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00:39:23

마르첼 콜러

마르첼 콜러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파일: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8대
클럽
파일:1. FC 쾰른 로고.svg

30대
}}} ||
Al Ahly Sporting Club
<nopad> 파일:Kller.jpg
이름 마르첼 콜러
Marcel Koller
본명 마르첼 마르틴 콜러
Marcel Martin Koller
출생 1960년 11월 11일 ([age(1960-11-11)]세)
스위스 취리히 주 취리히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위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위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3cm
직업 축구선수 (수비형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경력 선수 FC 슈바멘딩엔 (1970~1972 / 유스)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1972~1978 / 유스)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1978~1997)
감독 FC 빌 1900 (1997~1998)
FC 장크트갈렌 (1998~2002)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2002~2003)
1. FC 쾰른 (2003~2004)
VfL 보훔 (2005~2009)
오스트리아 대표팀 (2011~2017)
FC 바젤 (2018~2020)
알 아흘리 SC (2022~ )
국가대표 58경기 3골 (스위스 / 1982~1996)

1. 개요2. 선수 경력3. 감독 경력4. 둘러보기

1. 개요

스위스의 축구선수 출신 축구감독.

2. 선수 경력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의 원 클럽 플레이어로, 통산 543경기 73골을 기록하며 7번의 리그 우승과 5번의 컵 우승을 달성했다.

3. 감독 경력

1997-98 시즌 FC 빌에서 감독 생활을 시작해 데뷔 첫 시즌에 팀을 스위스 챌린지 리그로 승격시켰다. 곧바로 스위스 슈퍼 리그의 장크트갈렌으로 적을 옮겨 팀에게 96년만의 리그 우승을 선사하였고, 유로파 리그에서도 첼시를 격파하는 업셋을 일으키는 등 선전하며 2000년 스위스 올해의 감독으로 선정되었다. 이후 친정팀 그라스호퍼 감독으로 부임하여 02-03 시즌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2003년에는 쾰른의 사령탑으로 선임되어 빅리그 도전에 나섰으나 강등 위기에 처한 팀을 구해내지 못하고 순항하던 커리어의 첫 실패를 맛본다. 05-06 시즌을 앞두고 2부 리그 보훔에서 재차 독일 무대에 도전장을 내밀었는데, 첫 시즌 여유로운 승격에 이어 06-07 시즌에는 잔류에 급급한 전력으로 팀 역사상 3번째 최고 순위인 리그 8위를 차지한다. 뒤이은 두 시즌은 중하위권으로 마무리하여 분데스리가 붙박이로 자리매김하는 듯 보였으나 09-10 시즌 초반 부진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경질된다.

2011년 10월 4일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의 신임 감독으로 공식 발표되었다. 2014 브라질 월드컵 예선은 독일과 스웨덴에 밀려 조 3위로 탈락하였지만 유로 2016 예선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유로 예선을 뚫어내고 본선에 진출하는 혁혁한 성과를 거두었고, 당시 FIFA 랭킹에서도 역대 최고 순위(10위)를 기록했다. 다만 이러한 배경에 힘입어 다크호스로 주목받던 유로 본선에서는 1무 2패 조별리그 최하위로 패퇴하며 씁쓸하게 장기 집권의 끝을 마주했다.

2018년 8월부터 2020년 8월까지 바젤의 감독이었고, 18-19 스위스 컵 우승을 달성했다. 2022년 9월 이집트 최고 명문 알 아흘리 감독으로 부임하여 리그 2연패, 이집트컵 2연패, 챔피언스 리그 2연패, 슈퍼컵 4연패를 비롯하여 22-23 시즌 트레블을 이룩하는 등 빛나는 우승 기록을 써내려가고 있다.

4. 둘러보기

파일:UEFA 유로 2016 로고(가로형).svg
UEFA 유로 2016 참가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colbgcolor=#002661> A조 파일:UEFA EURO FRA.png
디디에
데샹

파일:UEFA EURO ROU.png
앙겔
요르더네스쿠


파일:UEFA EURO ALB.png
잔니
데 비아시


파일:UEFA EURO SUI.png
블라디미르
페트코비치


B조 파일:UEFA EURO ENG.png
로이
호지슨
파일:UEFA EURO RUS.png
레오니트
슬루츠키
파일:UEFA EURO WAL.png
크리스
콜먼
파일:UEFA EURO SVK.png

코자크
C조 파일:UEFA EURO GER.png
요아힘
뢰프
파일:UEFA EURO UKR.png
미하일로
포멘코
파일:UEFA EURO POL.png
아담
나바우카
파일:UEFA EURO NIR.png
마이클
오닐
D조 파일:UEFA EURO ESP.png
비센테
델 보스케
파일:UEFA EURO CZE.png
파벨
브르바
파일:UEFA EURO TUR.png
파티흐
테림
파일:UEFA EURO CRO.png
안테
차치치
E조 파일:UEFA EURO BEL.png
마르크
빌모츠
파일:UEFA EURO ITA.png
안토니오
콘테
파일:UEFA EURO IRL.png
마틴
오닐
파일:UEFA EURO SWE.png
에리크
함렌
F조 파일:UEFA EURO POR.png
페르난두
산투스

파일:UEFA EURO ISL.png
헤이미르
하들그림손

라르스
라예르베크


파일:UEFA EURO AUT.png
마르셀
콜러


파일:UEFA EURO HUN.png
베른트
슈토르크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6019641968197219761980
198419881992199620002004
20082012201620202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