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4:16:05

미하일로 포멘코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white><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FC 디나모 키이우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27년 ~ 현재
미상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초대
토바로보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2대
포민
파일:소련 국기.svg
3대
페체니
파일:소련 국기.svg
4대
부투소프
파일:소련 국기.svg
5대
마키냐
파일:소련 국기.svg
6대
코체보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7대
아푸크틴
파일:소련 국기.svg
8대
셰고드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9대
수슈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0대
오쿤
파일:소련 국기.svg
11대
포킨
파일:소련 국기.svg
12대
오셴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3대
실로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14대
솔로비요프
파일:소련 국기.svg
15대
테렌티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6대
마슬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17대
세비도프
파일:소련 국기.svg
18대
로바노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19대
모조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20대
로바노브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21대
푸자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2대
포멘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3대
사보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4대
로바노브스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5대
파블로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6대
로바노브스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7대
미카일리첸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8대
사보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9대
부르야크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30대
데먀넨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31대
사보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32대(대행)
루주니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33대
쇼민
파일:러시아 국기.svg
34대
가자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5대(대행)
하츠케비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36대(대행)
미카일리첸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37대
블로힌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38대
레브로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39대
하츠케비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40대
미카일리첸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41대
루체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42대(대행)
쇼우코우스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

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18489D,#6192e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92년 ~ 현재
초대
프로코펜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초대(대행)
파블로브 / 트카첸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대
바질례비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대(대행)
파블로브 / 문탼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3대
사보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4대
콘코브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5대
사보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6대
로바노브스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7대
부략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8대
블로힌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9대
미카일리첸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10대
마르케비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11대
칼리트빈체브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12대
블로힌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12대(대행)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12대(대행)
자바로브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13대
포멘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14대
셰브첸코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15대
페트라코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15대(대행)
로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16대
레브로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우크라이나의 축구 감독
파일:미하일로 포멘코.jpg
<colbgcolor=#eeeeee> 이름 <colbgcolor=#FFF,#191919> 미하일로 포멘코
Михайло Фоменко | Mykhaylo Fomenko
본명 올레흐 로마노비치 루즈니
Михайло Іванович Фоменко
Mykhaylo Ivanovych Fomenko
출생 1948년 9월 19일
소련 우크라이나SSR 수미 주 말라 리비차
사망 2024년 4월 29일 (향년 75세)
우크라이나 수미 주
국적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신체 180cm
직업 축구선수 (라이트백 / 은퇴)
축구 감독
경력 <colbgcolor=#eeeeee> 선수 스파르타크 수미 (1965~1970)
FC 조랴 루한스크 (1970~1972)
FC 디나모 키이우 (1972~1979)
감독 스파르타크 수미 (1979)
FC 데스나 체르니히우 (1985~1986)
FC 크리우바스 크리비리흐 (1987)
FC 구리아 란치쿠티 (1987~1990)
스파르타크 수미 (1991~1992)
FC 디나모 키이우 (1993)
NK 베레스 리우네 (1994)
기니 축구 국가대표팀 (1994)
FC 아르세날 키이우 (1994~1996)
FC 메탈리스트 하르키우 (1996~2000)
FC 아르세날 키이우 (2000~2001)
FC 메탈리스트 하르키우 (2001~2002)
FC 메탈루르흐 자포리자
FC 메탈리스트 하르키우 (2003~2005)
SC 타브리야 심페로폴 (2005~2008)
FC 살류트 벨고로드 (2010~2011)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2012~2016)
국가대표 24경기 (소련 / 1972~1976)

1. 개요2. 선수 경력3. 감독 경력4. 사망

[clearfix]

1. 개요

우크라이나의 축구 선수 출신 감독.

2. 선수 경력

1972년 디나모 키예프로 이적해 전성기를 보냈다. 또한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차지했다.

3. 감독 경력

2014년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UEFA 유로 ​​2016 예선까지 우크라이나를 이끌고 싶다고 밝혔다. 이후 우크라이나 축구 연맹은 그의 계약을 연장했고 UEFA 유로 ​​2016에 참가했다.

4. 사망

2024년 4월 29일 사망했다. 향년 75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