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00:44:56

디몰포돈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실제 고생물에 대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디모르포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디모르포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디모르포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실제 고생물에 대한 내용: }}}[[디모르포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디모르포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디모르포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top2 != null
, [[]][[]]}}}{{{#!if top3 != null
, [[]][[]]}}}{{{#!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익룡 및 조류]]{{{#!if 문서명2 != null
,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파충류 및 양서류]]}}}{{{#!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디몰포돈 아이콘.png
'''디몰포돈
Dimorphodon
{{{#!wiki style="background-color: #1aaab5;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3px 0px 0px; padding: 0px 4px; border-radius: 20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2px; border-color: #1aaab5"
'''
파일:디몰포돈 도감.png

<colbgcolor=#152839><colcolor=#1aaab5> 종명 디모르포돈 에퀘시카
(Dimorphodon equesica)
시기 쥐라기 전기(Early Jurassic)
식성 육식성(Carnivore)
성향 반응성(Reactive)
조련 여부 가능(기절 조련)
추가 DLC 기본, v187.0에서 추가
{{{#!wiki style="margin:0 -10px -2px"
{{{-1 {{{#!folding [ 추가 정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탑승 및 운반 여부
어깨 위로 운반
선호 먹이
드랍 아이템
}}}}}}}}}}}} ||

1. 개요2. 상세3. 성능 및 특징
3.1. 스폰 지역3.2. 조련 방식3.3. 장단점3.4. 다른 생물들과의 비교3.5. 바리에이션
4. 설정 및 스토리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게임 ARK: Survival Evolved디몰포돈(디모르포돈). 올바른 표기는 "디모르포돈"이지만, 공식 번역에서는 중간의 r 부분을 받침으로 넣은 디몰포돈으로 번역되었다.

약칭으로는 "디모르프(Dimorph)"라고도 표기된다. 국내보단 해외에서 사용된다.

2. 상세

파일:디몰포돈 아크.png
소형 익룡으로, 현실의 디모르포돈 복원도와는 동떨어진 생김새를 하고 있다. 초기 아일랜드 맵에 추가된 다른 생물들과 마찬가지로 쥬라기 월드 시리즈에 등장하는 디모르포돈의 디자인을 아예 빼다 박은 수준. 유일한 차이점이라면 머리 중간부분에 뾰족한 볏이 나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야생의 디몰포돈은 숲이나 평원에서 저공비행을 한다. 소형생물 치고는 거친 모양의 날개와 큰 머리가 눈에 띄어 생각 외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선공을 하지 않지만 공격하면 반격한다.

3. 성능 및 특징

||<-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px><tablebordercolor=#152839><tablebgcolor=#152839><tablecolor=#1aaab5><width=50%> 1레벨 기준 기본 능력치 ||<-4><width=50%> 스탯 증가율 및 보너스 ||
스탯 요소 기본 능력치 스탯 증가율 (야생/조련) 조련 시 보너스
파일:ARKHealth.png 체력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125 <colbgcolor=#fff,#000><colcolor=#af3030>+25 <colbgcolor=#fff,#000><colcolor=#599f33>+5.4%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0.07
파일:ARKStamina.png 기력 150 +15 +10%
파일:Oxygen.png 산소 150 +15 +10%
파일:ARKFood.png 음식 900 +90 +10%
파일:ARKWeight.png 무게 50 +1 +4%
파일:ARKMeleeDamage.png 근접공격력 23 +1.15 +1.7% +7% x17.6%
파일:ARKSpeed.png 이동속도 100% N/A +1%
파일:ARKTorpidity.png 마비수치 100 +6 N/A +0.5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px><tablebordercolor=#152839><tablebgcolor=#152839><tablecolor=#1aaab5><width=15%><|2> 이동 방식 ||<-2><width=35%> 기본 속도 ||<-2><width=35%> 질주 속도 ||<width=15%><|2> 소모 기력 ||
야생 조련 야생 조련
<colbgcolor=#152839><colcolor=#1aaab5> 육상 <rowcolor=#000,#fff>80 ? 144 144 파일:ARKStamina.png -5
수중 <rowcolor=#000,#fff>400 ? ? ? 파일:ARKStamina.png -?
공중 <rowcolor=#000,#fff>450 ? 810 810 파일:ARKStamina.png -3

