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5 20:45:00

데빌 서머너 쿠즈노하 라이도우 대 초력병단

데빌 서머너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5f5f5><colbgcolor=#000000> 본편 진 여신전생 데빌 서머너
소울 해커즈 소울 해커즈 소울 해커즈 2
쿠즈노하 라이도우 쿠즈노하 라이도우 대 초력병단 쿠즈노하 라이도우 대 아바돈왕 }}}}}}}}}
데빌 서머너 쿠즈노하 라이도우 대 초력병단
デビルサマナー 葛葉ライドウ 対 超力兵団
Shin Megami Tensei: Devil Summoner:
Raidou Kuzunoha vs. the Soulless Army
<nopad> 파일:36A33165-4B11-4B05-9DFD-35A94A36E7DD.webp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개발 ATLUS
유통
플랫폼 PlayStation 2
Switch | Switch 2 | PS5 | PS4 | XSX|S | Steam(리마스터)[1]
장르 롤플레잉 게임
출시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6년 3월 2일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2006년 10월 10일
파일:세계 지도.svg 2025년 6월 19일(리마스터)[2]
엔진 유니티(리마스터)
한국어 지원 공식 미지원,유저 비공식 지원(리마스터)
심의 등급 심의 없음
해외 등급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ESRB Mature.svg ESRB M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 |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 파일:Microsoft Store 라이트 테마 아이콘.svg파일:Microsoft Store 다크 테마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시스템4. 줄거리5. 등장인물
5.1. 나루미 탐정 사무소5.2. 상점 관련5.3. 다이도지 가5.4. 제도의 주민들5.5. 일본군5.6. 기타 등장인물
6. 평가7. 기타8. 리마스터판
8.1. 시스템 요구 사항8.2. 변경점8.3. DLC8.4. 한국 발매 불발 및 유저 비공식 한글화 지원8.5. 평가8.6. 기타

1. 개요

오프닝
진 여신전생 시리즈의 외전 데빌 서머너 시리즈의 작품. 디렉터는 야마이 카즈유키(山井一千). 원안 및 캐릭터 디자인은 카네코 카즈마.

다이쇼 20년(1931년)의 평행세계[3] 일본을 배경으로 하는 시대극이자, 퇴마사인 주인공이 악마를 퇴치하거나 사역하는 오컬트물이다.

2. 특징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있지도 않았던 다이쇼 20년이라는 가공의 시대를 만들어낼 정도로 소위 다이쇼 로망에 집중한 작품으로, 일본 전통 문화가 외국 문화와 융합되며 다이쇼 특유의 융합 문화를 이루던 시대의 모습을 담아내려 노력했다. 주인공인 14대 쿠즈노하 라이도우가 한손에 일본도, 한손에 미국산 리볼버를 들고 싸우는 것도 이런 융합 문화를 상징하는 것이라 해석된다.

하지만 그 시대 설정 때문에 결코 우익 논란을 피할 수 없는 작품이기도 하다. 작중 핵심 인물로 일본이 열강과 호각으로 싸워가기 위한 일환으로 초력계획을 입안했지만 비웃음을 받고 좌절했고, 결국 흑막에게 이용당한 군인인 무나카타에 대해 주요 등장인물의 입을 빌려 "나라를 걱정해 싸우려던 사람, 초력계획을 입안하고 국가를 구하려 노력했던 한 명의 군인"이었다고 긍정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긍정적인 묘사는 게임 밖에서의 제작진의 언급으로도 드러나는데, 디자이너인 카네코 카즈마의 코멘트로는 그에 대해 상당한 인격자로 앞으로의 일본이 어떻게 될지 예상하고 장래를 걱정하고 있던 인물이었으나 자신의 생각을 고집한 나머지 가 끼었을 것이라고 하며, 원래 무나카타에 찬동하는 스토리 분기도 넣을 생각이었으며 자신도 무나카타파라고 하기도 했다. 디렉터인 야마이 카즈유키에 의하면 누구보다 나라를 생각하고 선견지명도 있었지만 너무 독창적이었기에 주변에서 따라올 수 없었던 인물이라고 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해 게임 내에 국수주의적인 사상이 들어간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있다.

