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21:26:27

현(행정구역)

1. 개요2. 각국 변천 및 현황
2.1. 중화권2.2. 일본2.3. 베트남2.4. 한반도
2.4.1. 기록된 역대 현 목록
2.4.1.1. 경기도2.4.1.2. 충청북도2.4.1.3. 충청남도2.4.1.4. 전라북도2.4.1.5. 전라남도2.4.1.6. 경상북도2.4.1.7. 경상남도2.4.1.8. 강원도2.4.1.9. 황해도2.4.1.10. 평안도2.4.1.11. 평안북도2.4.1.12. 함경남도2.4.1.13. 함경북도
2.4.2. 관련 문헌
2.4.2.1. 지리지2.4.2.2. 지도
2.5. 외국 행정구역의 번역
3. 관련 문서

1. 개요

()은 고대부터 있던 행정구역 명칭이다. 옛 지방행정 단위로 중원에서 기원했으며, 현재 중국(대륙, 대만 둘 다), 일본, 베트남에서 행정단위로 사용하며, 한자 문화권 국가 중에서 이러한 행정구역이 필요 없는 도시 국가싱가포르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한국(남한북한 둘 다)만 사용하지 않는다.

2. 각국 변천 및 현황

2.1. 중화권

2.1.1. 전근대

전근대 중국에서 지방 구획 중 아주 오래된 것이다. 자는 원래 目 + 木 + 糸로 이루어진 회의자로, 사람의 잘린 머리를 실로 묶어 본보기로 나무에 매달아 놓는 형벌인 효수를 형상화했다. 이는 중국 최초의 왕조인 상나라가 인신공양을 행하던 나라였기 때문이다. 훗날 주나라에서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천자에게 매여 있다'는 뜻에서 해당 글자가 지방 구획을 가리키는 글자가 되었고, 원래 縣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한 한자인 이 추가되었다.

춘추시대까지 군(郡)보다 컸으나 전국시대부터 군보다 작아졌다. (秦)나라부터 주부군현(州府郡縣)이라 하여 상하 관계가 뚜렷해져, 현은 언제나 지방행정구역 가운데 최하단위가 되었다. 전한시대부터 현에 여러 등급이 생겼다. 한(漢)나라에서 1만 호를 기준으로 그 이상인 현에 영(令)을, 그 이하에 장(長)을 두었으며, 당나라송나라에서 적 (赤),기 (畿), 망 (望), 긴 (紧), 상 (上), 중 (中), 하 (下) 7등급으로 구분하여 모두 영을 두었다. 몽골제국에서 현을 상·중·하 3등급으로 나누어 모두 다루가치(達魯花赤)를 설치하였다. 명나라에서 3등급으로 구분하여 모두 지현(사를)(知縣(使))을 두었지만, 청나라에서 아무런 구별 없이 지현(사를)을 두었다.

2.1.2. 중화인민공화국

현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현은 지급 행정구역 가운데 맹(盟)을 제외한 지구(地区), 지급시(地级市), 부성급시(副省級市), 자치주(自治州)와 성급 행정구역인 직할시(直轄市)[1]에 속한 행정구역이며, 이 가운데 소수민족이 모여사는 자치현도 있다. 지급 행정구역 산하 현이 도시화가 되(었다고 중앙정부가 판단하)면 현급시(縣級市)가 되며 직할시 산하 현은 시할구(市轄區)가 된다.

영어명은 County를 쓴다.

2.1.3. 중화민국(대만)

중화민국 대륙시기북양정부 때에 와 성급인 천변(川邊)·열하·차하르·수원(綏遠)특별행정구, 경조지방(京兆地方), 청해지방(青海地方)알타이지구(地區), 일리지구(地區), 타르바가타이지구(地區)에 속했고 국민정부 때에 행정독찰구(行政督察區)해남특별행정구에 속했으며 지금 대만에서 에 직속한 행정구역이다. 대만/영유권 주장 지역 문서를 보면 동북9성(東北九省)대만성, 해남특별행정구를 뺀 대부분 성이 관할하는 현이 최소 60개는 되며 100개가 넘는 곳도 흔하다. 그리고 성 대부분이 웬만한 나라 크기인, 그야말로 대륙의 기상인데 현은 한국의 도농복합시, 군 정도 크기고 23부제를 시행할 때와 같이 모두 으로 이름과 같아서 한국으로 대입하면 도급 행정구역 없이 시와 군만 군으로 관할하는 셈이다. 때문에 행정상 과부하가 걸려 1914년에 중간단위인 부(행정구역)를 폐지하지 못하고 도(행정구역)으로 개편할 수밖에 없었고, 출장소 관할구역 격인 행정독찰구를 두게 되었다. 또 현에 등급을 메기게 되었다.

