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04:42:17

큐빅스

로보짱 큐빅스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걸그룹 큐빅스에 대한 내용은 큐빅스(아이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000ff><colcolor=#ffff00> 큐빅스/로보짱 큐빅스[A] (2001~2004)
CUBIX/My friend CUBIX[A]
파일:attachment/Cubix.jpg
기타 포스터 ▼
파일:attachment/Cubix2.jpg
{{{#ffff00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장르 SF, 액션, 거대로봇
감독 허준범
애니메이션 제작 씨네픽스
제작 대원미디어, 씨네픽스, 4키즈 엔터테인먼트
방영 기간 2001.08.11. ~ 2004.05.06.
방송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BS[3]
KBS 2TV[4]
대원방송[5]
투니버스
대교어린이TV
파일:미국 국기.svg Kids' WB!
4Kids Entertainment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화수 각 13화[6]
시청 등급 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7세 이상 시청가[7]
}}}}}}}}} ||

1. 개요2. 특징
2.1. 인기2.2. 경영난 후2.3. 영향력2.4. 현재
3. 줄거리
3.1. 로보짱 큐빅스
4. 등장인물
4.1. 주인공 및 주변인물4.2. 악당
5. 로봇
5.1. 주인공5.2. 악당
6. 주제가
6.1. 오프닝6.2. 엔딩
7. 게임화8. 완구

[clearfix]

1. 개요

2001년에 씨네픽스[8], 대원C&A홀딩스, 4Kids Entertainment, XEBEC이 공동 제작한 한국의 3D CG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총 26부작이며 총감독은 허준범, 시나리오/스토리보드 감독은 미노구치 카츠미, 애니메이션 감독은 이치훈, 포스트프로덕션 감독은 김정한, 시나리오는 히라오 야스시, 미술감독은 양호영, 디자이너는 이숙이 등 4명, 음악감독은 방용석 등이 각각 맡았다. 방영은 미국에서 2001년에 키즈 워너브라더스를 통해 선행방영하다가 한국에서 파트1은 SBS로 먼저 방영하고, 파트2인 로보짱 큐빅스는 KBS 2TV에서 먼저 방영해, 그 다음에 대원방송[9], 투니버스, 대교어린이TV를 통해 방영했다.

2000년대 국산 애니메이션 중에서 작품성 면이나, 상업성 면에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작품이다. 미국시장을 대상으로 방송과 마케팅을 개시하였기 때문에 캐릭터들이 서양틱하다. 통상적으로 미국에서는 애니메이션이 수입될 경우 케이블이나 위성방송에서 먼저 방송된 후 인기가 많다고 판단될 때 지상파 채널에서 방송되는 것이 관행인데, 큐빅스는 이례적으로 타임 워너 산하 WB 네트워크(CW의 전신 중 하나)의 간부가 직접 데모 테이프를 본 후에 바로 방송을 결정하였다고 한다.

2. 특징

2.1. 인기

실제 시청률도 당시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을 앞질렀다고 한다. WB 네트워크의 Kids WB 시간대에 방송한 건 맞으나, 미국 판권은 4Kids가 맡았다. 참고로 포켓몬 TV 애니와 큐빅스 둘 다 4Kids에서 수입했고, 둘 다 Kids WB, FoxBox(4KIds.TV) 시간대에 방송했다.

당시 해외 언론에서는 3D 애니메이션에 한 획을 그은 명작이라고 할 정도로 호평을 받았다. 이유는 2001년에 방영된 미국 3D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의 거장 천재소년 지미 뉴트론보다 1년 더 일찍 방영된 큐빅스의 디자인과 그래픽이 2000년 치고 아주 훌륭했기 때문이다. 미국 어린이 방송 특유의 대두와 괴상한 옷차림의 등장 인물들에 비해 동양식 스타일을 반영한 깔끔한 외모의 주인공들이 일본 애니메이션과 비교될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여러모로 한국 애니메이션 최초로 글로벌 배급에 성공한 애니메이션. 미디어믹스로 게임은 다우데이타시스템과 한국후지쯔, 조이온에서 출시하였고, 영실업과 동양제과, 해태유업, 화승, 매스코퍼레이션 등에서 캐릭터상품이 발매되었으며, 2001년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대상 최우수상을 하였다. 인기를 반영하듯 뮤지컬도 공연하였으며 이후 2기 <로보짱 큐빅스>도 제작되어 2004년 2월 12일부터 5월 6일까지 KBS2에서 매주 목요일 오후 6시마다 했다. 일본에서는 2003년 <さいころボット コンボック>(사이코로봇토 콤봇쿠)란 제목으로 TV 도쿄를 통해 방영되었으며 시청률 7.1%을 찍었다고 한다. 일본측 완구 스폰서는 토미였다.

