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30:59

명하

중국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2em; letter-spacing: -.4px"
황하 문명
하(夏)
상(商)
서주(西周)
동주(東周) 춘추전국시대 ( 춘추 | 전국 )
춘추오패 | 전국칠웅
초한쟁패기
후초(後楚) | 서초(西楚) | 십팔제후국
전한(前漢)
신(新)
현한(玄漢)
후한(後漢)
삼국 위(魏) 촉(蜀) 오(吳)
서진(西晉)
동진(東晉)
환초(桓楚)
오호십육국
전진(前秦)
남북조 송(宋) 북위(北魏)
제(齊)
양(梁)
후량(後梁)
수(隋)
당(唐)
무주(武周) | 위연(僞燕) | 황제(黃齊)
오대십국 여러 민족들
요(遼)
서요(西遼)
북송(北宋)
남송
(南宋)
금(金)
몽골 제국
원(元)
북원(北元)
명(明)
순(順) | 남명(南明) | 후금(後金)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세력
청황실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


대하
大夏

Dà Xià
1363년 ~ 1371년
이칭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명하(明夏)
위치 중국 사천성
수도 중경(重慶)
정치 체제 전제군주제
국가원수 황제
국성 (明)
주요 황제 태조 명옥진
언어 중고한어 ~ 근고한어(파촉한어, 중세상어, 조기서남관화),
토가어 등
문자 한자(방언자 포함)
종교 미륵 신앙
종족 한족, 토가족
주요 사건 1357년 중경 점령
1361년 반독립 정권 수립
1363년 대하 건국
1371년 대하 멸망
성립 이전 원나라
멸망 이후 명나라
현재 국가 중국

1. 개요2. 역사3. 행정
3.1. 중앙 행정3.2. 지방 행정3.3. 행정구역 변천
4. 역대 황제

[clearfix]

1. 개요

원나라 말기와 명나라 초기 시대에 오늘날 사천성 일대에 건국된 왕조. 황제의 성씨를 따 명하(明夏), 혹은 하(蜀夏), 명촉(明蜀)이라고도 한다.

2. 역사

원나라 말기 군웅 명옥진은 1351년 홍건적의 난이 일어나서 홍건적 중 천완국(天完國) 서수휘(徐壽輝) 군세가 강성해질 무렵 군을 이끌고 합류한다. 이후 서수휘 휘하에서 원수로 활약하여 중경을 점령하고 촉(蜀), 오늘날 사천성 일대를 차지했다. 1360년에 서수휘가 진우량에게 살해당하고 진우량이 대한(大漢)을 세워 자립하자 명옥진은 단번에 진우량과 관계를 끊고 농촉왕(隴蜀王)을 자칭하고 명정((明貞)으로 개명하면서 사실상 자립했다. 이후 참모 유정(劉楨)이 한 건의를 받아들여 1363년에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대하(大夏)라 하고 수도를 중경에 두었다. 그러나 사천성이 고립된 곳이라 다른 군웅들에 비하면 그 세력이 약소하였기에[1] 1363년에 원나라 황족인 양왕(梁王)이 다스리는 운남을 공격하였으나 좌절되고, 적극적인 대외 진출보다 내정 정비에 힘쓰게 되었다. 명옥진은 명교(明敎)와 미륵 신앙을 결합한 백련교의 영향을 받았으나 유독 미륵을 신앙하여 불교와 도교를 금지했다. 내정을 잘하였기 때문에 그가 통치할 때에 서촉은 평안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1366년에 명옥진이 36세로 요절하고 만다. 그는 아들 명승(明昇)과 신하들을 불러 유언을 남기고 죽는다.
서촉은 험하고 고립되어 있으니 좌우 측근과 세자가 한마음으로 협력하면 능히 지킬 수 있다. 그렇지 아니하면 후사를 알 수 없다.

그러나 명옥진이 죽은 후 10살밖에 안된 어린 나이에 즉위한 명승은 허수아비였고, 황태후 팽씨(彭氏)가 섭정을 시작했으나 공신들끼리 다툼이 벌어지게 된다. 먼저 만승(萬勝)이 장문병(張文炳)을 죽이고, 장문병의 지인이었던 명소(明昭)가 만승을 죽이고, 그 명소를 오우인(吳友仁)이 죽이고 조정의 권력을 장악하였다. 문제는 이때 죽어나간 사람들이 하나같이 공신들이었다는 것이었다. 이미 주원장 세력이 최강으로 자리잡은 시점에서 서로 힘을 합쳐도 모자랄 판에 내분까지 일으키니 그야말로 자멸행위였다.