[1914년]] 1월 30일에 《》(각 중복 현명 개정 및 존폐 이유 청단, 위키문헌)를 비준하며 유명하지 않거나 나중에 생긴 일부 현 이름을 소속한 부 이름이나 옛이름으로 바꿔 혼동 및 착오를 범할 확률을 줄이기 시작했다.
1914년(민국 3년) 2월 5일에 발행한 중화민국 (북양)정부 공보 제628호
개칭 전 개칭 후 비고
봉천성(奉天省) 안동현(安東縣) 강소성 안동현(安東縣)보다 늦은 1876년(청나라 광서 2년)에 같은 이름으로 설치되었으나 1906년(청나라 광서 32년)에 (조약으로) 개항되며 유명해져 개칭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1934년에 일부가 안동시(安東市)로 분리되었고, 1965년에 안동시가 현 단동시(丹東市)로, 안동현이 동구현(東溝縣)으로 개칭되었으며, 1993년에 동구현이 현급시인 동항시(東港市)로 승격되었다.
강소성 안동현(安東縣) 강소성 연수현(漣水縣) 585년(수 문제 개황 5년)에 현 북쪽에 있는 연수(漣水)를 따 바꾼 연수현(漣水縣)으로 되돌렸다.

1914년 2월 이후에도 다음과 같이 현 이름이 바뀌었다.
개편 일자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사유 등)
1914년 2월 산동성 蘭山縣 산동성 임기현(臨沂縣) 감숙성 난산도(蘭山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5월 봉천성(奉天省) 승덕현(承德縣) 봉천성(奉天省) 심양현(瀋陽縣) 직례성(直隸省) 승덕현(承德縣)과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봉천성(奉天省) 장수현(長壽縣) 봉천성(奉天省) 동빈현(同賓縣) 사천성 장수현(長壽縣)과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하남성 영녕현(永寧縣) 하남성 낙녕현(洛寧縣) 사천성 영녕도(永寧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직례성(直隸省) 안숙현(安肅縣) 직례성(直隸省) 서수현(徐水縣) 감숙성 안숙도(安肅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강서성 여릉현(廬陵縣) 강서성 길안현(吉安縣) 같은 여릉도(廬陵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산서성 악양현(岳陽縣) 산서성 안택현(安澤縣) 호남성 악양현(岳陽縣)과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강서성 건창현(建昌縣) 강서성 영수현(永修縣) 사천성 건창도(建昌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직례성(直隸省) 보정현(保定縣) 직례성(直隸省) 신진현(新鎮縣) 같은 보정도(保定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광서성(廣西省) 남녕현(南寧縣) 광서성(廣西省) 옹녕현(邕寧縣) 같은 남녕도(南寧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운남성 보이현(普洱縣) 운남성 영위현(寧洱縣) 같은 같은 보이도(普洱道)와 이름이 겹침
1916년 4월 사천성 회유현(懷柔縣) 사천성 첨화현(瞻化縣) 경조지방(京兆地方) 회유현(懷柔縣)과 이름이 겹침
1919년 10월 감숙성 금현(金縣) 감숙성 유중현(榆中縣) 봉천성(奉天省) 금현(金縣)과 이름이 겹침
1928년 10월 하북성 당산현(唐山縣) 하북성 요산현(堯山縣) 같은 난현(灤縣) 당산진(唐山鎮)과 이름이 겹침
1929년 4월 감숙성 영강현(永康縣) 감숙성 강현(康縣) 절강성 영강현(永康縣)과 이름이 겹침
1929년 9월 합강성(合江省) 수원현(綏遠縣) 합강성(合江省) 무원현(撫遠縣) 수원성(綏遠省)과 이름이 겹침
1929년 9월 기린성 기린현(吉林縣) 기린성 영길현(永吉縣) 기린성과 이름이 겹침
1929년 11월 운남성 광서현(廣西縣) 운남성 노서현(瀘西縣) 광서성(廣西省)과 이름이 겹침
1929년 11월 운남성 운남현(雲南縣) 운남성 상운현(祥雲縣) 이름과 겹침
1930년 10월 귀주성 귀양현(貴陽縣) 귀주성 귀축현(貴築縣) 귀양시(貴陽市)와 이름이 겹침
1942년 3월 영하성(寧夏省) 영하현(寧夏縣) 영하성(寧夏省) 하란현(賀蘭縣) 이름과 겹침
1945년 1월 운남성 곤명현(昆明縣) 운남성 곡창현(谷昌縣) 곤명시(昆明市)와 이름이 겹침

현행 대만 행정구역은 성 바로 아래가 현이지만 대륙 행정구역해남성명목 행정구역인 대만성을 제외한 모든 성에 성과 현 사이에 한 단계(지급)가 더 있어 성 바로 아래가 현이 아니다. 해남성명목 행정구역인 대만성에 지급 행정구역이 있지만 지급 행정구역이 현급 행정구역을 관할하지 않기 때문이다.

1998년 이후 성이 실제 기능을 하지 않게 되어 사실상 현이 직할시와 함께 최상급 행정구역이 되었다. 하지만 성은 중화민국 헌법에 설치가 규정되어있어 지금도 명목 행정구역으로 남아있다.

