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10 17:37:32

두만강역

두만강역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Tumangang
한자 豆滿江
간체자 豆满江
일본어 [ruby(豆満江, ruby=ドゥマンガン)]
주소
라선시 선봉구역 두만강동
역 등급
불명
(라선철도총국)
운영기관
홍의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개업일
홍의선 1952년 ??월 ??일
바라놉스키
-하산 선
2013년 9월 22일
열차거리표
<colbgcolor=#ffffff,#191919>
물골 방면
적 지
← 8.6 ㎞
두만강선
두만강
<colbgcolor=#ffffff,#191919>
종점
기점
두만강철교
두만강
하산 방면
하 산
2.3 ㎞ →

豆滿江驛 / Tumangang Station

파일:external/photos.wikimapia.org/79_big.jpg

1. 개요2. 상세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북한 라선시 선봉구역 두만강동에 있는 철도역이며, 러시아와의 국경역이다.
이름은 인근에 흐르는 강인 두만강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이 역에서 두만강까지의 거리는 약 700m 정도다.

2. 상세

북한 라선시 선봉구역 두만강동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러시아와의 국경으로, 이 역에서 두만강철교를 거쳐서 두만강을 건너고 러시아 철도 바라놉스키-하산 선 하산역과 연결된다.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밝힌 동해선 종점인데, 이렇게 하면 동해선의 구간은 부산진역 ~ 두만강역이 된다. 평양 - 야로슬라브스키 역국제열차가 이 역을 통과한다.[1] 북한의 여러 노선 중 유일하게 러시아와 연결되는 역이기도 하다.

현재의 역사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재건축된 것이다. 북한과 러시아의 물류량이 증가함에 따라 궤간가변 대차가 여기서 이루어진다고 한다. 표준궤광궤의 차이에서 나오는 시스템이다.

이 역에는 조선인민군 소속의 역전직일병이 근무하면서 수하물 검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 역은 중요한 타이틀을 하나 가지고 있는데, 바로 한반도 최동단에 있는 역이라는 타이틀이다. 북한-러시아 국경에 있는 위치상 이 기록이 깨지는 건 불가능할 듯하다. 참고로 한반도 최북단의 역은 세선역, 한반도 최서단의 역은 룡암포역, 한반도 최남단의 역은 여수엑스포역이다. 다만 보성역 - 임성리역간 철도가 부설되면 여수역의 타이틀은 다른 역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 남한에서 최동단역은 포항시 영일만항역이고, 동해중부선이 개통하면 평해역이 최동단이 될 예정. 그러나 평해역도 두만강역과 비교하면 훨씬 서쪽이다.

남북 철도공동조사단이 공동조사한 동해선의 마지막 역이다.#

북쪽 기준으로는 이 역까지만 북한 소재지이며, 북쪽에 있는 하산역부터는 러시아 소재지다. 하산역은 북한과 가까운 러시아 동남쪽 경계에 있다.

3.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최극단 철도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실효통치지역 미수복지역 포함
최북단 제진역[1]
백마고지역[2]
세선역
최남단 여수엑스포역[3]
최동단 영일만항역[4]
영덕역[5]
두만강역
최서단 목포역 용암포역
최고점 추전역 북계수역
최저점 여의나루역[6]
김포공항역(서해선)[7]
영광역[8]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선로가 북쪽으로만 나 있어 영업중지 상태이나 2027년 남쪽으로의 철도가 완공 예정이다.[2] 현재 공사로 2024년까지는 연천역까지만 운행한다. 단, 13번 버스로 접근은 가능하다. 2024년 경원선 복원 시 월정리역이 최북단 역이 된다.[3] 2024년 경전선 신노선 개통 시 강진역이 최남단 역이 된다.[4] 동해선 영덕-삼척 구간 개통 시 평해역이 최동단 역이 된다.[5] 여객영업철도역 기준이다. 동해선 영덕-삼척 구간 개통 시 평해역이 최동단 역이 된다. 현재는 디젤동차 폐차로 포항역~영덕역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어 현재 운행역 기준으로는 북울산역이다.[6] 해발고도 기준이다. 2029년 서울 7호선 청라국제도시역 개통 시 청라국제도시역이 최저점 역이 된다.[7] 지표면 기준이다.[8] 단 북한 정권에서 공식적으로 이 역의 깊이를 발표한 적은 없다.
}}}}}}}}} ||




[1] 월 3회 운행하였으나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해 중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