결국 1368년에 주원장이 대도를 함락하면서 사실상 패권이 정해졌고, 명승은 주원장에게 대도 함락을 칭송하는 글을 올렸다. 1369년에 주원장은 대놓고 사천성에서 인재를 구한다는 글을 보냈고, 마침내 그 해 겨울에 항복을 권한다. 이때 주원장 말고도 그의 휘하에 있던 양경(楊璟)이 항복을 권고하는 글을 보낸다.

이후 오우인이 명나라에게 털려 흥원(興元)을 빼앗겼다. 1370년에 탕화(湯和), 요영충(廖永忠)이 수군으로 장강가 협곡도시인 구당(瞿塘)을 거쳐서 중경으로 진격하였고, 부우덕(傅友德)과 고시(顧時)는 육군을 거느리고 농을 거쳐 진격하였다. 당연히 명하군은 저항하는 족족 무너졌고 권신 오우인이 명승에게 항복을 권고하게 되었다. 결국 명승은 자신을 포박하고 옥을 입에 문 채 항복하였다. 1371년에 명군에게 공격을 받고 항복해, 명하는 8년 만에 멸망했다.

명승은 항복 후 명나라 수도 응천부(남경)로 이송되어 귀의후(歸義侯)에 봉해졌으나, 명하 유신들 일부가 명나라에 저항하다가 진압당한 것이 빌미가 되어 이듬해에 남녀 28명과 함께 고려로 보내져 서촉 명씨, 승씨(昇氏)의 시조가 되었다. 명하 왕족의 후손들은 한반도에 6만 명 가량, 중국에 2만 명 가량이 있는데 중국 명씨들은 대부분 감씨로 개성했다.

3. 행정

3.1. 중앙 행정

초기에 주례를 따라 6경을 두었다가 3성 6부제로 고쳤다.

3.2. 지방 행정

원나라 사천행성 4로, 천동로(川東路), 천서로, 천남로, 천북로를 반분해 개편한 8 밑에 , , 을 두고 부에 자사를, 주에 태수를, 현에 현령을 보냈다.

3.3. 행정구역 변천

현행


東至夷陵(今湖北省宜昌市夷陵區),西至雲南中慶(今雲南省昆明市),南至播州(今貴州省遵義市),北至興元(今陝西省漢中市)。設六卿,後改中書省。其政區,分八道,下設府、州、縣三級。府置刺史,州置太守,縣置縣令。並設將軍於南鄭(今陝西省漢中市),以進取陝右,設將軍於夷陵,以圖
江左。
明玉珍天統五年(1366年、至正二十六年),明玉珍崩,子明昇繼位。至明昇開熙五年(明洪武四年、1371年),朱元璋遣將攻夏,僅七月,明昇降,四川地區遂成為明王朝版圖。
明氏大夏政權政區的建置:新置有珙州和綦江縣、石羊縣。復置有資州和雒、江源、永康、保寧、江油、安岳、井研、昌寧、大足、墊江、樂溫等縣及永寧鎮邊都元帥府。省並的縣有:省小溪縣入遂寧州,省石照縣入合州,省滎經縣入嚴道縣,省佛鄉洞長官司入邑梅沿邊溪洞軍民府等
。改動的縣有:改樂溫縣為長壽縣,改龍州為龍州宣慰司,改永寧路為永寧鎮邊都元帥府,改瀘州為瀘州路都元帥府等。明昇降時,明王朝所得的大夏的地方政區,據文獻記載尚有「總制府七,元帥府八,宣慰司、宣撫司二十五
,州三十七,縣六十七。
政區


資州
資州
資州

,明玉珍置。洪武初降為
資縣
資縣
資縣

[2]


江源縣
江源縣
江源縣

,崇慶州東南有江源縣,明玉珍復置,洪武初省
[2]


雒縣
雒縣
雒縣

,明玉珍復置雒縣,為
漢州
漢州
漢州

州治。洪武四年省縣入州
[2]


保寧縣
保寧縣
保寧縣

,元以
威州
威州
威州

州治保寧縣省入威州。明玉珍復置保寧縣。洪武二十年五月復省保寧縣入州
[2]


昌寧縣
昌寧縣
昌寧縣

,明玉珍置。在重慶府
榮昌縣
榮昌縣
榮昌縣

西北,洪武七年省
[3]


