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0:01:14

드래곤 퀘스트 트레저즈 푸른 눈동자와 하늘의 나침반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ragon_Quest_Logo.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5d5d5,#292929> 등장인물 · 직업 · 주문·특기 · 몬스터 · 아이템 · 지명 · 능력치 · 이동수단
넘버링 I
HD-2D
II
HD-2D
III
HD-2D
IV V VI
VII VIII IX X
오프라인
XI XII
몬스터즈 1: 테리의 원더랜드 · 2: 마르타의 이상한 열쇠 · 1 & 2 · 3: 마족 왕자와 엘프의 여행
1 Remake: 테리의 원더랜드 3D · 2 Remake: 이루와 루카의 신기한 열쇠
캐러반 하트 · 조커 (1 · 2 · 3) · 원티드 · 슈퍼 라이트
이상한 던전 토르네코의 대모험 · 2 · 3 · 소년 얀가스와 이상한 던전
몬스터 배틀 로드 1 · 2 · 빅토리 · 배틀 스캐너
히어로즈 I: 암룡과 세계수의 성 · II: 쌍둥이 왕과 예언의 끝 · I · II for Nintendo Switch
빌더즈 1: 아레프갈드를 부활시켜라 · 2: 파괴신 시도와 텅 빈 섬
트레저즈 푸른 눈동자와 하늘의 나침반
다이의 대모험 크로스 블레이드 · 혼의 유대 · 인피니티 스트랏슈
이타다키 스트리트 Special · 포터블 · DS · Wii · DQ & FF 30th Anniversary
만화 · 애니메이션 로토의 문장로토의 문장: 문장을 계승하는 자들에게
아벨탐험대 · 다이의 대모험 (애니메이션) · 유어 스토리
기타 검신 · 소드 · 몬스터 퍼레이드 · 워즈 · 시아트리듬 · 별의 드래곤 퀘스트 · 라이벌즈 · 워크 · 택트
슬라임 모리모리 1: 충격의 꼬리단 · 2: 대전차와 꼬리단 · 3: 대해적과 꼬리단
}}}}}}}}} ||
<colbgcolor=#bca100><colcolor=#ffffff> 드래곤 퀘스트 트레저즈 푸른 눈동자와 하늘의 나침반
DRAGON QUEST TREASURES
ドラゴンクエスト トレジャーズ 蒼き瞳と大空の羅針盤
파일:181aaa2342f2af81.jpg
개발 스퀘어 에닉스 | 토세
유통 스퀘어 에닉스
장르 트레저 라이프 RPG
엔진 언리얼 엔진
플랫폼 Nintendo Switch | Steam
발매 NS
2022년 12월 9일
Steam
2023년 7월 15일
심의 등급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스토리3. 트레일러4. 게임의 특징5. 등장인물
5.1. 주인공 크루5.2. 직접 협력자
5.2.1. 드래곤 철도 컴퍼니5.2.2. 개인 협력자5.2.3. 기타 협력자
5.3. 경쟁 크루
5.3.1. 실프 왕국 탐험대5.3.2. 실버스 공적단
6. 평가7. 기타

[clearfix]

1. 개요

드래곤 퀘스트 XI 지나간 시간을 찾아서의 등장인물 카뮈와 마야의 모험을 그리는 완전 신작 스핀오프.

2021년 드래곤 퀘스트 35주년 이벤트에서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키워드는 어린 시절의 카뮈와 마야, 보물찾기.

2. 스토리

바이킹족의 보물 헌터 배에서 허드렛일을 하고 있던 카뮈와 마야 남매는, 언제나처럼 자신들만의 보물을 찾아 바이킹족으로부터 독립할 생각을 가지고 배에서 벗어나려 한다. 그러던 중 바이킹족에게 붙잡힌 야옹샤와 돈돼를 구출한 것을 계기로 어떤 조그마한 유적 섬에 도착하게 되고, 거기에서 입수한 '용의 단검'의 힘으로 로토제타시아가 아닌 다른 차원의 세계로 가게 된다.

