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5 14:58:51

올레흐 블로힌

<colbgcolor=#005bbb> 올레흐 블로힌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005bbb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0대, 14대
클럽
파일:FC 디나모 키이우 로고.svg

37대
}}}}}} ||
올레흐 블로힌의 수상 이력
{{{#005bbb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발롱도르 트로피.png
베스트팀
파일:월드사커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5e5e5
바실리스
하치파나기스

파일: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요한
크루이프

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루네
브라체트

파일: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미카엘
라우드루프

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프리츠
발터

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알렉산드르스
스타르코우스

파일:1200px-Latvian_Football_Federation_logo.svg.png
레프
야신

파일:러시아 축구 연합 로고.svg
게오르게
하지

파일:Federatia_Romana_de_Fotbal_logo.png
루이
필로

파일:Luxembourg FLF.png
아르미나스
나르베코바스

파일: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라이너
하슬러

파일: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다르코
판체프

파일: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A]
파벨
체바누

파일: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카르멜
부수틸

파일: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울
판힘스트

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

파일: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사페트
수시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조지
베스트

파일: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파일: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시모
보니니

파일:San Marino FSGC 2021.png
드라간
자이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1px-SiCGFSLogo.png
[A]
스테판
샤퓌자

파일: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헨리크
라르손

파일: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데니스

파일: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알프레도
디스테파노

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포플루하르

파일: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브란코
오블라크

파일: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호렌
오가네샨

파일: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스게이르
시구르빈손

파일:Iceland KSÍ.png
조니
자일스

파일: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구형).svg
아나톨리
바니솁스키

파일: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콜도
알바레즈

파일: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나요트
파노

파일: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르트

파일: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파일: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올레흐
블로힌

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찰스

파일: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모르데하이
슈피글레르

파일: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디노
조프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바비
무어

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무르타즈
후르칠라바

파일: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요제프
마소푸스트

파일: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세르게이
크보치킨

파일: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다보르
슈케르

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소티리스
카이아파스

파일:Cyprus CFA.png
하칸
쉬퀴르

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아브라함
뢰킨

파일: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에우제비우
파일: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브워지미에시
루반스키

파일:폴란드 국장.svg
쥐스트
퐁텐

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원정).svg
야리
리트마넨

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푸슈카시
페렌츠

파일: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A] 2003년 수상 당시 국명[A]

}}}}}}}}}}}}}}} ||

}}}}}} ||
우크라이나의 축구 감독
파일:Oleg_Blokhin2013.jpg
이름 올레흐 블로힌
Оле́г Блохі́н | Oleh Blokhin
본명 올레흐 볼로디미로비치 블로힌
Оле́г Володи́мирович Блохі́н
Oleh Volodymyrovych Blokhin
출생 1952년 11월 5일 ([age(1952-05-11)]세)
소련 SSR 우크라이나 키예프
국적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신체 180cm
직업 축구 선수 (공격수[1]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FC 디나모 키이우 (1969~1988)
SK 포어베르츠 슈타이어 (1988~1989)
아리스 리마솔 FC (1989~1990)
감독 올림피아코스 FC (1990~1993)
PAOK FC (1993~1994)
이오니코스 (1994~1997)
PAOK FC (1997~1998)
AEK 아테네 FC (1998~1999)
이오니코스 (1999~2002)
우크라이나 대표팀 (2003~2007)
FC 모스크바 (2007~2008)
우크라이나 대표팀 (2011~2012)
FC 디나모 키이우 (2012~2014)
국가대표 112경기 42골[2] (소련 / 1972~1988)
정보 더 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가족 前 배우자 이리나 데리우기나
이리나 블로히나
}}} ||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2.2. 국가대표
3. 지도자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5.3. 수훈5.4. 개인 기록
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나는 블로힌의 엄청난 성과가 전혀 놀랍지 않아요. 그는 유럽 최고의 윙어입니다. 브라질 선수에 비견될만한 민첩성과 발기술을 가졌죠."
발레리 로바노브스키
우크라이나축구 선수 출신 감독.

우크라이나 축구사를 대표하는 인물로 요한 크루이프프란츠 베켄바워발롱도르를 양분하던 시기에 그 둘을 밀어내고 발롱도르를 수상했다는 것으로 올레흐 블로힌의 클래스를 알 수 있다. 우크라이나 국적의 선수로는 최초로 발롱도르를 수상했으며[3] 소련으로 넓혀도 필드 플레이어로는 최초이다.[4]

2. 선수 경력

2.1. 클럽

블로힌은 1952년 당시 소련에 속해 있던 우크라이나의 키예프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소련의 뛰어난 100미터 달리기 선수였으며, 블로힌 역시 어린 시절에 육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재능도 대단해서 100미터를 10초 8에 주파하는 실력을 자랑하였다.

소련의 디나모 키예프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한 블로힌은, 어린 시절부터 발빠른 선수였고, 점차 커가면서 좋은 실력까지 겸비하게 되었다. 그리고 18살의 나이에 당당히 디나모 키예프의 주전 공격수로 자리잡게 되었다.

1973년에 발레리 로바노브스키가 부임한 이후 블로힌의 기량은 올라갔고 4년 연속 득점왕을 차지했다. 이후 블로힌의 화살촉은 유럽을 찌를 준비가 되었다. 1974-75 시즌 PSV 아인트호벤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를 헝가리의 페렌츠바로시 TC를 상대로 3:0으로 제압하여[5]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도 들어올리며 명성을 유럽 무대에 알렸다. 이어서 유러피언 슈퍼컵에서 유러피언컵 우승팀이자 프란츠 베켄바워, 게르트 뮐러, 제프 마이어가 이끄는 FC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1차전에는 1골, 2차전에는 2골을 넣어 합계 3:0으로 완승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이때의 활약으로 블로힌은 1975년 발롱도르를 수상했다. 블로힌은 이후에도 맹활약했고 1985-86 시즌 이고리 벨라노프와 함께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을 들어올렸고 대회 총 5골을 득점하여 벨라노프와 함께 득점왕을 차지했다.