綦江縣
綦江縣
綦江縣

,明玉珍置。元
綦江長官司
綦江長官司
綦江長官司(頁面不存在)

,屬
播州
播州
播州

[3]


石照縣
石照縣
石照縣

,元重慶府
合州
合州
合州

州治,明玉珍省縣
[3]


墊江縣
墊江縣
墊江縣

,明玉珍置,屬重慶府
忠州
忠州
忠州

[3]


真州
真州
真州

,元珍州思寧長官司。明玉珍改真州,洪武十七年置
真州長官司
真州長官司
真州長官司(頁面不存在)

。萬曆二十九年四月改置
真安州
真安州
真安州

[4]


珙州
珙州
珙州

,元
下羅計長官司
下羅計長官司
下羅計長官司

,屬
敍南宣撫司
敍南宣撫司
敍南宣撫司(頁面不存在)

。明玉珍改為珙州。洪武四年降為
珙縣
珙縣
珙縣

[5]


龍州宣慰司
龍州宣慰司
龍州宣慰司(頁面不存在)

,元
龍州
龍州
龍州

,屬
廣元路
廣元路
廣元路

。明玉珍置龍州宣慰司。洪武六年十二月復置龍州
[6]


江油縣
江油縣
江油縣

,元省。明玉珍復置
[6]


小溪縣
小溪縣
小溪縣

,元潼川府
遂寧州
遂寧州
遂寧州

州治,明玉珍省縣
[7]


榮經縣
榮經縣
榮經縣

,屬
雅州
雅州
雅州

,明玉珍省入
嚴道縣
嚴道縣
嚴道縣

,洪武中復置
[8]


沿邊溪洞軍民宣慰司
沿邊溪洞軍民宣慰司
沿邊溪洞軍民宣慰司(頁面不存在)

,元
酉陽州
酉陽州
酉陽州

,屬
懷德府
懷德府
懷德府

。明玉珍改沿邊溪洞軍民宣慰司。洪武五年四月仍置酉陽州,兼置酉陽宣慰司
[9]


邑梅沿邊溪洞軍民府
邑梅沿邊溪洞軍民府
邑梅沿邊溪洞軍民府(頁面不存在)

,元
佛鄉洞長官司
佛鄉洞長官司
佛鄉洞長官司(頁面不存在)

,明玉珍改邑梅沿邊溪洞軍民府。洪武八年正月改置
邑梅洞長官司
邑梅洞長官司
邑梅洞長官司(頁面不存在)

[9]


石砫安撫司
石砫安撫司
石砫安撫司(頁面不存在)

,元
石砫軍民宣撫司
石砫軍民宣撫司
石砫軍民宣撫司(頁面不存在)

。明玉珍改安撫司。洪武八年正月為
石砫宣撫司
石砫宣撫司
石砫宣撫司(頁面不存在)

,屬
重慶衞
重慶衞
重慶衞(頁面不存在)

[10]


忠路宣撫司
忠路宣撫司
忠路宣撫司(頁面不存在)

,明玉珍忠路宣撫司。洪武四年改
忠路安撫司
忠路安撫司
忠路安撫司(頁面不存在)

[11]


散毛宣慰使司都元帥
散毛宣慰使司都元帥
散毛宣慰使司都元帥(頁面不存在)

,元至元三十年四月置
散毛洞蠻夷官
散毛洞蠻夷官
散毛洞蠻夷官(頁面不存在)

。三十一年五月升為府,屬四川行省。至正六年七月改
散毛誓厓等處軍民宣慰司
散毛誓厓等處軍民宣慰司
散毛誓厓等處軍民宣慰司(頁面不存在)

。明玉珍改散毛宣慰使司都元帥。洪武七年五月改
散毛沿邊宣慰司
散毛沿邊宣慰司
散毛沿邊宣慰司(頁面不存在)

,屬重慶衞
[11]


龍潭長官司
龍潭長官司
龍潭長官司(頁面不存在)

,元
龍潭宣撫司
龍潭宣撫司
龍潭宣撫司(頁面不存在)

。明玉珍改長官司。洪武八年十二月改
龍潭安撫司
龍潭安撫司
龍潭安撫司(頁面不存在)

,屬重慶衞
[11]


大旺宣撫司
大旺宣撫司
大旺宣撫司(頁面不存在)

,明玉珍大旺宣撫司。洪武八年十二月因之,屬四川。永樂五年改置大旺安撫司
[11]


忠建軍民都元帥府
忠建軍民都元帥府
忠建軍民都元帥府(頁面不存在)

