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03:01:20

드래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


1. 개요2. 세계관
2.1. 첫번째 시리즈2.2. 에레브 대륙2.3. 마기-발2.4. 테리우스2.5. 포드라 대륙2.6. 엘레오스 대륙
3. 직업
3.1. 기본 직업
4. 적 전용5. 외부 링크
5.1. 영어5.2. 일본어

1. 개요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에 등장하는 종족들이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맘쿠트라고도 불린다. 최종보스로 등장하거나 주인공을 도와주는 모습으로 나온다. 그리고 시리즈가 나올수록 스케일이 커지는데 초기 시리즈는 단순히 인간들에게 힘을 주는 정도였다가 각성의 기므레의 경우 스펙타클한 크기를 자랑하며 아난코스는 아예 차원과 시공간까지 간섭하는 스케일을 자랑한다. 시리즈의 특징으로는 용의 모습으로 세월이 지날수록 이성을 놓는다는 것.[1]

2. 세계관

2.1. 첫번째 시리즈

2.1.1. 아카네이아 대륙

파일:Earth_Dragon_Manakete_29.webp
맘쿠트

2.1.2. 발렌시아 대륙

2.1.3. 유그드랄 대륙[5]

2.1.4. 무명의 대륙

파일:Astral_Dragon.webp
성룡 모로

파일:Light_Dragon_Symbol.webp 파일:Dark_Dragon_Symbol.webp 파일:Invisible_Dragon_Symbol.webp
백야 왕국의 용의 문장 암야 왕국의 용의 문장 투마 왕국의 용의 문장
파일:B20-048HN_artwork.webp 파일:B10-086HN_artwork.webp
광화하기전에 아난코스 광화한후에 아난코스
파일:Anankos_Concept_Art.webp 파일:Anankos_Concept_Art_2.webp
광화한 아난코스 삽화 다른 아난코스 삽화

2.2. 에레브 대륙

2.3. 마기-발

2.4. 테리우스

파일:FEPR_Red_Dragon.png 파일:FERD_White_Dragon_concept.png 파일:FERD_Black_Dragon_concept.png
적룡족 백룡족 흑룡족

2.5. 포드라 대륙

2.6. 엘레오스 대륙

3. 직업

3.1. 기본 직업

힘을 용석에 봉인해 인간의 모습이 된 용족. 용석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래곤의 모습으로 돌아온다. 시리즈마다 스토리상의 설정이 꽤 다르며, 특히 초기작인 암흑룡과 문장의 경우 이에 관한 배경 스토리가 꽤나 시리어스하다. [12] 보통은 용석의 가공할 보너스 스탯과 맞추기위해 맨몸 초기스탯이 상당히 낮게 설정되어있다. 그럼에도 바로 전투로 적을 학살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한데, 초기작들에는 이에대해 커다란 함정이 도사리고있었다. 구할 수 있는 용석의 양이 굉장히 제한적이라 무기가 부숴지면 그대로 오와타 캐러가 되버리는 엽기적인 사양이었다는 것 (...) 덕분에 아무것도 모르는 플레이어들은 '우와 용이다! 엄청 쎄!'하고 마구 굴리고 경험치를 독식했다가 용석 내구도가 바닥나고 하염없이 다음 용석을 기다리다가 게임이 끝나버리는 경우가 왕왕 있었다 (...) 이 때문에 성장치와 용석보너스가 엄청나게 강력한데 막상 쓰지를 못하니 사람 미치게만드는 요소였는데 각성에서 용석이 상점에 풀리면서 자유롭게 사용가능해졌다.
각성에서는 2세대 시스템을 통해 무려 플레이어의 딸을 맘쿠트로 만들 수 도 있다(!) 이때 이 자녀(들)의 초기스탯은 양쪽 부모의 총스탯의 일정치를 보정받으며 마지막으로 배운 스킬을 각각 물려받는데, 아무렇게나 굴려도 괴물같이 강한 플레이어 아바타와 플레이어의 애정을 듬뿍 받아 잔뜩 성장한 반려에게서 상급직의 스킬을 두개 물려받을 수 있는 덕분에 등장부터 스탯이 반쯤 완성된 상태로 용석의 강력한 보너스를 받으며 상위직의 스킬을 두개 장착하고있다(...) 이럴경우 0데미지만 뜨며 영입맵을 혼자서 클리어 해버리는 괴물같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덕분에 각성은 맘쿠트를 가장 자유롭게 써볼 수 있는 파엠이다.
한편 맘쿠트는 시리즈마다 모습이 굉장히 다르다. 보통은 그냥 '아 용이네'싶은 수준의 외관에서 화같이 '...포켓몬?'스러운 외관도 있다. 각성의 맘쿠트는 아름답기로 소문난 나뭇잎해룡을 모티프로 쓴듯한 모습을 갖고있다. 암흑룡과 빛의 검 쪽 맘쿠트와 성마의 광석의 미르라가 가장 표준적인 용의 이미지. 카무이는 용이라기보단 기린에 가까운 생김새다.
대표적인 인물은 문장의 비밀의 치키, 봉인의 검의 , 성마의 광석의 미르라, 각성의 노노. if는 맘쿠트가 나오지 않지만 대신 주인공인 카무이와 자식세대인 칸나가 용석을 쓸 수 있다.

