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2 19:56:59

도쿄메트로 03계 전동차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정기 운용의 이탈 및 퇴역으로 인하여, 더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파일:도쿄메트로 로고.svg 도쿄메트로 소속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긴자선 마루노우치선
1000형
100형
2000형
01계 1000계 500형
100형
2000형
02계 2000계
히비야선 도자이선
3000계 03계 13000계 5000계 05계
N05계
07계
15000계
치요다선
5000계
6000계
05계
06계
16000계 7000계 07계[a] 10000계
17000계
한조몬선 난보쿠선
8000계 08계 18000계 9000계
※도쿄메트로의 전신인 제도고속도교통영단의 전동차도 함께 서술하였음.
회색 : 전 편성이 퇴역 / 밑줄 : 일부, 대부분 편성이 퇴역
[a] 현재 도자이선으로 이동
}}}}}}}}} ||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도쿄메트로 03계·13000계 전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파일:도쿄메트로 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도쿄메트로 03계 전동차 (영단 03계 전동차)
Tokyo Metro 03 series
営団03系電車
}}}
파일:日比谷線03系電車.jpg
제39편성, 2019년 5월 히비야선 운행을 종료했다.[1]
차량 정보
용도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8량 1편성
운행노선
(과거)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 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도큐 전철 파일:TK-TY.svg 도요코선[2]
도부 철도 파일:Tobu-TS.svg파일:Tobu-TI.svg이세사키선·파일:Tobu-TN.svg닛코선[3]
도입시기 1988년 ~ 1994년, 2001년
제작사 일본차량제조일본차량제조
킨키차량
가와사키 차량
도큐차량제조
소유기관 제도고속도교통영단

도쿄메트로
운영기관
운행시기 1988년 ~ 2020년
차량 제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전장 18,000㎜
전폭 2,780㎜
전고 3,990㎜(1~25편성)
3,973㎜(26~42편성)
3,995㎜(팬터그래프 차량)
궤간 1,067㎜
차중 초퍼제어: 21.9~32.7t
VVVF: 21.3~31.0 t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운전보안장치 CS-ATC[히비야선]
TSP[이세사키선·닛코선]
도큐형 ATS[6], ATC-P[7][도요코선]
제어방식 미쓰비시VVVF-IGBT(1~8, 35, 36편성)[개조후]
고주파 분권 초퍼제어(9~25편성)
히타치제 VVVF-IGBT(26~34, 37~42편성)
동력장치 직류 분권 전동기
농형 3상 유도 교류전동기
기어비 86:15(1~25편성)
109:14(26~42편성)
제동방식 ATC연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주전동기 출력 초퍼제어: 160kw
VVVF: 190kW, 185kW[개조후]
최고속도 영업 80㎞/h(히비야선)
100㎞/h(이세사키선)
설계 110㎞/h
가속도 3.3㎞/h/s
감속도 상용 4.0㎞/h/s
비상 5.0㎞/h/s
MT 비 4M 4T }}}}}}

1. 개요2. 분류3. 특징4. 퇴역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도쿄메트로(당시에는 제도고속도교통영단)가 1988년 히비야선의 구형 전동차를 교체하기 위해 제작한 0X 시리즈 전동차 중 세번째 차량이다. 이 차량은 제3궤조집전식으로 지어진 긴자선이나 마루노우치선을 제외한 도쿄메트로의 일반적인 카테나리식 노선 중에서는 18m급 차량이라는[11] 별도의 규격이자 케이세이 전철, 도영 지하철, 케이큐와 같은 차량 규격으로 제작된 차량으로 유명하다. 게다가 이들 노선은 모두 3비차 형태로, 차량 길이나 출입문 개수, 차폭 등을 보아 여러모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를 많이 닮아 있다. 7차례에 걸쳐 총 42편성 336량이 생산되었으며 기술적으로는 도쿄메트로 05계·N05계 전동차 초도도입분과 형제기 관계다.

당초에는 먼저 개발이 진행중이던 05계를 18M로 축소한 차량으로 개발을 했는데, 오히려 05계보다 4개월 15일 먼저 등장해버리고 말았다 (...) 원래는 1990년에 3000계를 대체하는 목적으로 등장시키는것을 검토했지만, 당시에 히비야선이 워낙 미어터져서 차량의 증편과 냉방화가 워낙 절실했기에 03계의 개발과 생산이 계획 보다 앞당겨졌고, 덕분에 당시로써는 상상도 할 수 없는 단기간에 개발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어서 오히려 베이스모델인 05계 보다도 먼저 등장하게 된 것. 영단 최초로 신조 당시부터 냉방 장치를 탑재한 차량이라는 의의도 있다.