,元忠建軍民都元帥府。明玉珍因之。洪武五年正月改忠建長官司
[11]


沿邊溪洞宣撫司
沿邊溪洞宣撫司
沿邊溪洞宣撫司(頁面不存在)

,元
湖南鎮邊宣慰司
湖南鎮邊宣慰司
湖南鎮邊宣慰司(頁面不存在)

。明玉珍改沿邊溪洞宣撫司。洪武五年正月改
沿邊溪洞長官司
沿邊溪洞長官司
沿邊溪洞長官司(頁面不存在)

[11]


高羅安撫司
高羅安撫司
高羅安撫司(頁面不存在)

,元
高羅宣撫司
高羅宣撫司
高羅宣撫司(頁面不存在)

。明玉珍改安撫司。洪武六年廢。永樂四年三月復置
[11]


木冊長官司
木冊長官司
木冊長官司(頁面不存在)

,元
木冊安撫司
木冊安撫司
木冊安撫司(頁面不存在)

。明玉珍改長官司
[11]


鎮南宣撫司
鎮南宣撫司
鎮南宣撫司(頁面不存在)

,元
宣化鎮南五路軍民府
宣化鎮南五路軍民府
宣化鎮南五路軍民府(頁面不存在)

,尋改
湖南鎮邊毛嶺峒宣慰司
湖南鎮邊毛嶺峒宣慰司
湖南鎮邊毛嶺峒宣慰司(頁面不存在)

,明玉珍改鎮南宣撫司
[11]


唐崖安撫司
唐崖安撫司
唐崖安撫司(頁面不存在)

,元
唐崖軍民千戶所
唐崖軍民千戶所
唐崖軍民千戶所(頁面不存在)

。明玉珍改安撫司。洪武七年四月改長官司
[11]


東鄉五路宣撫司
東鄉五路宣撫司
東鄉五路宣撫司(頁面不存在)

,明玉珍置東鄉五路宣撫司,明洪武六年改
東鄉安撫司
東鄉安撫司
東鄉安撫司(頁面不存在)

[12]


參考文獻

1.
^
移至
移至
蒲孝榮,《四川政區沿革與治地今釋》,四川人民出版社,1986年03月第1版,第353-354頁
2. ^
移至: 2.0
2.1
2.2
2.3
《明史》卷四十三 志第十九/地理四/四川/成都府
3. ^
移至: 3.0
3.1
3.2
3.3
《明史》卷四十三 志第十九/地理四/四川/重慶府
4.
^
移至
移至
《明史》卷四十三 志第十九/地理四/四川/遵義軍民府
5.
^
移至
移至
《明史》卷四十三 志第十九/地理四/四川/敍州府
6. ^
移至: 6.0
6.1
《明史》卷四十三 志第十九/地理四/四川/龍安府
7.
^
移至
移至
《明史》卷四十三 志第十九/地理四/四川/潼川州
8.
^
移至
移至
《明史》卷四十三 志第十九/地理四/四川/雅州
9. ^
移至: 9.0
9.1
《明史》卷四十三 志第十九/地理四/四川/酉陽宣慰司
10.
^
移至
移至
《明史》卷四十三 志第十九/地理四/四川/石砫宣慰司
11. ^
移至: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明史》卷四十四 志第二十/地理五/湖廣/施州衞軍民指揮使司
12.
^
移至
移至
《清史稿》卷五百十二 列傳二百九十九/土司一/湖廣/施南

4. 역대 황제

대수 묘호 시호 칭호 성명 재위기간
- - 흠혜황제(欽惠皇帝) - 명랑(明郞) -
- - 장혜황제(莊惠皇帝) - 명자성(明子成) -
- - 소순황제(昭順皇帝) - 명여해(明如海) -
- - 선무황제(宣武皇帝) - 명학문(明學文) -
1대 태조(太祖) 흠문소무황제(欽文昭武皇帝) 농촉왕(隴蜀王) 명정(明貞)# 1362년 ~ 1366년
2대 - - 귀의후(歸義侯)
화촉군(華蜀君)[2]
명승(明昇) 1366년 ~ 1371년


[1] 열전에는 정예병이 1만이 되지 않는다고 나온다. 물론 정예병 숫자이고, 전시에 일반 백성들을 징발하면 병력 수는 몇 배로 늘어날 것이다. 그래도 주원장과 진우량이 파양호 대전에서 20만 대 60만을 쏟아부은 것을 생각한다면 미약하다.[2] 조선에서 받은 봉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