 전체 입장객 수는 33% 하락했다. 이는 가격 인상과 신규 투자 중단 등 기업 전략이 손님들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준 결과로 분석되었다. 이에 식스 플래그는 방향을 전환하고자 같은 해 11월 플로리다 올랜도에서 열린 IAAPA 엑스포에서 대응책으로써 현장에서 여러 제조사들과 신규 어트랙션 계약을 체결했다. 베코마 역시 이 중 하나였으며, 양측은 주니어 코스터 한 대를 계약했고, 이는 후에 식스 플래그 세인트루이스의 루키 레이서라는 이름으로 납품되었다. 이 계약을 계기로 양사는 추가 협력도 이어가게 되었고, 더 플래시: 수직 속도 개장의 바탕이 되었다.

2023년 8월, 식스 플래그의 최고재무책임자 게리 미크는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개장 50주년을 기념하여 2024년에 새로운 롤러코스터가 추가될 예정임을 언급했다. 그는 "설계와 제작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롤러코스터 특성상 늦게 도입되는 경우는 드문데, 이번에는 운 좋게 좋은 기회를 얻게 되어 결정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같은 시기, 그레이트 어드벤처는 신규 코스터의 스펙들을 암호화한 숫자들이 담긴 티저를 순차적으로 공개하며 티저 캠페인을 시작했고, 해당 수치가 곧 베코마의 슈퍼 부메랑 모델의 스펙과 일치함이 밝혀지며 사실상 거의 슈퍼 부메랑 모델이 들어오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2023년 8월 30일, 공식적으로 해당 코스터 명칭인 더 플래시: 수직 속도 (The Flash: Vertical Velocity)을 정식으로 발표하였고, 기종 또한 슈퍼 부메랑임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이는 공원 내 15번째 롤러코스터이며, 서반구에서 최초로 설치되는 Vekoma 슈퍼 부메랑 모델이다. 더 플래시 또한 식스 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처 역사상 20년 만에 가장 큰 투자 프로젝트 중 하나로 분류되며, 사파리 오브 로드 어드벤처 리뉴얼, 고급 캠핑 시설 도입 등 다양한 개선 작업과 함께 진행되었다.

2023년 12월 18일에는 잭슨 타운십 도시계획위원회가 프로젝트를 공식 승인했다.

2024년 1월, 과거 현재는 철거된 사이보그 사이버 스핀이 있던 부지에서 벌목 및 부지 정리가 시작되었으며, 지역 시공사 포스 콘크리트가 2월부터 기초 공사를 진행했다.

2024년 2월 중순, 트랙과 지지대가 현장에 도착했다.
▲ 탑승 영상
2024년 3월, 코스터의 애니메이션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2024년 4월 말, 설치 작업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2024년 8월 12일, 공원 측은 공식 SNS를 통해 이 롤러코스터의 개장이 2025년으로 연기되었음을 발표했다.

2025년 3월 29일, 더 플래시: 수직 속도가 공식적으로 개장하였다.

3. 특징

▲ 탑승 영상
최고 높이 52m, 최고 속도 95km/h, 최고 각도 90°라는 스펙을 보유한 코스터이다.

상술했듯 기존의 부메랑 모델을 발전시킨 최신 모델로, 역동적인 탑승감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급발진 구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수직 낙하와 여러 인버전 트랙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들을 통해 고유의 지포스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일단 전체적으로 스펙이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높아지며 스릴 강도가 훨씬 올라갔다.[4]

부메랑이라는 기종 이름답게 셔틀코스터인건 여전하지만, 리프트 힐을 통해서 추진하던 기존 부메랑과 달리, 이번 기종은 LSM Launch 시스템을 채택하여, 초반 구간에서만 세 번 연속 런치를 경험할 수 있다. 첫 번째 런티는 정지 상태에서 출발해 가속하며, 두 번째 런치는 역방향으로 가속하고, 세 번째 런치는 다시 한 번 역방향으로 발사된다. 이를 통해 탑승객은 여러 번의 속도 변화와 방향 전환을 경험하며, 더욱 다채로운 탑승감을 경험한다. 레이아웃 또한 수직 구간과 Stalled Immelmann, Corkscrew 등을 추가하여 레이아웃에 변화를 주었다. 이로 인해 승객은 4번의 인버전을 느끼며, 10회에 달하는 에어타임을 느낄 수 있다. 디자인 또한 좌우대칭으로 단조롭게 구성된 기존 디자인에서 벗어나 슬림한 디자인을 채택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했다.

코스는 열차가 정지된 상태에서 LSM Launch를 통해 천천히 가속해 앞으로 상승했다가 루프를 넘지 못하고 다시 뒤로 하강한다. 이후 열차는 다시 스테이션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LSM Launch 구간을 다시 뒤로 지나가며 한번 더 빠르게 가속하고, 뒤로 90°로 상승한 뒤 다시 앞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다시 LSM Launch 구간을 또 지나며 한번 더 가속하고, 최고 속도 95km/h를 도달하며, 그대로 상승해 납작한 납작한 루프 형태를 띠다가 후반부에 트랙이 다시 뒤집히며 열차가 똑바로 서게되는 형태의 인버전 트랙을 지난다. 이 구간에서 뒤집히는 구간이 일자로 구성되어 있고, 상당히 길며 이 구간을 지날때 열차의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강한 행타임을 느낄 수 있다. 인버전 구간 다음에 있는 LSM Boost 구간을 지나며 열차는 다시 한번 가속해 느려진 속도를 복구하고, 두번에 나눠서 상승한 뒤 Stalled Immelmann 구간을 지나면서 하강한다. 이후 열차는 또 다시 상승하며 콕스크류를 통과하고, 그대로 수직상승한다. 여기서부터 더 플래시: 수직 속도의 하이라이트가 시작되는데, 트랙 ㄱ끝이 끊겨 있어 열차는 이를 넘기지 못하고 다시 뒤로 수직하강하며 여태까지 질주해왔던 코스를 모두 거꾸로 되돌아간다. 이후 마지막에는 스테이션까지도 지나 거꾸로 낮게 상승한 뒤, 앞으로 하강하고 정차하는 방식이다.

신장 제한은 122cm이다.

4. 여담



[1] LSM Launch (multi-pass)[2] LSM Boost[3] Vertical Rollback (2), Stalled Immelmann, Corkscrew[4] 최고 높이 35m->52m, 최고 속도 76km/h->95km/h, 최고 각도 4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