2.2. 국가대표

파일:external/img01.mundodeportivo.com/Oleg-Blokhin_54354344621_54115221213_490_300.jpg
1972 뮌헨 올림픽1976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에 동메달을 안겨주었고 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서는 2차 조별리그까지 올라갔으나 즈비그니에프 보니에크이 이끄는 폴란드에 골 득실로 밀려 4강 진출에 실패했다. 1986년 멕시코 월드컵에서는 팀의 핵심 선수가 아니었으며 이고리 벨라노프의 활약으로 16강에 진출했으나 벨기에와의 경기에서 연장 접전 끝에 4:3으로 패했다.

또한 소련 축구 역사상 최초로 FIFA 센추리 클럽에 가입했다.

3. 지도자 경력

1990년에 은퇴를 하고 지도자의 길을 걸었고,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끌고 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 8강까지 이끌었다. 이후 UEFA 유로 2008 본선 진출에 실패하며 대표팀 지휘봉을 내려놓았고, UEFA 유로 2012가 폴란드와 자국에서 공동 개최되어 2011년 ~ 2012년까지 대표팀 감독을 잠깐 맡았고, 2012년 2월 ~ 2014년 4월까지 FC 디나모 키이우 감독을 역임하였다.

4. 플레이 스타일

압도적인 스피드, 드리블 능력으로 유명했다. 별명인 화살도 블로힌의 스피드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대 최고의 수비수 중 한 명인 베르티 포크츠를 유럽대항전에서 만날 때마다 탈탈 털어버렸던 무시무시한 선수이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5.3. 수훈

5.4. 개인 기록

6. 여담

이리나 데리우기나결혼하였으나, 1990년이혼하였다. 둘 사이에는 외동딸 이리나 블로히나가 있다.

7. 둘러보기

파일:2006 FIFA 월드컵 독일 로고_좌우.svg
2006 FIFA 월드컵 독일 참가 감독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006EAC> A조 파일:독일 국기.svg
위르겐
클린스만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알렉산드레
기마라예스
파일:폴란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파베우
야나스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루이스 페르난도
수아레스
B조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스벤예란
에릭손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아니발
루이스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레오
베인하커르
파일:스웨덴 국기.svg
라르스
라예르베크
C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페케르만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앙리
미셸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일리야
페트코비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르코
반 바스텐
D조 파일:멕시코 국기.svg
리카르도
라 볼페
파일:이란 국기.svg
브란코
이반코비치
파일:앙골라 국기.svg
루이스 올리베이라
곤칼베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루이스 펠리페
스콜라리
E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첼로
리피

파일:가나 국기.svg
라토미르
두이코비치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브루스
아레나


파일:체코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카렐
브뤼크네르


F조 파일:브라질 국기.svg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즐라트코
크란차르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거스
히딩크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지쿠
G조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레몽
도메네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야코프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아드보카트


파일:토고 국기.svg
오토
피스터


H조 파일:스페인 국기.svg
루이스
아라고네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올레흐
블로힌
파일:튀니지 국기.svg
로저
르메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마르쿠스
파케타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19341938195019541958
196219661970197419781982
198619901994199820022006
2010201420182022
}}}}}}}}}

파일:UEFA 유로 2012 로고(가로형).svg
UEFA 유로 2012 참가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colbgcolor=#A343B6> A조 파일:UEFA EURO POL.png
프란치세크
스무다
파일:UEFA EURO GRE.png
페르난두
산투스
파일:UEFA EURO RUS.png

아드보카트
파일:UEFA EURO CZE.png
미할
빌레크
B조 파일:UEFA EURO NED.png
베르트
판마르베이크
파일:UEFA EURO DEN.png
모르텐
올센
파일:UEFA EURO GER.png
요아힘
뢰프
파일:UEFA EURO POR.png
파울루
벤투
C조 파일:UEFA EURO ESP.png
비센테
델 보스케

파일:UEFA EURO ITA.png
체사레
프란델리

파일:UEFA EURO IRL.png
조반니
트라파토니


파일:UEFA EURO CRO.png
슬라벤
빌리치


D조 파일:UEFA EURO UKR.png
올레흐
블로힌
파일:UEFA EURO SWE.png
에리크
함렌
파일:UEFA EURO FRA.png
로랑
블랑
파일:UEFA EURO ENG.png
로이
호지슨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6019641968197219761980
198419881992199620002004
20082012201620202024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4272e 50%, #c4272e 5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4272e> 파일:소련 축구 연맹 로고.svg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b1783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33333>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올레흐 블로힌 112회 1972.7.16 1988.9.21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transparent 80%, #fff 70%, #fff 80%, #061b79 80%, #061b79 90%, #c23729 90%, #c23729);"<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2372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c23729>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 127회 2002.8.21 2018.7.7
2 빅토르 오놉코 113회 1992.4.29 2004.8.18
3 올레흐 블로힌 112회 1972.7.16 1988.9.21
4 이고르 아킨페프 111회 2004.4.27 2018.7.7
5 유리 지르코프 105회 2005.2.9 2021.6.12
6 바실리 베레주츠키 101회 2003.6.7 2016.10.9
}}}}}}}}}}}}}}} ||



[1] 윙어, 세컨드 스트라이커[2]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3] 2번째는 이고리 벨라노프, 3번째는 안드리 셰브첸코.[4] 소련 최초의 발롱도르 위너는 그 유명한 레프 야신.[5] 이때 블로힌은 팀의 세번째 골을 넣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