여담으로 이탈리아판 버전 오프닝도 존재하는데, 퀄리티가 상당히 좋다. # TECHNO LOGICAL 가사 부분의 묘한 중독성과 중간중간 로봇의 작동음틱한 사운드가 곁들어진 나름 숨겨진 명곡.[10]

2.2. 경영난 후

한국에선 방영이 연기되다가 2002년 4월 18일부터 8월 9일까지 SBS 및 9개 지역민방[11]을 통해 첫 방영되었다. 초기에는 매주 목요일 오후 5시 25분이나 45분이었다가 6화부터 6시 10분, 11화부터 금요일 낮 3시 10분 등으로 각각 바뀌었으며, 한일 월드컵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등과 겹친 탓에 휴방된 날이 총 3번이었다.[12]

또한, 해외에서 호평을 받은 큐빅스는 미국 시장에서의 사업은 여러 가지 계약 문제로 인해 실질적인 수익을 거두지 못했다고 한다. 이후 씨네픽스는 이 작품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외주 작업에 의지해 근근히 버티다가 2013년도에 못 버티고 폐업했다. 이후 이 제작사 출신 제작자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후신이 바로 레트로봇이며, 훗날 영실업과 함께 변신자동차 또봇을 제작하여 초대박을 치게 된다.

본방 도중 대원씨아이만화잡지팡팡에서 만화판이 연재된 적이 있었는데, 글/그림은 이용택이 맡았다. 그러나 이것도 중간에 연재가 흐지부지 되었으며, 결국 특별편이 잠깐 나온 것 외에는 더 이상의 추가연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애니메이션 방영과 맞추어서 코믹스 판이 연재되었었으며 팡팡에선 특별 기획으로 매달마다 16개씩[13], 큐빅스 애니메이션 판에 등장하는 모든 로봇들의 프로필을 실어주었다. 단행본은 총 2권까지 나왔으며, 후속작으로 <옐로우 카드>를 만든 박진석과 최지민이 <큐빅스 컬러리믹스>를 만들었다.

2.3. 영향력

큐빅스 자체는 역사속으로 잊혀져 갔지만, 제작국인 한국에서는 이후 2D보다 3D 애니메이션으로 갈아타게 되는 엄청난 영향을 남기고 사라졌다. 한국은 현재 3D 애니메이션의 거장급 나라이기도 하며, 특히 큐빅스가 대상으로 한 아이들이 즐겨보는 유아용 3D 프로그램들은 현재 대부분 한국에서 제작된다.

한때 일본을 따라 2D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1980~90년대 한국은 아기공룡 둘리달려라 하니와 같은 명작들을 제작했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 일본 시장을 못 따라잡았다. 하지만 큐빅스를 계기로 방향을 3D로 바꾼 한국은 현재 아이들의 대통령이라고 불리는 뽀롱뽀롱 뽀로로부터 한국의 대표 변신 로봇 또봇, 남녀노소에게 즐거움을 준 라바, 엄청난 인기를 몬 꼬마버스 타요, 전세계를 휩쓴 핑크퐁프랑스와 계약해 국내에서 제작된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 등 3D 텔레비전 프로그램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는 나라가 되었다.

2.4. 현재

본방 당시에도 SBS 및 KBS 홈페이지에선 1기 및 2기가 다시보기 서비스된 바 있으나, 홈페이지 개편으로 전부 사라져 넷상엔 1화와 오프닝 및 엔딩밖에 남아있지 않았다. 반면 미국에선 퍼니메이션이 DVD로 냈다.

그러다 2020년 6월, 이 시리즈의 전편을 소장하고 있는 한 유튜버가 자신의 채널에 2기인 로보짱 큐빅스를 포함한 모든 에피소드를 업로드하며 부활했다. #


최근에 한 북미 유튜브 채널에 의해서 모두에게 잊혀진 로봇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는데 반응이 뜨겁다. 특히 살면서 주변에서 이 애니메이션에 대해 아무런 이야기를 하지 않아 꿈속에서 봤던 걸로 기억하는 댓글이 인상적이다.

3. 줄거리

근미래 2040년, 지구상의 가상의 마을인 버블타운. 그곳에서 주인공 하늘과 큐빅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버블타운은 로봇과 인간이 훌륭한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작지만 평온한 마을이다. 특이점은 세계 최대의 로봇제작업체인 로빅스 사의 본사가 있는 중소도시 메트로빌에 인접했다는 것이다. 로빅스 사는 신제품 로봇테스트와 각종 로봇제작을 위한 제반기술 연구의 일환으로서 버블타운을 조성했다. 그리고 신기술로 만들어진 로봇 개량된 로봇 등을 마을에 보내어 실생활에서의 상용을 위한 테스트를 반복하고 있다.