그밖에도 그가 초력계획을 입안한 이유가 열강들의 위협 때문이라고 한 것도, 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이 열강들에게 압박을 받아 어쩔 수 없이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다고 하는 역사수정주의적인 입장과 비슷한 것으로 보는 비판, 그 군인이 흑막에게 이용당한 것도 과거 일본 제국군에 대한 미화까지는 아니더라도, 작중에서 벌어진 사건들의 책임 소재를 일본군에서 흑막한테 넘기는 것으로 일본 내의 우익들의 비판을 회피하려는 면책적인 설정이라는 비판, 거리 곳곳에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취급되는 욱일기가 게양되어 있다는 비판, 이 작품이 전쟁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기는 해도 일본이 전쟁을 일으킨 것에 대한 반성이 아니라 반딧불이의 묘에 대한 비판과 비슷하게 일본을 전쟁의 피해자로만 간주하는 가치관이 깔려 있다는 비판, 작중 스토리에서 "수천 년 전의 원한은 지금의 우리와 상관없잖아!" "놈들의 후예인 것... 태어나버린 것이 죄다!"라는 문답이 있는데, 이를 "과거 일본 제국이 행한 잘못들은 지금의 일본인과 상관없으니 반성도 사죄도 할 필요가 없다. 일본인으로 태어난 것이 죄냐"고 비꼬는 것으로 보는 비판, 육군 악역과 해군 조력자를 등장시키는 것으로 어디까지나 나쁜 것은 육군에 한정된다는 해군선옥론을 주장하고 있다는 비판 등도 있다.

하지만 그가 초력계획을 세운 것도 군국주의나 팽창주의적인 사고에서 기인한게 아니라 어디까지나 군축을 강요당한 일본이 이후 열강들에게 유린당할 것을 예견하고 한 행동으로, 침략이 아닌 방어를 위한 무력의 보유와 행사라는 점에서 현대의 자위대의 설립 기조와 비슷한 사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더욱이 그 초력계획도 어디까지나 초력광선, 초력전차 등의 시대를 한참 뛰어넘은 오버테크놀로지 무기를 개발하자는 망상에 가까운 계획에 불과했으며 절대로 국민들을 희생해서 초력병단을 만들어 전쟁을 일으키려는 계획이 아니었다. 무엇보다 그는 작중 시점에선 이미 고인이었고, 작중에서 벌어진 초력병단 사건은 전부 흑막이 그를 죽이고 그의 행세를 하고 그의 계획을 자신의 목적을 위해 개조, 이용[4]한 것이었기에, 진짜 그는 아무런 짓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엄밀하게는 악역이 아니라 피해자에 가깝다. 즉 사상적으로든 실질적으로든 그 개인을 비난할 수 있는 요소는 거의 없기에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긍정적인 묘사도 이상한 일은 아닐 것으로 보는 해석도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긍정적인 대사를 말한 NPC도 "국가를 위해 시민을 희생하는 건 틀린 것이다"라고 한다. 작중에서도 NPC들이 과거의 전쟁에 대해 "군인들은 부국을 명목 삼아 전쟁을 일으켰어! 몇 명이나 더 죽어야 깨닫게 되는 거냐!" "돈을 물쓰듯이 쓰며 신무기를 개발했지." "국민의 목숨을 등한시하면서까지 외국을 이긴다고 무슨 소용이 있어?" "전쟁을 이용해 한몫 잡은 놈들도 있어...(중략) 속이 뒤집어지는군." 라고 하는 등 반전체주의적, 반전주의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심지어는 초력계획을 지지하던 군인 NPC들마저도 전모를 알고 "저런 짓을 하는 줄 알았으면 제대했을 거야!"라든가 "저런 살육무기를 만들기 위해 우리는...?"라고 회의감을 표현하는 장면도 존재한다. 특히 작중에서 일본 제국군은 속으로부터 곪아있는 집단으로 묘사되며[5] 그런 일본 제국군의 야심을 저지하는 것이 이 게임의 메인 스토리에 포함되어 있다.[6] 즉 이 작품의 일본 제국군은 만악의 근원이며, 쇼와 시대부터 일본을 지배하던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이기에, 이 게임에 등장하는 일본 제국군 군복 등이 다른 작품에 나오는 것을 군국주의에 대한 칭송으로 보는 것은 완전히 오해에 가깝다. 『쿠즈노하 편람 ~다이쇼 20년판~』에서도 "(다이쇼 시대는) 군국주의 등이 대두하는 기운이 감돌아, 시민은 미증유의 변화와 불안 속에 살고 있던 시대였을지도 모른다."라고 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 거리에 일본 제국 육군의 군기인 욱일기가 게양되어 있는 것도 군국주의에 대한 미화가 아니라, 게임 내 대부분의 장소에서 제복을 입은 군인들이 순찰을 하고 다니는 것과 마찬가지로 군국주의가 팽배하던 20세기 초반 일본 제국에 대한 역사적 고증에 가까울 것으로 보인다.[7]