원래는 도큐도요코선과 직통하기 위해 18m급으로 본 차량을 뽑았지만, 히비야선 개통 당시 차량 규격을 18m로 제안했던 도큐가 차급을 20m로 바꾸면서 이 차의 정체성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그나마 이 아슬아슬한 직통운전은 나카메구로역[12]에서 키쿠나역까지 도요코선의 각역정차 운행을 보조하는 형태로 2013년 3월까지 계속 이루어졌지만, 이후 도요코선이 히비야선보다 훨씬 파이가 큰 후쿠토신선+@와 직통운전을 시작하게 되면서 이 직통운전도 결국 쫑나고 말았다.(...)[13] 이렇게 낙동강 오리알이 된 신세인데다가 도쿄메트로 측에서도 2020년까지 히비야선 차량을 20m급(7량편성)으로 대체하는것을 발표하면서, 2020년까지 계속 운행하는 시한부에 처하고 폐차 혹은 타 회사에 일부 양도되는 운명을 맞이하였다.

2. 분류

3. 특징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18m / 4-10-10-4 구조로, 이 규격은 도쿄도 내에서는 도큐[14], 그리고 히비야선만이 사용하고 있다. 참고로 같은 18m 3도어를 채택한 이른바 아사쿠사 라인 3사[15] 같은 경우 차체를 비롯해 어떤 것도 도큐식 18m 전동차와 호환되지 않는다.

알루미늄 차체를 사용했으며 차체에는 무도장+히비야선의 노선색인 은색을 칠해 놓았지만, 두 색상 간에 차이가 별로 없다는 것이 함정.(...)

그리고 통근시간대의 혼잡도 완화를 위해 도입했지만 효율성이 썩 좋지 않아 다른 노선에서는 대차할 때에 없어진 다문형 차량(5비차)을 츄오-소부선[16]과 더불어 여전히 운용하고 있는 차량이기도 하다. 이는 도부 20000계 전동차도 같은 처지. 그리고 차체의 전폭은 2780mm급으로 타 차량에 비해 큰 차이가 없지만, 전고가 타 차량에 비해 약 50mm~60mm정도 낮아 정면에서 볼 때 차량이 약간 납작해 보이는 면이 있다.[17]

추진제어장치에는 1차차부터 3차차 25편성까지는 고주파 분권 쵸퍼를 채용하였고 이후 편성에는 VVVF IGBT를 채용하였다. 그러나 고주파 분권 쵸퍼제어는 워낙 특수한 제어방식이고, 세월이 흐르면서 부품이 단종되어 부품 수급이 여의치 않은데다가 당초에는 교체 계획이 없어서 1차 차량들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미쯔비시 VVVF IGBT로 개조하였다.IGBT 구동음. 2011년 2편성을 시작으로 2013년까지 1차차 8개 편성 전부 다 VVVF-IGBT 개조가 이루어졌다. 이후 2014년에는 35, 36편성의 소자도 동일하게 갱신되었다.

그러나 2014년 도쿄메트로 측에서 히비야선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기로 결정하면서 제어장치 개조를 중단하였다. 스크린도어 설치와 동시에 히비야선 차량 규격을 20M급 4도어 차량으로 바꾸고자 했기 때문이다. 결국 기존 차량을 전량 폐차하고 2016년부터 2020년까지 13000계 전동차로 대차하는 걸로 결정되었다.

한편 고주파 분권 초퍼제어는 03계 이외에도 01계05계 초도분 등에도 적용되었다.쵸퍼제어 구동음.[18] 싱가포르에서도 해당 구동음을 들을 수 있는데, 싱가포르 MRT에 고주파 분권 쵸퍼제어를 적용한 차량이 있기 때문이다. C151형 전동차[19]동서선남북선에서 운행중이다. 현재 일본 내에서는 고주파 분권 초퍼제어 중전철 차량이 전멸하였다.[20] 중전철 차량의 구동음을 실제로 듣고 싶다면 싱가포르나 인도네시아로 가야 한다.[21]

