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30:09

메탈 베이블레이드(만화)

파일:메탈 베이블레이드 한국판.png

베이블레이드 (파츠)발매 제품
코믹스 (ZERO G소울 버스트)발매 현황등장인물
애니메이션 (1기2기3기4기대회 결과)・게임{{{#!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000 45%, #000 55%, transparent 55%); width: 90%"
메탈 베이블레이드
メタルファイトベイブレード
Beyblade Metal Fusion[1]
파일:메탈 베이블레이드 코믹스 1권 한국어판.jpg
<colbgcolor=#dadcde,#dadcde> 장르 액션, 배틀, 스포츠, 다크 판타지, 소년만화
작가 아다치 다카후미(足立たかふみ)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쇼가쿠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은하수미디어
연재처 파일:일본 국기.svg 월간 코로코로 코믹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 텐토무시 코믹스
연재 기간 2008년 10월호 ~ 2012년 3월호[2]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11권 (2012. 03. 28.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권 (2012. 02. 30.)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발매 현황
2.1. 국내 발매
3. 특징
3.1. 높은 수위
4. 등장인물 5. 설정
5.1. 세계관5.2. 용어
6. 평가
6.1. 긍정적 평가6.2. 부정적 평가 및 문제점
7. 미디어 믹스8. 속편
8.1.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ZERO G8.2.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소울 버스트
9. 기타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메탈 베이블레이드의 만화. 작가는 아다치 다카후미.[3]

2. 발매 현황

01권 02권 03권
파일:메탈 베이블레이드 코믹스 1권 한국어판.jpg
파일:메탈 베이블레이드(만화) 한글판 2권.jpg
파일:메탈 베이블레이드(만화) 3권 한글판.jpg
파일:일본 국기.svg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2009년 03월 27일 파일:일본 국기.svg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2009년 06월 26일 파일:일본 국기.svg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2009년 11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10월 3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12월 3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02월 30일
04권 05권 06권
파일:메탈 베이블레이드(만화) 4권 한글판.jpg
파일:메탈 베이블레이드(만화) 5권 한글판.jpg
파일:메탈 베이블레이드(만화) 6권 한글판.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03월 26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06월 2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09월 2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04월 3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08월 3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년 12월 30일
07권 08권 09권
파일:메탈 베이블레이드(만화) 7권 한글판.jpg
파일:091412370000d0000000.jpg
파일:091412990000d0000000.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12월 2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04월 2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08월 3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02월 3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발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발매
10권 11권 ,(完),
파일:091413800000d0000000.jpg
파일:091414330000d0000000.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1년 12월 2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03월 2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발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발매

2.1. 국내 발매

한국에서는 2011년 10월 30일부터 은하수미디어에서 투니판과 똑같은 제목으로 정발되어 2013년 10월까지 7권까지 나왔으나 4D 스토리가 시작되는 8권부터는 정발이 끊겼다. 번역은 김창헌이 맡았다.

3. 특징

캐릭터들 대부분이 과거사나 배경 설정이 일절 묘사되지 않으며[4] 중간중간에 추측할 만한 단서조차 없다. 메인 주인공인 긴가부터 모친이 일절 등장하지 않고 오히려 언급 한 번도 없다. 그나마 과거와 내력이 가장 상세히 묘사된 주연은 마사무네. 이와 별개로 캐릭터들 각각의 성격은 상당히 개성적이고 다채로운 편에 속한다. 전작과 달리 캐붕 또한 거의 일어나지 않고[5] 시즌이 바뀌어도 캐릭터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쿄우야, 마사무네 등 양면성이 부각되는 캐릭터 또한 어느정도 있는 편.

아동용 애니메이션 치고는 주조연들이 대체적으로 성숙한 편이다. 버스트 시리즈의 주조연들은 영락없는 초등학생 디자인이 대부분이고[6] 탑블레이드 또한 공식적으로 초등학생 나이로 나왔지만 본작의 등장인물들은 켄타, 유우 등의 소수를 제외하면 청소년에서 성인이 대다수이다.[7]

3.1. 높은 수위

역대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중 유난히 어둡고 진지한 분위기의 작품이다. 코믹스나 애니 모두 아동용 작품치고는 수위가 높은 편이다. 특히 애니메이션의 경우 감독이 스기시마라 그런지 이게 어떻게 아동용 애니메이션이냐 싶을 정도로 수위높고 잔혹한 연출이 많으며 전체적인 분위기와 전개도 탑블레이드, 버스트 시리즈, X 시리즈보다 어둡다.