리마스터판에서는 원작에서 지적된 내용들이 대부분 수정되기도 했다. 거리에 나부끼는 욱일기들이 일장기로 대체되었고, "놈들의 후예인 것... 태어나버린 것이 죄다!"라는 대사는 "놈들의 후예인 것... 놈들을 따르는 것이 죄다!"로 수정되었다. 또한 서양 열강에 대해 적대감을 드러내는 NPC의 대사가 삭제되거나 그냥 외국이라고 뭉뚱그려졌으며, 무나카타가 초력병단 계획을 세우게 된 동기가 서양 열강의 위협에 맞서 싸워서 이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날 것을 예상하고 대비하기 위해서로 좀 더 온건해졌다. 일본이 일으킨 과거의 전쟁(시기상 만주사변으로 보인다)에 대해 "이름만 군사 작전인 범죄에 가담"했다면서 어느 정도 책임을 인정하는 듯한 대사가 추가되기도 했다. 대일본제국이라는 단어도 제도로 변경. 해군 대장을 구하는 퀘스트는 아마츠카미를 구하는 퀘스트로 변경되었다.

어느 쪽에 중점을 두고 보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결론적으로 다른 다이쇼 로망 배경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 일본인이 만든 일본 배경의 게임이기에 일본 중심적인 사고 방식이 타국에서 보기에 눈살이 찌푸려질 정도로 많이 반영된 것은 사실이어도, 시대 배경이 다이쇼 시대라는 것이나 일본 제국군이 주요 등장인물로 나온다는 이유만으로 우익적, 군국주의적인 작품으로 볼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에서 다이쇼 시대를 배경으로 한 귀멸의 칼날이 크게 유행을 하는 등 이러한 시대 설정에 대한 반감은 일반적으로 미미한 편이지만, 역사적 사실에 대한 무지로 인해 라이도우의 복장을 군복이나 순사복으로 오해하거나, 시대가 시대인 만큼 그 설정 자체만으로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들도 있는 등, 1931년 당시 일본의 식민 지배를 받은 바 있는 한국에서는 본작의 설정에 부정적인 의견이 필연적으로 나올 수밖에 없으며, 특히 반일 감정이 불거지며 일어난 각종 사건들로 인해 앞으로도 한국엔 리마스터판을 비롯한 관련 작품들이 정식으로 발매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3. 시스템

전투는 플레이어가 게임 패드를 조작해 직접 수행한다. 진 여신전생 메타 시리즈 중 유일무이한 액션 롤플레잉인 셈. 다만 액션이래봐야 검을 휘두르고 총을 쏘는 초보적인 액션이긴 하다.

전투 중에는 회복 마법을 이용해 주인공을 치료하거나, 공격 마법을 이용해 적을 공격하는 등, 라이도우의 동료악마가 고유 기술을 틈틈이 시전해 주인공을 돕는다. 어떤 기술을 사용하게 할지 명령을 통해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전투 중 소환해둘 수 있는 악마는 1마리이며, 이후 리마스터판에서 2마리로 늘어난다.

3.1. 데빌 카르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빌 서머너 쿠즈노하 라이도우 대 초력병단/데빌 카르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빌 서머너 쿠즈노하 라이도우 대 초력병단/데빌 카르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빌 서머너 쿠즈노하 라이도우 대 초력병단/데빌 카르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줄거리