스탯은 동체급의 생물과 다른 요소는 다 비슷하지만 23이나 되는 근접공격력만큼은 랩터보다도 높다. 그러나 오히려 랩터보다도 더 귀찮은데, 하나의 디몰포돈만 때려도 주위의 다른 디몰포돈까지 반격하며, 생존자가 길들인 공룡에 타고 있다면 공룡 대신 탑승한 생존자를 직접 공격하는 생물 중 하나다. 또한 디몰포돈 자체가 워낙 작고, 날아다니는 속도도 빨라 범위가 넓은 대형 공룡의 입질 등이 아니라면 처리하기가 성가시다.

또한 꽤 높은 공격력과 소형의 크기, 꽤나 빠르게 날아다녀 생각 외로 잘 안 맞는 점을 이용해 크라이오포드가 없을 때 좁은 입구의 동굴을 공략할 때도 종종 사용되고는 했다. 크라이오포드가 추가된 이후부터는 공룡의 부피와 입구 크기가 무관해진 만큼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자체적인 특수능력은 없지만 다른 공격능력이 있는 소형 생물들과 마찬가지로 어깨 위에 있을 때 대상을 종종 공격할 수 있으며, 디몰포돈의 인벤토리에 든 무게의 1/2만 플레이어가 든 걸로 뜬다. 디몰포돈 자체의 무게 수치가 높은 편은 아니지만, 고기의 썩는 속도를 늦추거나 임시 가방 정도의 활용은 가능하다.

3.1. 스폰 지역

(공룡 이름) 스폰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흔함 << >> 희귀
줄이 그어져 있음: 조련 불가 / 테두리: 동굴 내부 생성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디 아일랜드 더 센터 스코치드 어스 라그나로크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에버레이션 익스팅션 발게로 제네시스: 파트 1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파일:아크 공백 이미지.png
크리스탈 아일 제네시스: 파트 2 로스트 아일랜드 피오르두르
}}}}}}}}} ||

사막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장소에서 흔하게 스폰된다.

3.2. 조련 방식

디몰포돈 Dododex
조련 방식은 기절 조련(KO Strategy) 방식이다.

디몰포돈 자체가 빠르긴 하지만 볼라에 묶이는데다 마비수치 총량이 적어 쉽게 기절시킬 수 있다. 따로 선호하는 키블은 존재하지 않아 양고기가 최대 효율 먹이로, 150레벨 개체, 1배율 기준 11개, 6분 7초라는 짧은 시간만 기다려도 조련이 가능하다.

3.3. 장단점

3.4. 다른 생물들과의 비교

3.5. 바리에이션

4. 설정 및 스토리

#!wiki style="width:100%; margin:-3px; text-align:center;
{{{#!wiki style="margin:-2px"
{{{#1aaab5 '''헬레나 워커의 도감'''}}}
}}}
{{{#!wiki style="margin:0 -10px -2px"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0.95em;"
야생 개체
Dimorphodon equesica is another of the Island's Jekyll-and-Hyde creatures. It is normally passive, sometimes even friendly. When provoked, it becomes very aggressive, even against larger creatures it has no business fighting...often to its own fatal end. Dimorphodon can make short work of smaller opponents, however, due to its large (but lightweight) skull and teeth. Barely over a meter tall, Dimorphodon should be low on the food chain, but its incredible speed and surprisingly strong bite make it fairly dangerous, especially en masse as they tend to attack in groups. A flock of angry or hungry Dimorphodon can take down prey several times their size, so survivors should take care not to hunt near where a flock is gathered.

길들여진 개체
Dimorphodon is one of the creatures on the Island that is easily domesticated for companionship, but its use in combat is also quite clear: It will hunt in large groups to seek out enemy dino riders directly, harassing them to no end, regardless of the might of their mount!
}}}
}}}}}}}}} ||

5. 여담

파일:디모르포돈 컨셉아트.png
컨셉아트

6. 둘러보기

파일:ARKSE.png
아크: 서바이벌 이볼브드의 파충류 및 양서류
🦎 육상 생물
🦅 비행 생물
🐟 수중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