암흑룡과 빛의 검 : 바누투, 치키
봉인의 검 : 화
성마의 광석 : 미르라
각성 : 노노, 응응, (성인)치키 [13]
암흑룡과 문장의 비밀에 등장하는 체이니의 고유직. 인접한 유닛에 대해 전용 커맨드 변신을 사용하면 해당 유닛의 직업과 능력치들이 그대로 카피된 상태가 된다. 즉 상황에 따라 에이스 유닛을 1명 증식시킨다던지 회복캐릭터를 한명 증가시킨다던지 다재다능하게 굴리는게 가능하나 암흑룡과 문장에서는 HP가 변신전 그대로고 변신중엔 경험치가 들어오지 않는다는 디메리트가 있고, 변신 전은 허약하긴 하나 검 장비가 가능해 변신전에 경험치를 벌어들이거나 도핑으로 최대 HP를 확보해놔야 할 필요가 있다. 주로 후방에서 놀아서 HP가 크게 필요없는 시스터쪽을 추천. 일단 변신을 하면 경험치가 10은 들어오니까 노가다를 엄청나게 하면 만렙이 될 수 있기는 하다.
이후 신암흑룡에서는 HP도 변신 대상과 동일해지고 변신중에도 경험치가 들어오게 변해 일견 강화된것같이 보이나, 변신전에는 공격수단이 일절 없고 변신후의 장비를 따로 준비해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결정적으로 초판 카트리지의 경우 변신 사용시 게임이 멈추는 버그까지 있어서 어떤 의미로 지뢰 유닛. 신문장에서는 수정되어 그냥 잘 써주면 된다. 사족으로 변신전엔 수상이동이 가능하며, 초대 암흑룡에선 변신전의 모습이 진짜 가관이었다.
창염의 궤적/새벽의 여신에 등장하는 직업.
이나와 고트는 적룡(레드 드래곤), 나실은 백룡(화이트 드래곤)
새벽의 여신에 등장하는 쿠르트나가 전용직.
if에 등장하는 마이 유니트 카무이와 자식세대인 칸나의 전용직. 검(도)와 용석을 사용한다.
if에 등장하는 마이 유니트 카무이와 자식세대인 칸나의 전용 상위직. 백야에서는 백의 혈족, 암야에서는 다크 블러드, 투마에서는 둘 다 선택이 가능하다. 백의 혈족은 검(도), 지팡이(불제봉), 용석을 사용하며 다크 블러드는 지팡이(불제봉) 대신 마도서(부채)을 사용한다.

4. 적 전용

각성의 최종보스 기므레의 직업.
if에서 백야왕국 루트를 탔을 때 가론의 직업. 2차전에서 볼 수 있으며 직업명 그대로 드래곤의 형태이며 선조인 암야룡에 형상을 했으며 흑막에게 힘을 받고 이 형상이 되었다.
if의 흑막이자 진 최종보스인 아난코스의 직업.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8
, 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외부 링크

5.1. 영어

5.2. 일본어



[1] 다만 파엠 시리즈 마다 설정이 다른 경우도 있다.[2] 암흑룡과 빛의 검 2년 후 스토리를 담은 후속작으로, 암흑룡과 빛의 검을 리메이크하여 1부로서 수록했다.[3] 문장의 수수께끼에서 2000년 이후의 내용을 담고 있다. 주인공은 직접적으로 마르스의 후손이라는 설정을 사용. 구 아카네이아 대륙과 구 발렌시아 대륙이 게임의 맵으로 등장하고, 유그드랄 대륙은 과거의 전설로 언급된다.[4] 문장의 수수께끼 1부와 2부 사이의 공백인 2년간 발렌시아 대륙에서 일어나는 일을 담고 있으며, 일부 문장의 수수께끼의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에코즈는 외전의 리메이크작.[5] 아카네이아 세계관에 포함되어 있으며, 시열대는 문장의 수수께끼로부터 대략 1000년 전. 일부 뒷배경을 공유한다. 유그드랄 대륙은 아카네이아 대륙보다 훨씬 이전에 형성된 선진 문명으로, 아카네이아 대륙과는 아시아유럽 정도로 떨어져 있다고 한다.[6] 성전의 계보 2부의 1년 전 시기부터 2부 중반까지를 다른 캐릭터의 시점으로 진행하는 스토리이다.[7] if가 비판 받는 이유 중 하나. 특히 북미에서는 대륙 이름도 없는 게임이라고 까인다.[8] 다만 크롬이 if의 국가들을 신화 시대의 국가라고 언급한다. 본편에서도 각성의 캐릭터들 중 일부가 등장하거나, 혹은 그들의 전생이 등장하며, 각성의 내용이 언급된다. 라자트의 지원회화에서 미래의 점으로 카무이의 환생이 크리스러플레라는 이야기가 등장하며, 아카네이아 세계관에서만 사용되는 용족의 퇴화 소재가 등장하기도 한다.[9] 봉인의 검의 20년 전 이야기를 담은 프리퀄.[10] 창염의 궤적의 3년 후의 이야기.[11] 또 다른 주인공 세즈의 시각으로 포드라 대륙의 설정을 확대한 스핀오프작.[12] 요약하자면 정체불명의 병으로 맘쿠트들이 나이가 들면 강대한 힘 때문인지 이성을 잃어버리게 되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석에 그들의 생명력을 봉인하는 방법이 고안된 것.[13] 플레이어가 이들과 결혼한다면 플레이어 고유 자녀 또한 맘쿠트화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7
, 2.18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