다이쇼 20년, 제도, 메이지 유신 후의 문명 개화로 일찍이 에도라고 불린 도시는 급속한 근대화를 추진하고 있었다. 사람들의 삶은 격변해, 새 시대에 순응하고 부를 얻는자와, 낡은 생각을 고집하고 곤궁에 처한 자로 크게 나뉘었다. 여러 사람들의 정념이 소용돌이치는 제도는 이제 여러 괴이를 만들어내는 '마도'가 된 것이다. 어느 날, 제도에서 탐정사무소를 운영하는 나루미와 그 부하인 쿠즈노하 라이도우에게 한 건의 의뢰가 날아온다. '저를 죽여주세요...' 의뢰인은 한 소녀였다. 소녀의 결심한 표정에서 심상치 않은 사정을 감지한 나루미와 라이도우는 소녀에게 의뢰의 진의를 묻는다. 하지만 소녀는 진의를 알리지 않은 채, 나루미와 라이도우의 눈앞에서 붉은 망토의 헌병에 의해 어딘가로 끌려가버린 것이었다.
납치된 소녀의 이름은 다이도지 카야. 제도 유수의 자산가의 외동딸이었다. 라이도우는 나루미의 지시 하에 데빌 서머너의 능력을 구사하며 카야의 행방을 쫓았다. 다이도지가의 당주는 병석에 있어 카야와 그 숙부에게 유산 상속의 자격이 있는 것. 예로부터 다이도지가의 여계에는 귀신이 씌인다는 기묘한 전승이 있는 것. 그리고 사건의 배후에 엄청나게 거대한 존재가 도사리고 있는 것... 앞길을 막아서듯 발생하는 수많은 괴이를 뚫고 라이도우는 사건의 진상에 다가가는 것이었다.
주인공은 쿠즈노하 일족의 데빌 서머너14대 쿠즈노하 라이도우로, 퇴마사이자 사립탐정의 조수로서 다양한 사건을 의뢰받아 해결하는 것이 게임의 주된 내용이다. 라이도우는 특수한 능력을 가진 악마들을 사역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힘을 빌려 사건의 실마리를 찾아내며, 그 과정에서 악당이나 악귀와 대적할 경우 스스로 검과 총을 이용해 전투를 벌이기도 한다.

본 작품의 줄거리는 전투 요령을 익히는 프롤로그를 제외하고 총 12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장은 하나의 사건에 해당한다. 초반부 사건들은 평범한 괴담이나 요괴 출몰을 조사하는 내용이지만, 좀비 군대인 초력병단의 비밀을 파헤치며 점점 이야기의 규모가 커지며 클라이막스에서는 군함과의 대결, 거대 로봇과의 싸움이 벌어지기도 하고 우주 여행, 시간 여행, 다중 우주 등 상상을 초월하는 스토리가 전개된다. 이런 과감한 전개가 이 작품의 묘미.

5. 등장인물

5.1. 나루미 탐정 사무소

5.2. 상점 관련

5.3. 다이도지 가

그 귀신의 정체는 미래에서 온 40대 쿠즈노하 라이도우.[10] 아카라나 회랑에서 "유전자 공학을 바탕으로 자신의 기억을 조상에게 전사하려고 시도한 데빌 뭐시기가 있었다."는 언급이 나오는데 이것이 미래를 예언하는 귀신의 진상으로 보인다.[11] 그 또는 그녀는 원래 메시아 교단의 전도유망한 템플 나이트였으나 회의를 느끼고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기 위해 과거로 돌아가 흑막에 협조한, 흑막의 흑막[12]이었던 것이다.[13] 작중에선 고우토가 동력원인 타이이츠를 파괴해 오오마가츠가 활동을 정지하자 정체를 드러내 야소마가츠를 가지고 아카라나 회랑으로 도망쳐 다이쇼 20년보다 더 미래의 시점에서 역사를 개변하려 하지만 그 또한 라이도우에 의해 저지당한다.
작중 "다이쇼 20년, 이대로 진행하면 일본은 새로운 길로 나아갔을 것이다.", "너에 의해 다이쇼 20년의 왜곡이 최소화되었다.", "나를 쓰러트려도 제도의 붕괴는 피할 수 없다! 오히려 나를 쓰러트렸기에 제도 붕괴의 위기는 피할 수 없다고 생각하라!"고 라이도우를 원망하는 것을 봤을 때 흑막이 초력병단, 초력전함 같은 오버테크놀로지 기술로 제도를 파괴하면 일본이 새로운 길로 나아가게 되고, 진 여신전생처럼 도쿄에 ICBM이 떨어지는 것이 발단이 되어 핵전쟁이 일어나는 일도 없어지고 메시아 교단이 도쿄를 지배하는 미래도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한 행동으로 보인다.[14]}}}