때문에, 마을에 사는 사람들은 모두 로봇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로봇을 좋아한다. 로봇들은 항상 버블타운의 여기저기에서 일하며 버블타운의 운영을 위한 요직를 차지하고 있다. 그들은 경찰관, 소방수, 요리, 경비, 예술활동, 체육활동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약하고 인간들과 충돌하는 일 없이 자기 나름대로의 역할을 다한다. 그리고 인간들은 그러한 로봇들을 인정하고 감싸안는다. 버블 타운은 이런 방식으로 매우 이상적인 유토피아 사회를 구성하고 있다.

로봇들이 이렇게 인간들과 가깝게 지낼 수 있었던 것은, 모두, 로빅스의 과학자 네모박사가 만들어낸, EPU(Emotion Process Unit)를 로봇들이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EPU는 로봇이 인간과 유사한 감정을 가지고 생활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감정과 지능을 제공해 준다.

그러나 네모박사는 주인공 하늘이가 버블타운에 이사 오기 1년 전에 의문의 연구소 폭발 사고로 실종되고 만다. 그는 사실 EPU의 개념을 확장시키는 새로운 개념의 연구에 몰두하고 있었다.

과거 지구로 추락한 우주인과 우연히 접촉하게 된 네모박사는 죽어가는 우주인에게서 신비의 에너지 물질인 솔렉스(Solex)를 넘겨 받는다. 그리고 솔렉스와 EPU 간의 놀라운 연관관계를 발견하게 되고, 장차 솔렉스의 힘을 노릴 악의 무리들과의 싸움에 대비해 새로운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 때 만들어진 솔렉스 실험 로봇이 바로 큐빅스(Cubix)이다. 네모가 발견한 놀라운 사실이란,
①. 솔렉스와 EPU는 상호 간에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②. 서로가 융합되면 솔렉스는 엄청난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③. 하지만 이 때 발생한 엄청난 에너지는 EPU의 기능을 마비시키고 로봇이 폭주를 일으키게 한다.
④.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 솔렉스를 결정화시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적용한 첫 번째 실험로봇이 바로 큐빅스였다. 하지만 연구의 완성을 앞두고 평소에 네모박사를 시기하던 닥터 케이(Dr.K)와 솔렉스를 가로채려는 로빅스의 중역 라스카(Laska)의 음모를 꾸민다. 그리고 그 결과, 연구소는 폭파되고 네모박사는 행방불명이 되는데...

3.1. 로보짱 큐빅스

KBS 2TV 목요일 애니메이션
2003.12.18~2004.2.5 2004.2.12~5.6 2004.5.13~8.5
내 친구 우비소년 로보짱 큐빅스 네티비
큐빅스의 두번째 애니메이션 시리즈. 정체가 드러난 세계 정복을 꿈꾸는 악당로봇과의 최종 대결 등의 주 스토리이며, 전편을 능가하는 모험과 롤러코스터와 같은 액션을 더욱 가미시켰다고 한다.

4. 등장인물

4.1. 주인공 및 주변인물

한국어와 영어판에선 몇몇 캐릭들 빼고 성은 미공개.[14] 일본어판은 모든 등장 인물들에게 성이 추가되고 이름들도 일본어로 현지화 되었다.[15]파일:큐빅스 하늘 풀샷.png
}}}}}}
성우: 이미자 / 日: 이시카와 시즈카
신장: 156cm / 몸무게: 39kg / 연령: 13세
외향적인 성격에 운동을 잘하고 활동적이지만 공부에는 별관심이 없다. 가끔 두서없는 행동을 해 주위를 걱정시키는 소년. 조금은 단순한 면이 있고, 무모해 보일 정도로 호기심과 모험심이 강하다. 어머니 없이 자라 가끔 모성을 그리워할 때가 있지만 별 내색은 없이 항상 밝은 표정으로 아버지를 대한다. 그러나 심부름하는 것은 무척 싫어하고 틈만 나면 큐빅스와 놀러 나가기 바쁘다. 여자 친구들에 대해선 별 관심이 없는 듯. 큐빅스와는 티격태격 거리기도 하지만 둘 사이에는 우정이 발전된 믿음이 있다. 참고로 북미판은 남자성우를 썼다.
파일:유리 (큐빅스).png
}}}}}}
성우: 최덕희 / 日: 하세 유리나
신장: 158cm / 몸무게: 32kg / 연령: 13세
새침하고 자존심이 강하다. 귀엽고 깜찍한 행동으로 늘 남자 아이들의 프로포즈를 받는다. 집안에서 유난히 사랑을 많이 받는 막내 딸. 밝고 약간 튀는 스타일이지만 히스테리는 없다.