남매가 떨어진 곳은 '끝없는 용의 대지'라 불리는 부유도 군락으로, 전설에 따르면 이 곳에 잠든 7개의 용석을 찾으면 궁극의 비보가 잠든 보물섬으로 가는 길이 열린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있었다. 이를 찾기 위해 실프 왕국 탐험대와 실버스 공적단, 그 밖의 수많은 보물 헌터 크루들이 전진 캠프를 차리고 뜨겁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 남매는 천계의 사명을 받은 야옹샤와 돈돼에 의해 '전설의 보물 헌터'로 선택받게 되고, 7개의 용석을 찾는 보물 헌터 모험을 시작하게 된다.

3. 트레일러

티저 트레일러
게임플레이 트레일러

4. 게임의 특징

몬스터 3체 1조로 팀을 편성하는 구조나 스킬 육성 구조 등은 몬스터즈 시리즈의 포맷을 빌려 왔지만, 기본적으로 ARPG인데다 교배 시스템이 없다는 점 때문에 기본적인 틀만 빌려왔을 뿐 완전히 다른 느낌의 게임이 되었다.

기본적으로 용의 대지의 보물 헌터라는 컨셉으로 게임이 진행되기에, 몬스터를 잡아 얻는 경험치보다 보물을 찾아 얻는 경험치에 훨씬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 그리고 무턱대고 골드 등급 상자만 찾아서는 안 되고 실버 등급 상자까지 골고루 모아야 보물 도감 리스트 777개를 온전하게 채울 수 있으므로, 경험치 배분량과 보물 감정가 총액에 증가되는 상자 배분량을 적당히 계산해서 보물 파밍을 해야 하는 요소도 들어 있다. 만약 감정가 뻥튀기를 잘 하지 못했더라도 거점 방어전을 통해 창고 진열대에 배치된 보물의 감정가를 계속해서 올릴 수 있으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도 없다.

몬스터 영입에 소재와 음식이 골고루 활용되기에, 파견을 통한 소재 파밍을 꾸준히 보내며 음식 만들기에 필요한 소재들을 직접 보충하는 식으로 모험 중 소재 파밍을 지속적으로 병행해야 한다. 그리고 초반부터 너무 골드 이상 고등급 몬스터에 목을 매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직원 영입 퀘스트도 중간중간 들어 있어서, 퀘스트에 직원 영입이 필요한 경우를 잘 살펴서 소재 파밍 단계부터 넉넉하게 준비하는 것이 좋다.

교배 시스템이 없는 부분은 몬스터의 등급을 브론즈-실버-골드-레인보우 4단계로 나누고 등급별 스탯 격차를 주는 것으로 보완했으며, 특별하게 꾸민 외형을 지닌 특수 개체인 '세련된 개체'라는 추가 요소를 도입해 스킬 구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등 포획 노가다 쪽에 신경을 더 쓰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일부 몬스터의 경우 특수 개체와 일반 개체 차이의 스킬 구성 격차가 많이 크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엔드 컨텐츠를 공략하려면 레인보우 등급 특수 개체를 엄선해야 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추가 스탯 및 스킬 보완 요소인 메달 시스템도 브론즈-실버-골드-레인보우 등급으로 세분화되었으며, 일부 레인보우 등급은 필드 파밍을 할 수 있지만 거의 대부분의 경우 라이벌전이나 보물 지도 던전 공략 등의 요소를 골고루 활용해야 한다. 주인공 남매 역시 메달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스킬 보정 요소가 없이 깡공격이나 깡체력이 높은 메달의 경우 주인공 쪽으로 몰아줘 활용할 수도 있다.