5.4. 제도의 주민들

5.5. 일본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군축을 강요당한 일본이, 후일 대국과의 전쟁으로 유린당할 것을 예견하고 일본을 지키기 위해 초력병단 계획을 세운 남자. 비슷하게 "외적에게서 자신의 나라를 지킨다"는 강한 생각을 가진 스쿠나히코나와 공명하여 빙의되고, 그 계획을 이용당한다. 정체가 드러나는 시점에서는 이미 사망하였으며, 시체를 안쪽에서 파먹은 스쿠나히코나가 조종하는 신세가 된 지 오래.
스쿠나히코나는 아마츠카미에게 복수하기 위해 무나카타의 지위를 이용해 전파탑인 와덴1호기를 세웠고, 거기서 나온 전파로 사람들의 정신을 파탄시켜 살아있는 시체인 빨간 망토로 만들고, 그 정신으로부터 히루코를 태어나게 했다. 그리고 전파로 빨간 망토를 조종하여 만든 불사의 군단인 초력병단과, 해군이 폐기한 전함으로 만든 초력전함에 히루코를 부여하여 만든 초력초신 오오마가츠와 야소마가츠로 제도를 파괴하려고 한 것이었다.
이 작품에선 아무것도 못하고 사망했지만,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일본을 지키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폭주하는 국수주의자"라는 캐릭터는 여러모로 진 여신전생 1의 고토우가 생각나는 캐릭터로, 이러한 캐릭터성은 이후 진 여신전생 4진 여신전생 4 FINAL의 타마가미로 이어진다. 고토우와 타마가미 모두 세계 멸망의 단초를 제공하는 만악의 근원이었으며, 이번 작품의 무나카타도 직접적으로는 그 일에 관여하진 않았을지라도 작중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의 원인을 제공하는 인물이 된다.}}}정체는 일본 제국 육군을 감시하기 위해 비밀리에 파견된 일본 제국 해군의 비밀장교.}}}

5.6. 기타 등장인물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팬텀 소사이어티|팬텀 소사이어티]]}}}{{{#!if external != "o"
[[팬텀 소사이어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팬텀 소사이어티?uuid=76a982fa-c1ac-4f64-ba37-0af2bd25b42a|r2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팬텀 소사이어티?uuid=76a982fa-c1ac-4f64-ba37-0af2bd25b42a#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팬텀 소사이어티?from=20|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팬텀 소사이어티|팬텀 소사이어티]]}}}{{{#!if external != "o"
[[팬텀 소사이어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팬텀 소사이어티?uuid=76a982fa-c1ac-4f64-ba37-0af2bd25b42a|r2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팬텀 소사이어티?uuid=76a982fa-c1ac-4f64-ba37-0af2bd25b42a#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팬텀 소사이어티?from=20|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6.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rowcolor=#ffffff,#dddddd>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shin-megami-tensei-devil-summoner/critic-reviews/?platform|
74
]]


[[https://www.metacritic.com/game/shin-megami-tensei-devil-summoner/user-reviews/?platform|
8.8
]]

독특한 코믹 센스가 있는 작품인데다 전형적이지 않은 과감한 전개를 보여주어 코어한 팬층이 있다. 특히 주인공인 14대 쿠즈노하 라이도우는 진 여신전생 역대 주인공들 중 유일하게 액션 피규어가 만들어졌을 정도로 대중적인 인기가 있다.(2022년 이후로 3 녹턴의 HD 리마스터가 나오면서 인수라의 액션 피규어가 발매되었다.)

그러나 진 여신전생 3 녹턴이나 DIGITAL DEVIL SAGA 아바탈 튜너보다 나중에 나온 작품인데도 비슷하거나 더 낮은 수준의 그래픽, 취향을 타는 경음악 위주의 OST, 액션RPG로서의 부족한 완성도 등이 단점으로 꼽힌다. 평단의 평점은 대개 7~8점(10점 만점)대로 “나름 괜찮은 게임이지만 전작들에 비해 뒤떨어지는 부분이 많다”는 것이 중평.

7. 기타

8. 리마스터판

파일:RAIDOU Remasterd 초력병단기담.webp
PV 오프닝
『RAIDOU Remastered: 초력병단기담』(『RAIDOU Remastered: 超力兵団奇譚』)이라는 제목으로 2025년 6월 19일 리마스터판이 발매되었다. 플랫폼은 Nintendo Switch, Nintendo Switch 2, PS5, PS4, Xbox Series X|S, Steam.