4.2. 악당

5. 로봇

5.1. 주인공

5.2. 악당

닥터 K가 개발한 로봇들로 전반적으로 크기와 힘은 큐빅스보다 훨씬 크지만 하나같이 약점이 존재해서 큐빅스에게 털리는 게 다반사다. 닛퍼, 케놈, 스포커, 트윈젯은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조종석이 있어서 후반에 하늘 일행이 4기의 로봇을 조종해서 큐빅스를 지원했다.(마력 :6700hp)

6. 주제가

6.1. 오프닝

오프닝 “My Friend" (시즌1)
오프닝 “My Friend" (시즌2)

6.2. 엔딩

엔딩 "큐빅스와 나"
방대식TULA가 불렀다.

7. 게임화

2002년 어린이날에 출시한 버블타운의 대모험과 큐빅스의 탄생, 아이러브 큐빅스로 CD 게임이 있다. 버블타운의 대모험은 액션 아케이드 형식, 큐빅스의 탄생은 슈팅게임 형식, 아이러브큐빅스는 타자게임이다.[24]

누군가 2021년 3월 4K 화질의 게임 플레이 영상을 올렸다.#

큐빅스 슈팅 게임의 효과음 중 일부는 파랜드 택틱스의 효과음[25]을 무단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는 저작권 인식이 미비했던 탓에 비슷한 사례가 수도 없이 많지만...

또한 3DO를 통해 Cubix - Robots for Everyone - Clash 'N Bash 라는 이름의 GBA 게임이 북미에 발매되었다.

8. 완구

방영과 동시에 큐빅스 피규어가 완구로 발매되었는데 각 관절이 자석을 이용해 합체, 분리하기 때문에 기본 변신인 탱크, 전투기, 호버 바이크, 헬리콥터 외에도 사용자의 상상력에 따라 수십 가지의 변신을 창작해낼 수 있다는 점이 특징.

자석 이외에도 관절이 플라스틱으로 된 것도 있으나 자석 버전에 비해 인기가 없다. 플라스틱 관절 버전은 아직도 구하기 쉬운 편이나 자석 관절 버전은 지금은 구하기 어려운 초 레어 장난감.

영화 집으로...의 주인공 상우의 장난감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얼마 안 가 부서진다(...).

[A] 2기 한정[A] [3] 파트1[4] 파트2 로보짱 큐빅스[5] 애니원, 애니박스, 챔프TV[6] 합쳐서 26부작.[7] 지상파 한정. 대원방송을 포함한 케이블 TV모든 연령 시청가.[8] NICE기업정보 조회 결과 2013년 폐업. 2008년에 일부 인원이 레트로봇을 세워 변신자동차 또봇, 바이클론즈, 애슬론 또봇, 포텐독을 제작했다.[9] 애니원, 애니박스, 챔프TV[10] 유튜브에서 동일 애니에 사용된 주제가가 나라별로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는 영상들을 뒤져보면 많은 국가가 원곡에서 가사만 바꾼 번안곡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이탈리아는 거의 자체적으로 만든 창작곡을 사용한다.[11] PSB(현 KNN), TBC, KBC, TJB, UBC, CJB, JTV, GTB(현 G1). 참고로 JIBS는 방영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2002년 5월 31일에 개국했고 2002년 6월부터 방영되었다.[12] 2002년 6월 6일은 현충일 특집다큐 <젊음은 하나: 한일 대학생 병영체험>, 13일은 <2002 국민의 선택>, 26일은 청춘시트콤 <레츠고> 지연편성 등으로 각각 휴방됨.[13] 팡팡이 월간잡지였고, 프로필 소개가 끝나갈 무렵에는 로봇의 숫자가 줄어서 였는지 프로필이 8개로 줄었다.[14] 참고로 한국어판에서의 아빠 '강한'과 '하늘' 및 '민우'는 한국계 이름들이다.[15] 이는 '몽구'나 '헤라' 및 '라스카'처럼 외국식 이름의 캐릭터들도 동일.[16] 양국 다 포켓몬스터 베스트위시에서 랭글레이를 맡았다.[17] 큐빅스와 중복. 이는 영어판 성우와 동일.[18] 일본 위키백과에서 큐빅스 캐스트 기준으로 적혀있다.[19] 작중 성우진들 중 유일하게 투니버스 성우다.[20] 사실 라스카는 바로 큐빅스를 솔렉스로 주입하다가 죽은 줄로만 알았던, 외계인이자 우주악당 지코(ZZICO)였다.[21] 스펠링은 같지만 발음이 다르다.[22] 일본판에서는 1화에서부터 말을 하는 것으로 나온다.[23] 일부만 변신할 수도 있어서 작중에선 위장한 상태로 스캐빈저의 팔을 쓰기도 했다.[24] 이 중 아이러브는 데모판도 없었고 시리얼 먹으면 공짜로 주는 것도 아니어서 그 존재를 아는 이가 드물다.[25] 적이 발사하는 레이저의 효과음, 컨티뉴 시의 효과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