01계가 2017년 3월 12일부로 퇴역되면서 도쿄메트로 최후의 초퍼제어 차량이 되었다. 당시 시점에 태생이 초퍼제어 전동차인 차량은 02계, 05계, 6000계, 7000계, 8000계 등 많이 남아있었지만 03계를 제외하고 전량 폐차되거나 VVVF로 개조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최후의 초퍼제어 차량이었던 03계 12편성이 2018년 9월부로 퇴역하면서 도쿄메트로의 초퍼제어 차량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4. 퇴역

5. 여담

6. 관련 문서



[1] TC 2량만 2량 1편성으로 개조 후, 2020년 12월부터 호쿠리쿠 철도에서 영업운전을 다시 시작했다.[2] 키쿠나역까지 각역정차 등급으로 직통운전[3]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각역정차 등급으로 직통운전[히비야선] [이세사키선·닛코선] 도부형 ATS[6] 도요코선에서는 1997년 ATC-P로 교체된 후에는 쓰이지 않게 되었다. 2004년부터 사기누마 차량기지에서 중검수를 받게 되면서 오이마치선 회송용으로 다시 사용되었지만, 오이마치선도 2008년에 ATC-P로 교체된 후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후 일부 편성은 도큐형 ATS가 철거되었다.[7] 원래는 도요코선 대응용이지만, 2013년 3월부터 도요코선에 영업목적으로는 입선하지 않기 때문에 영업운전 상황에서는 불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중검수 목적으로 사기누마 차량기지까지 회송 시 사용되기 때문에 철거되지 않았다.[도요코선] [개조후] 제1~8편성 VVVF 개조 후[개조후] 제1~8편성 VVVF 개조 후[11] 그 외의 노선에서는 모두 20m급의 차량을 사용한다.[12] 도부 철도 소속 차량은 나카메구로까지만 운행했다.[13] 확실히 파이가 훨씬 더 크긴 컸다. 이 직통운전 한방에 신주쿠, 이케부쿠로 뿐만 아니라 와코시역, 코테사시역, 한노역, 시키역사이타마 안쪽까지 더더욱 들어갈 수 있게 되었으니.[14] 그마저도 주요 간선들은 통수를 치고(...) 20m급 규격으로 바꾸었다. 그래서 로컬선만 이 규격을 사용하고 있다.[15] 케이세이, 케이큐, 도영 지하철. 사실 도쿄도 교통국도 케이세이, 케이큐간 상호 직통운전 때문에 뽑은 것이며 미타선신주쿠선은 전부 4비차로 뽑았다.[16] 덴엔토시선에서 운영하던 도큐 5000계 전동차의 6비차는 2017년부로 전부 교체되었다.[17] 직통운전하는 도부 20000계 전동차가 4145mm, 본 차량은 25편성까지가 3990mm, 이후 차량은 더 낮아져서 3973mm이다.[18] 다만 01계는 음높이가 다르며, 약간 미쯔비시제 전기자 쵸퍼제어 구동음과 비슷한 구동음을 냈다.[19] 해당 문서와는 별 관련이 없는 이야기지만, 2006년현대로템으로부터 내장재 교체를 받은 이력이 있다.[20] 경전철 차량은 히로시마 고속교통 6000계가 남아있다.[21] 싱가포르는 앞서 언급했듯이 C151형 전동차가 현역으로 운행 중이다. 인도네시아는 자카르타 통근전철(KRL)에서 찾아볼 수 있다. KRL에서는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05계 초퍼제어 중고차량을 굴리고 있다.[22] 물론 06계가 1993년에 제작되어 2015년에 폐차되어 그다지 그럴만한 일은 아닌 듯 하기도 하다.[23] 이후 구마모토 전기철도 03형 전동차로 운용되고 있다.[24] 공교롭게도 5호선 전동차의 초기 디자인이 이 전동차와 닮았었다. 다만 재질은 처음부터 알루미늄이 아닌 스테인리스였다. 1990년 기사[25] 2000년 3월 8일 나카메구로역 직전의 급구배/급곡선 구간에서 전동차가 탈선, 마주오던 전동차와 충돌하여 69명의 사상자를 낸 대형 사고이다.[26] 차량당 길이가 18m(배장기 포함)로 동일하고, 차폭도 2750mm 대 2780mm, 심지어 전고마저도 큰 차이가 없다.[27] 이 외에도 같은 규격의 도부 20000계 전동차, 도큐 1000계 전동차, 신케이세이 8000형 전동차 같은 차량도 떡밥의 주된 소재로 등장한다.[28] 일본에는 그런식으로 대차를 교체해서 궤간이 다른 노선으로 보내버린 사례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