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eaa 0%, #005eb8 30%, #005eb8 70%, #003ea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름과 통치 기간만 전해지는 군주 | ||||
브레스 막 부후트 | 비포이그 | 카누툴라차마 | 우라데치 우에클라 | 가르트나이트 1세 | |
탈로크 막 아키우이르 | 드레스트 1세 | 탈로그 1세 | 네크탄 1세 | 드레스트 2세 | |
갈란 에릴리흐 | 드레스트 3세 | 드레스트 4세 | 가르트나이트 2세 | 카일트람 | |
탈로그 2세 | 드레스트 5세 | 갈람 켄날라스 | |||
초기 통치자들 | |||||
브리데이 1세 | 가르트나이트 3세 | 네크탄 2세 | 치니오크 | 가르트나이트 4세 | |
브리데이 2세 | 탈로그 3세 | 탈로간 1세 | 가르트나이트 5세 | 드레스트 6세 | |
후기 통치자들 | |||||
브리데이 3세 | 타란 | 브리데이 4세 | 네크탄 3세 | 드레스트 7세 | |
알핀 1세 | 네크탄 3세 | 옹구스 1세 | 브리데이 5세 | 키니오드 1세 | |
알핀 2세 | 탈로간 2세 | 드레스트 8세 | 탈로간 3세 | 코날 막 테이그 | |
카우산틴 막 페르구사 | 옹구스 2세 | 드레스트 9세 | 탈로간 4세 | 에오간 | |
10년 분쟁 | |||||
우라드 | 브리데이 6세 | 키니오드 2세 | 브리데이 7세 | 드레스트 10세 | |
키나드 1세 | }}}}}}}}}}}}}}} |
<colcolor=#ffffff><colbgcolor=#0065bd> 스코틀랜드 픽트 제28대 군주 드레스트 6세 Drest VI | |
이름 | 드레스트 막 도넬 (Drest mac Donnel) |
출생 | 미상 |
사망 | 677년 (향년 불명) |
재위 | 제28대 픽트 군주 |
663년 ~ 671년 (8년) | |
형제 | 가르트나이트 5세 |
[clearfix]
1. 개요
<픽트 연대기>에 기록된 픽트족의 제28대 군주.2. 행적
가르트나이트 5세의 형제로, 663년 가르트나이트 5세가 사망한 뒤 픽트족의 왕이 되었다. 당시 픽트족은 658년 노섬브리아 왕국의 오스위우(Oswiu)에게 정복된 이래 노섬브리아 왕국을 섬겼다. 픽트족에 대한 노섬브리아의 패권은 664년 휘트비 공의회 이후 리폰의 수도원장 윌프레드를 위시한 앵글로 수도자들이 픽트랜드 각지에 자리를 잡고 '로마 의식'을 거행한 데에서도 확인된다. 드레스트 6세는 형제 가르트나이트 5세처럼 노섬브리아 왕국의 꼭두각시로 간주되었다.670년 오스위우가 사망하자, 픽트족이 노섬브리아로부터 독립하고자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노섬브리아의 새 국왕 에크프리트(Ecgfrith)가 기병대를 규합해 진압에 착수했고, 퍼스 인근에서 벌어진 '두 강 전투'에서 반란에 가담한 픽트족의 유해가 두 강을 가득 메울 정도로 살육했다. 그 후 드레스트 6세는 반란이 일어난 책임을 물어 671년 폐위되었고, 브리데이 3세가 픽트족의 새 국왕으로 옹립되었다.
드레스트 6세는 픽트랜드에서 추방된 뒤 아이오나 수도원에 은거했고, 677년에 사망했다고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