5. 등장인물

5.1. 주인공 크루

5.2. 직접 협력자

5.2.1. 드래곤 철도 컴퍼니

원래 용의 대지 전체에 걸쳐 마법 기차를 운행하던 철도 회사였으나, 게임 시작 시점에서는 열차가 고장나고 대부분의 역들이 망가져 회사가 망하는 바람에 직원이 셋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남은 직원 중에서 가장 계급이 높았던 토마슨이 사장 겸 치프 엔지니어 겸 차장을 맡고 있었는데, 주인공 일행이 거점을 만들기 위해 찾아온 것을 알게 되자 아예 회사 건물 전체를 빌려 주며 주인공 크루의 첫 번째 협력 세력이 된다.

5.2.2. 개인 협력자

5.2.3. 기타 협력자

5.3. 경쟁 크루

5.3.1. 실프 왕국 탐험대

본작의 메인 협력 세력이자 주인공 크루와의 경쟁 세력. 실프 왕국에서 파견된 탐험대로, 유적 조사와 보물 헌팅을 병행하고 있다. 주인공 크루와 공개적으로 협력 관계인 세력이기 때문에, 실프 탐험대 크루 깃발 퀘스트는 기지 방어전이 아니라 주요 멤버들에게 대전 신청을 해서 이기는 식으로 클리어해야 한다.

5.3.2. 실버스 공적단

본작의 메인 빌런 세력. 보스인 긴기라의 이름이 해외판에서 실버스로 바뀌며 공적단의 이름도 바뀌었다.

6.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rowcolor=white>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switch/dragon-quest-treasures|
72
]]


[[https://www.metacritic.com/game/switch/dragon-quest-treasures/user-reviews|
5.9
]]

기준일:
2024-03-11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fair-man.png 평론가 평점
73 / 100
평론가 추천도
55%
유저 평점
XX / 100


7. 기타



[T] 튜토리얼 고정 동료이면서 특수 개체이기 때문에, 슬라임과 큐트 슬라임의 경우 특수 개체 노가다를 할 필요가 없다.[T] [Q] 퀘스트로 얻을 수 있는 유일 개체 몬스터이기 때문에, 해당 종족은 특수 개체 노가다가 불가능하다.[Q] [5] 방황하는 갑옷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드래곤 철도 컴퍼니의 직원 계열 로봇 몬스터. 각 섬별 주요 역에는 다른 컬러로 칠해진 로봇이 상주하고 있으며, 망가진 역에는 검은색 로봇이 서 있다. 한국어판 정식 번역으로는 '역 로봇'이 되었다.[6] 레인보우 등급을 제외한 골드~브론즈 등급 중에서 랜덤하게 찾아오는데 영입 비용은 1000G 고정이므로, 여기에서 골드 등급 드라키를 영입했다면 초반 진행이 좀 더 편해지는 복불복 요소가 있다. 다만 아래쪽에 언급할 DLC 몬스터 중 페콧토가 킬러머신으로 나오게 되면서 굳이 드라키 하나 노리고 리세마라를 할 필요는 없어졌다.[7] 일어 원문은 페콧토(ペコット)[D] 무료 코드 입력 고정 동료이면서 특수 개체이기 때문에, 킬러머신과 킹 슬라임의 경우도 특수 개체 노가다를 할 필요가 없다.[9] 확률은 256분의 1. 원래부터 동료가 될 확률이 낮지만 킬러 머신보다 더 동료로 만들기 힘든 몬스터는 쉽게 동료로 했는데 킬러 머신만 한참 동안 안 됐다.[D] [11] 이 때 사용했던 인터넷 펜네임은 '유우보우'.[12] 그 대신 3마리 모두 일반 개체라서 특별 개체 노가다를 나중에 따로 해야 하기에, 도감 올 컴플리트를 목적으로 진득하게 플레이하는 경우 그냥 일반판으로 플레이하는 편이 더 나을 수도 있다. 사실상 특전 탄환 묶음의 덤이라고 생각하는 편이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