대표적으로 1기 초반 류우가가 있다. 패드립[8]에 더해 수시로 섬뜩하고 광기 넘치는 표정을 보이며, 상대를 처참하게 박살내는 장면히 적나라하게 연출되었다.[9], 이외에도 데미안 하트에게 진 줄리어스 시저의 얼굴이 폐인처럼 변해버리는 것이나 제오 아비스가 절규하며 어레인지를 받는 장면 등이 있다. 심지어 이런 장면들이 꽤 자주 나옴에도 멀쩡히 7세 이용가로 방영되었다.[10][11]
시각적 장면뿐 아니라 갈수록 내용 전개도 매우 자비없이 진행된다. 1기 후반에는 긴가와 벤케이, 블레이더가 아닌 마도카를 제외한 주인공 일행 전원이 다크 네뷸러에게 처참하게 깨지며[12] 2기에서는 제오와 마사무네의 갈등을 시작으로 츠바사와 유우, 엑스칼리버까지 재기불능으로 당해나간다.[13]

작품의 배경 또한 베이를 스포츠로 취급하는 것은 폭전슛 시리즈, 버스트 시리즈, X 시리즈와 비슷하지만, 본작의 베이는 단순한 스포츠 도구 수준을 훨씬 뛰어넘어 제대로 쓰면 대량살상무기에 맞먹는 병기로 묘사된다. 그렇기 때문에 베이를 통해 권력을 독점하려는 권력자들과 전쟁이 판을 치고[14] 사람들이 죽어나가기도 한다.[15]

종영된 지 오래된 현재는 이게 어떻게 애들만화냐는 의견이 매우 많다. 사실상 아동용 애니메이션보단 청소년~성인 계층을 겨냥한 소년만화에 더 가까운 작품. 덕분에 베이블레이드 시리즈는 물론 아동용 애니메이션 전체를 따져도 수위가 손에 꼽힌다.

제작진들도 이러한 지적들을 인지했는지 3기인 4D부터는 수위가 높은 장면이 많이 줄었다. 다만 어디까지나 줄었다는 거지 없는 건 아니다. 제로G에서는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16]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탈 베이블레이드(만화)/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설정

5.1. 세계관

아동용 작품이라서 어느정도 가려지는 편이지만 제법 어두운 편에 속한다. 베이를 이용해 전쟁과 분쟁이 늘 일어났고 그 싸움이 현재까지 지속된다는, 상당히 암울하면서도 현실적인 세계관을 다루고 있다.
파일:라엘 전쟁.gif
이 세계관에서 베이는 단순한 팽이가 아니고, 운석에 담겨있는 별의 힘을 이용해 고대의 인간들이 작정하고 만든 전쟁 병기이다. 특히 라이트닝 엘드라고는 전쟁에서 너무 큰 힘을 발휘해 엘드라고를 막고자 하는 인간들이 만든 또다른 병기인 페가시스에 의해 봉인되었다. [17]

그런 시대가 계속되던 도중 검은 태양의 기운을 받은 별의 조각이 지구에 떨어졌고, 그 조각은 당시의 독재자였던 하데스의 손에 넘어간다. 하데스는 그 힘을 이용해 자신에게 불만을 품는 자들을 숙청하기 시작했고 결국 파괴의 신으로서 거듭난다. 옆 나라의 왕인 제우스와 전사들이 목숨을 걸고 싸워서 세상은 간신히 평화를 찾았고, 현실의 역사처럼 수천년 뒤 전란과 평화가 반복된 것이 본편의 시점이다.

베이가 단순한 스포츠가 아닌 무기나 마찬가지기 때문에, 작중의 블레이더들은 대부분 목숨을 걸고 싸우며 작중에서도 배틀 중 크게 다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한다. 한두번도 아니라서 관객들도 크게 반응하지는 않는 편.[18]

베이의 기원과 역사는 작중 일반인들에겐 그닥 알려져 있지 않은 것으로 묘사된다. 극초반에 다이도우지가 베이의 잠재적인 위력을 설명하자 긴가를 제외한 4인은 처음 듣는다는 듯이 반응했고, 류세이 또한 베이의 기원을 이야기하는 유우키에게 네가 그걸 어떻게 아냐는 투로 묻는다.