8.1.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rowcolor=#ffffff>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운영체제 Windows 10 64 bit
프로세서 Intel Core i5-2550k
AMD Fx-4350
Intel Core i5-6600
AMD Ryzen 3 2300X
메모리 6 GB RAM 8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S 450
AMD Radeon R7 250

1 GB of VRAM
NVIDIA GeForce GTX 760
AMD Radeon RX 560
Intel Arc 3 A310
4 GB of VRAM
API DirectX 11
저장 공간 20 GB
추가 사항 720p @ 60 FPS 1080p @ 60 FPS

8.2. 변경점

8.3. DLC

8.4. 한국 발매 불발 및 유저 비공식 한글화 지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TLUS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TLUS#s-6.1.3|6.1.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TLU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게임 내의 욱일기를 일장기로 변경하는 등 논란이 될 만한 요소들을 변경했지만, 중국도 정상적으로 발매되는 와중에[26] 오직 한국은 발매되지 않고 심지어 PC판(Steam판)은 지역제한 & 등록제한까지 걸려서 지금까지의 선례로 인해 사실상 한글화가 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27]

그로 인해 지금까지 전례를 봐서 사실상 한글판이 나올 가능성이 없자 한국 유저들이 스팀을 우회하는 식으로 게임을 구매했고 또한 비공식적으로 한글화 패치를 진행하면서 이후 공개한다.#

한글패치가 나오자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과거 물의를 일으킨 특정 커뮤니티가 몰래 눈팅하며 한글 패치를 다운받는 것을 사실상 허용함과 동시에 적당히 경고하면서 마무리 짓지만# 특정 커뮤니티의 일부 유저가 이를 조롱하자 이를 박제하고 대차게 까기도 한다.#

8.5.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rowcolor=#ffffff,#dddddd>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raidou-remastered-the-mystery-of-the-soulless-army/critic-reviews/?platform|
76
]]


[[https://www.metacritic.com/game/raidou-remastered-the-mystery-of-the-soulless-army/user-reviews/?platform|
8.3
]]
기준일:
2025-09-25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오픈크리틱#s-2|
#!if (+average) >= 84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width=50px]]
#!if (+average) <= 83 && (+average) >= 75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50px]]
#!if (+average) <= 74 && (+average) >= 66
[[파일:오픈크리틱 fair-man.png|width=50px]]
#!if (+average) <= 65 && average != null &&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weak-man.png|width=50px]]
{{{#!if average == null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man.png}}}]]
[[https://opencritic.com/game/18317/raidou-remastered-the-mystery-of-the-soulless-army|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9) * 1.8deg)), #fc430a 79%, #2e2e2e 79%)"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9}}}}}}}}}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9) * 1.8deg)), #9e00b4 79%, #2e2e2e 79%)"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9}}}}}}}}}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9) * 1.8deg)), #4aa1ce 79%, #2e2e2e 79%)"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9}}}}}}}}}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9) * 1.8deg)), #80b06a 79%, #2e2e2e 79%)"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9}}}}}}}}}
평론가 평점]]
[[https://opencritic.com/game/18317/raidou-remastered-the-mystery-of-the-soulless-army|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81) * 1.8deg)), #fc430a, #fc430a, #ffd86f, #ffd86f, #ffd86f, #fc430a, #fc430a 81%, #2e2e2e 8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81%}}}}}}}}}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81) * 1.8deg)), #b370df, #e566b1, #e566b1, #ff6ec4, #a871e3, #7973f5, #706bdf 81%, #2e2e2e 8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81%}}}}}}}}}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81) * 1.8deg)), #478c77, #76c8ff 81%, #2e2e2e 8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81%}}}}}}}}}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81) * 1.8deg)), #6c9059, #627f50 81%, #2e2e2e 8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81%}}}}}}}}}
평론가 추천도]]
[[https://opencritic.com/game/18317/raidou-remastered-the-mystery-of-the-soulless-army|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fc430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9e00b4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4aa1ce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80b06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유저 평점]]


기준일:
2025-09-25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288350/#app_reviews_hash| 매우 긍정적 (8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288350/#app_reviews_hash| 매우 긍정적 (9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원작인 PS2판의 불편한 점들을 보완하고 각종 새로운 요소를 도입한 것은 리마스터가 아니라 리메이크에 가깝다는 점 등이 긍정적인 점으로, 반복적인 전투나 갑자기 삼천포로 빠지는 스토리가 부정적인 점으로 꼽히고 있다. 발매 전에는 한정판이 전량 매진된 데다가 그중 화투패는 추가 생산까지 예약을 받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고, 발매 후에는 DL판을 제외한 패미통 집계 기준 첫 주에 5만장을 판매#하는 등 준수한 성적을 보여주었다.