5.2. 용어

6. 평가

6.1. 긍정적 평가

6.2. 부정적 평가 및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전드 블레이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미디어 믹스

7.1. 애니메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탈 베이블레이드(만화)/애니메이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게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탈 베이블레이드/게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속편

8.1.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ZERO 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ZERO G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소울 버스트

파일:133797bc7eb3a9bd020d86f0712bf5ab-e1563955706587.jpg
2019년 7월 13일,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라이징과 같이 단편 형식으로 재연재 결정되면서 9월호 때 발매되었다. 시간대는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4D와 제로G 사이의 시점을 다루고 있으며 기존 하이브리드 휠 시스템을 기반으로 버스트 기믹이 새롭게 만들어졌다. 또한 애니 오리지널 캐릭터였던 마도카가 원작 만화 쪽으로 역수입되어 등장한다.

네메시스 사태 이후에 버스트 시스템을 제작하였다고 한다.

9. 기타

10. 둘러보기

베이블레이드 코믹스 시리즈
탑블레이드 메탈 베이블레이드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 ZERO G


[1] Beyblade Metal Fusion(1~5권) / Beyblade Metal Masters(6~8권) / Beyblade Metal Fury (9~11권)[2] 2008. 09. 13. ~ 2012. 02. 15.[3] 1972년 6월 21일 후쿠오카현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서 보냈으며, 대학생 시절 미디어웍스의 <월간 전격 코믹 가오!!>에 만화를 투고했다가 요시토미 아키히토 밑에서 어시스턴트로 만화 수업을 받았다. 2001년 단편만화 <분해실 피트(分解屋ピット)>가 제48회 쇼가쿠칸 신인 코믹 대상 소년부문 가작으로 선정되면서 데뷔한 후 2005년부터 <월간 코로코로 코믹>에서 주로 활동하며 <전장의 푸가> 만화판 등을 냈다. 제자로 데미즈 포스카를 뒀으며 후에 그녀 또한 훗날 베이블레이드 만화를 그리게 된다. (공식 홈페이지, 공식 페이스북, 공식 트위터)[4] 엄밀히 말하면 히카루를 비롯한 조연들은 오히려 제법 설명이 있다. 반면 마도카, 켄타, 쿄우야, 유우 등은 가족이나 과거사에 대해 전혀 언급이 없다.[5] 2기 초반의 긴가가 캐릭터 붕괴라는 소리를 듣기도 했다. 다만 이는 상황을 고려해야 하며 회차가 갈수록 1기 시절로 돌아오기에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다.[6] 다만 예외는 있다.[7] 오히려 켄타와 유우가 타 시리즈의 주조연들의 연령대이다.[8] 원래 일본어 대사는 "네 아버지는 쓰레기다"이지만, 더빙판에서는 순화는커녕 "네 아버지는 천하의 쓰레기다"라고 더 심하게 번역했다.[9] 후속편으로 갈수록 악역에서는 벗어났기에 점점 강도가 약해지지만 최종보스였던 1기에서는 상대를 처참하게 박살내고 재기불능으로 만드는 상황이 비일비재했다. 그 정점이 쿄우야와의 준결승에서 엘드라고의 암흑의 힘이 쿄우야를 관통하고 혼수상태로 만든 것.[10] 중간중간 대사의 뉘앙스를 변경한 부분 정도는 있다.[11] 다만 이때 방송 심의 규정이 지금보다 다소 불안정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본작보다 수위가 훨씬 높은 이누야샤 1부만 해도 이것보다 더 옛날에 방영한걸 감안해도 겨우 12세 이용가였으며, 만약 2022년 현재 재방영이라도 하게 된다면 12세 이용가 혹은 15세 이용가로 격상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12] 효우마, 켄타, 유우는 레이지에게 베이와 멘탈이 개박살나고 히카루, 츠바사, 쿄우야, 다이도우지를 비롯한 다크 네뷸러는 류우가에게 힘을 빼앗기며 중상을 입는다.