8.6. 기타



[1] Xbox와 스팀은 DL판만[2] 한국 제외[3] 실제로는 다이쇼는 15년에 끝났다. 현실에서 1931년은 쇼와 6년이다.[4] 초공식팬북에 나온 카네코의 코멘트에 의하면 원래 그의 계획에선 초력병단은 그냥 엄청나게 견고한 보호대를 입은 병사들을 지칭하는 말이었으나, 흑막에 의해 시민들을 좀비로 개조하여 전파로 조종하는 불사의 군대로 바뀌었다.[5] 일례로 수사 중에 자주 마주치는 제국 육군의 한 병사의 정체는 제국 해군이 심어놓은 스파이였다. 마찬가지로 육군 출신의 NPC에게서도 해군에 비밀장교를 심어뒀다는 얘기를 들을 수 있으며, 다른 육군 출신의 등장인물은 해군이 말하는 걸 그대로 받아들이지 말라고 하기도 한다. 서로가 서로를 못 믿는 상황인 것.[6] 물론 이후 이 사건의 흑막과 진상이 밝혀지면서 이것과는 완전히 다른 스토리로 흘러가고, 애초에 주인공을 비롯한 야타가라스의 행동 원리가 "제도 사람들을 지킨다"이기에 이러한 음모를 막는 것이지, 주인공 일행이나 야타가라스가 정치적/사상적으로 일본군과 대립해서가 아니다. 한국에 흔히 퍼져 있는 "우익과 싸우는 라이도우"에 관한 이야기는 게임을 실제로 플레이해 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 스토리만 보고 쓴 와전된 주장에 가깝다.[7] 물론 월드 오브 워쉽이나 독일판 울펜슈타인 시리즈처럼 비슷하게 현실 역사 기반의 가상 배경을 다룬 게임들 내에서도 하켄크로이츠나 히틀러의 수염 같은 부정적인 상징을 검열하는 경우도 많으며, 초력병단의 리마스터판에서도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욱일기가 검열되었다. 다만 월드 오브 워쉽은 원래 있던 욱일기를 한국 유저들의 반발로 삭제하기도 했고, 반대로 울펜슈타인 시리즈는 제도가 완화되면서 독일에서도 무검열판을 구매할 수 있게 바뀌는 등 이에 어떻게 대응하느냐는 회사마다 다르다.[8] 디자이너인 카네코 카즈마에 의하면 전작의 쿠즈노하 쿄우지처럼 데빌 서머너들은 영혼 상태가 될 수 있는 특기가 있고, 고우토도 영혼 상태로 고양이에 빙의한 것이라고 한다.[9] 여담으로 여신이문록 페르소나의 코믹스판 주인공의 이름도 나루미 유우야(鳴海優也)이며, 페르소나 2에는 나루미구(鳴海区)라는 가상의 지명이 등장한다. 반대로 쿠즈노하 라이도우 시리즈에선 진 여신전생 if...의 카루코자카 고등학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가상의 지명인 카루코가와(軽子川) 상점가가 등장하기도 한다.[10] 다만 디자이너인 카네코 카즈마에 의하면 전부 카야의 망상으로 만들어진 인격일지도 모른다는 해석도 있다고 한다.[11] 쿠즈노하의 이름은 반드시 혈통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기에 40대가 다이도지 가문일 가능성도 있다. 다만 작중에서 무나카타가 미래를 내다보며 군략을 제시해 지금의 위치에 올랐다고 하는 것을 봤을 때 무나카타의 후손이라는 해석도 있다. 리마스터판에서는 이를 좀 더 명확하게 밝혀, 데빌 뭐시기가 아니라 라이도우라는 언급으로 나오고, 다이도지 가문의 후손이자 16세의 여성으로 확정되었다.[12] 리마스터판에서는 설정이 변경된 것인지 아니면 숨겨진 설정을 명확하게 밝힌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단순한 협력 관계 정도가 아니라, 그녀가 아카라나 회랑을 통해 다이쇼 20년으로 보낸 동료악마가 바로 스쿠나히코나였다는 것이 밝혀진다.[13] 그녀의 예언으로 위성 타이이츠(衛星タイイツ)와 무한동력 장치인 EL200가 개발되었다. 