[13] 특히 폭 37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데미안이 츠바사와 유우를 쓰러트리며 나오는 웅장한 코러스 브금, 류우가의 경고가 오버랩되고 긴가가 소리를 지르며 에피소드가 끝나는 연출이 그야말로 압권이다.[14] 작중에서 각자 다른 가치관을 가진 캐릭터들의 대사와 연출을 통해 이에 대한 비판도 드러난다.[15] 다만 아동용으로써 상한선인지 사람이 죽을 것이 거의 확실한 상황이 여러 번 나오지만 직접적인 묘사는 거의 없다. 후반부 류우가의 사망씬 또한 직접적으로 죽었다고 말하지는 않고 시청자들이 짐작할 수 있도록 은유적으로 묘사되었다.[16] 다만 키라는 썩소 연출이 종종 나온다.[17] 베이가 전쟁병기로 쓰인 건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로, 그리스에서 아레스는 너무 강력한 힘 때문에 두려워하는 사람들에 의해 신전에 봉인되었다.[18] 물론 여기 세계관이 개개인이 살인무기를 전부 들고다니는 막장 세계관은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동네 팽이대전과 비슷한 수준으로밖에 사용할 줄 모르며(1화에서 켄타가 나간 대회를 보면 알 수 있다.), 사람을 해칠 수 있을 정도로 베이를 다룰 줄 아는 네임드 인물들은 극소수이다. 그 인물들이 주인공 일행과 대부분 엮여 있어 부각이 안될 뿐이다.[19] 제로G에서는 세계협회로 불린다.[20] 참고로 일본 지부 본부장은 2~3기 기준으로 하가네 류세이, 4기에서는 오오토리 츠바사.[21] 완구 쪽에서 포인트 카드가 포인터를 대체했기 때문이다.[22] 후반부에 따르면 하데스라는 이름의 기원은 플루토다이도우지가 숭배해오던 고대의 왕 하데스에서 따온 것이다.[23] 대외적으로는 지구라트일 가능성이 높다. 플루토는 어디까지나 뒤에서 조종했기 때문.[24] 후보 선수마저 싸울 수 없는 상황에는 팀의 재량으로 다른 블레이더를 대타로 내세울 수 있다. 단 조건이 있는데 성인이 아니며 주전 선발전에 참가한 적이 없는 자. 이러한 조건으로 후반부에 하가네 류세이유미야 켄타가 대신 나가려 했으나 기각되었다.[25] 강강갤럭시의 정비사인 아마노 마도카, 라브슈카의 매니저인 푸틴, 스타브레이커의 감독인 닥터 지구라트가 여기에 해당한다.[26] 복선이 있었는데 작품의 모든 베이들이 별자리는 점과 또한 작품 초반에 나온 베이의 탄생 전설에서도 어느날 하늘에서 별이 떨어졌으며 별의 조각에서 탄생한 베이는 긴 세월을 지나면서 조금씩 진화했고 지금의 베이가 되었다는 내용이었다.[27] 대신 긴가의 바로 옆에서 성장해가며 독자 및 시청자의 이입을 유도하는 캐릭터가 필요했고, 그렇게 만들어진 캐릭터가 유미야 켄타이다. 다만 애니메이션에서는 1기 이후로 이 역할을 하지 않으며, 대신 4D에서 독자적인 역할을 따로 부여받아서 더블 주인공 포지션을 수행했다.[28] 유우나 킹도 어린아이같은 성격을 커버할 정도로 본인의 실력이 강하기 때문에 크게 민폐를 끼치는 장면이 나오지는 않는다. 마사무네의 경우에는 발암스러운 모습을 꽤 많이 보이긴 하지만 취급이 워낙 좋지 않아 비호감보다는 불쌍하다는 평이 많다.[29] 탑블레이드 1기는 공기 캐릭터가 많다는 평가는 없다. 오히려 분량이 잘 나누어져 있다는 호평이 더 많다.[30] 어지간한 소년만화 뺨칠 정도로 극단적이다. 한 예시로 2기에서만 해도 상위권 강자였던 오오토리 츠바사는 4D에서의 말도 안 되는 파워인플레를 따라가지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털리기만 한다.[31] 켄타는 그 외에도 어린아이다운 모습을 보이면서도 한편으로는 나이대에 비해 성숙한 모습도 보여 상단에 서술된 클리셰를 비튼 캐릭터이기도 해서 개초딩으로 까이지도 않았다.[32] 원래는 회수하려고 했다가 10분 방영으로 전환되어서 그러지 못한 것이라 추측하는 의견이 많다.[33] 다만 이 부분은 본작 대부분의 캐릭터가 출신이나 과거에 대한 언급이 전무한지라 그러려니 넘겨야 하는 부분이 있다.[34] 대표적으로 게오르그와 유우를 제외한 2기 후보선수들.[35] 대표적으로 쿄우야의 동생 카게루와 줄리어스 시저의 동생 네로. 카게루는 원작에선 비중이 있지만 애니에선 에필로그때 잠깐 나온다.[36] 제오도 마사무네와 친구가 아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28
, 7.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2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68
, 7.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