작중에 나오는, 빨간 망토 사건의 원흉이자 카야를 납치한 초력병들을 조종하는 와덴1호기(和電イ号基) 같은 전파탑은 이미 그 시대에도 있던 것이지만, 무한동력은 말할 것도 없이 현실에서의 최초의 인공위성은 1957년에 발사된 스푸트니크 1호이기에 타이이츠는 말 그대로 오버 테크놀로지다.[14] 하지만 다이쇼 20년이라는, 정사에서 어긋난 쿠즈노하 라이도우의 세계도 라이도우 본인에 의해 왜곡이 최소화되면서 결국 진 여신전생이나 데빌 서머너와 마찬가지로 대파괴의 위기를 맞이하는 미래로 수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마스터판에서는 고우토의 언급으로 미래에 대파괴가 일어나게 될 것을 알게 되었기에 이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을 가능성이 생겼다는 언급이 나오는데, 이를 통해 40대 라이도우가 만든 이 왜곡이 진 여신전생 시리즈 본가와 그 평행 세계인 데빌 서머너 시리즈의 세계를 나누는 분기점이 된 것으로 보는 해석도 있다. 여담으로 40대 라이도우는 원작에선 1인칭을 와타시(私), 2인칭을 난지(汝)를 사용했지만, 리마스터에서는 1인칭을 보쿠(ボク), 3인칭을 아나타(あなた)로 사용하도록 바뀌었다.[15] 공식적으로 이런 언급이 있는지는 불명. 여담으로 아바돈왕의 칭호에는 '이계에서 부기우기'가 있고, 진 여신전생 3 녹턴 매니악스 크로니클 버전의 라이도우의 기술 중에도 '부기우기'가 있다.[16] 이 작품 이전에 HD 리마스터로 발매되었던 진 여신전생 3 때는 원본의 컷신을 거의 그대로 사용했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컷신도 새롭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17] 원작에는 악마회화가 없었고, 아바돈왕은 기존 악마회화와 똑같았다.[18] 원작에서는 서머너 랭크에 따라 달라졌다.[19] 초력병단에선 일판만 플레이 가능했고, 아바돈왕에서는 모든 버전에서 플레이 가능했다.[20] 원작에서는 커맨드 메뉴를 통해 일일히 행동을 지정해 줘야 했다.[21] 원작에서는 연타를 해야 했다.[22] MAG 드레인 배틀이라고 한다. 아바돈왕의 MAG 스케쥴링 배틀에서는 약점을 찔렀을 때 약공격과 강공격 구분 없이 MAG를 탈취할 수 있었다.[23] 여담으로 연출 중 하나가 라이더 킥과 상당히 비슷하기에 이를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 디렉터인 야마이 카즈유키는 자신이 슈퍼전대 시리즈가면라이더 시리즈 등의 특촬물을 좋아한다고 인터뷰한 적도 있으며, 진 여신전생 4에서는 아예 슈퍼전대, 가면라이더, GARO 시리즈의 디자이너들을 외부 디자이너로 기용한 전적도 있다.[24] 아바돈왕에서 악마와 함께 사용하는 합체기와 비슷한 시스템으로 보인다.[25] 원작에서는 총알이 소모품이었고, 아바돈왕에서는 재장전만 하면 무한이었다.[26] 단순히 발매 뿐만이 아닌 중국 상해에서 진행된 오프라인 이벤트에서 체험판 이벤트를 진행했다.[27] 당장 2020년에 발매된 진여신전생 3 HD 리마스터 한글판일 경우 라이도우 리마스터 발매까지 약 5년이 넘도록 라이도우 관련 컨텐츠가 한글판에 따로 지원되지 않았다.[28] 클로버 짐은 四葉事務(요츠바 지무), 카페 아프로는 喫茶阿夫羅(끽다 아부라)로 나온다. 목욕탕 격투 이벤트에서만 확인 가능.[29] 배에 관한 이야기는 PS2판에도 있었지만 건축물에 관한 이야기는 리마스터판에서 추가되었다.[30] 사실 진 여신전생 데빌 서머너에 나오는 금왕옥의 주인이자 그의 후손의 이름도 『카네코 카즈마 화집』 5권에서 츠치야로 나와 있다. 금왕으로도 불리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