영어명은 County를 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08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0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2. 일본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f,#1f2023>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e0000> 도(都) 도(道) 부(府) 현(県)
기타 군(郡)
마치(町)
초메(丁目)
}}}}}}}}} ||



일본에서 원래 쓰지 않던 행정단위를 메이지 유신 당시에 도입하였다. 최초에 41개가 있었지만 무진전쟁 이후 폐번치현으로 302개로 늘었고 이후 몇번 통폐합되어 현재 43개로 줄어들었다. 일본 최상위 행정구역으로, 미국 행정구역 가운데 와, 중국 행정구역 가운데 자치구와, 대한민국 행정구역 가운데 와 같은 최상위 행정구역이다. 총 43개가 존재한다. 현 목록은 도도부현 문서에 있다.

영어로 Prefecture(프리펙쳐)를 쓴다. 일본어로 けん(ken-켄)으로 읽는다.

2.3. 베트남

베트남어로 縣 / huyện(후옌)이라고 쓰며, 영어로 District로 번역한다.

성(tỉnh, 틴) 아래 농촌 지역에 설치되는 기초 행정구역이란 점이 한국 군과 같다.

2.4. 한반도

삼국시대 후기에 설치되기 시작해 본격적으로 후기 신라발해 때에 본격 설치되어 조선 말기까지 있던 가장 작은 규모인 행정구역이었다. 신라와 발해 모두 전국에서 인구가 많고 큰 고을을 각각 군(행정구역)로 정하고 주, 군 하나에 주변 작은 현 0~4개(신라) 또는 1~6개 정도를 거느리는 형태였다. 후기 신라는 모든 지방 행정단위에 지방관이 파견되었으나, 나말여초 혼란기를 거쳐 지방 호족세력의 위상이 강화된 고려는 지방관이 있는 주현과 지방관 없이 주현 지방관의 통제를 받는 속현으로 나뉘었으며, 고려후기부터 새로 지방관을 파견하고 소규모 속현을 아예 통폐합하기 시작하여 조선초기부터 모든 현에 지방관을 파견했다. 1895년(고종 32) 때 23부제 시행 및 관제개혁과 동시에 전국 모든 부, 대도호부, 목, 도호부, 군, 현이 '군'으로 통일되어 폐지되었으며 '부'는 새로 만들어진 광역 행정구역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때부터 쓰이지 않는다.

1895년23부제가 시행되기 전까지 기초 행정구역으로 부-대도호부-목-도호부-군-현이 있었는데 현이 수령 품계가 가장 낮았다. 지방관은 종6품인 현감(縣監)이었으며, 이 가운데 큰 현 또는 왕비를 배출하거나 왕자의 탯줄을 묻을 곳으로 선정된 현에 종5품인 현령(縣令)이 파견되었다.

인구와 전결(田結)을 따라 현령과 현감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기준이 알려져 있지 않다. 현의 인구가 많아지면 군으로 승격해주는 조항도 있었다. 1995년 이후 특정 군의 읍이 인구 5만을 달성할 경우 읍을 분리독립시키는 게 아니라 군 전체를 시로 올리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1914년~1995년까지 읍이 인구 5만을 달성하면 그 읍이 군에서 분리독립되었는데, 이는 군보다 읍면이 더 중요한 일본식인 시정촌제의 잔재였다.

현의 면적규모를 현재 기준으로 따져 보면 좁은 현은 면 서너 개 정도, 넓은 현은 군 하나 정도에 해당한다.

2.4.1. 기록된 역대 현 목록

사학계 대부분 기준 비정지, 1905년 기준이다.

사학계 대부분 기준 비정지, 1905년 기준이다.
2.4.1.1. 경기도
2.4.1.2. 충청북도
2.4.1.3. 충청남도
2.4.1.4. 전라북도
2.4.1.5. 전라남도

태강(泰江) 은 본래 백제 의 비사현(比史縣) 이었는데, 신라 에서 백주현(栢舟縣) 으로 고쳐서 낙안군 의
영현(領縣)으로 하였고, 고려 에서 태강(泰江) 으로 고쳤다가 뒤에 내속하였으며, 풍안현(豊安縣) 은 본래 고려 의 식촌 부곡(食村部曲) 이었는데,
충선왕(忠宣王)
2년 경술에 원(元)나라 의
폐환(嬖宦) 273)
이대순(李大順)
의 청(請)으로 풍안현 으로 승격하였으며, 도화현(道化縣) 은 본래 고려 의 타주 부곡(他州部曲) 이었는데,
명종(明宗)
27년 정사 【금(金)나라 승안(承安) 3년.】 에 도화현 으로 고쳤으며, 복성(福城) 은 본래 백제 의 파부리군(波夫里郡) 이었는데, 신라 에서 부리현(富里縣) 으로 고쳐서
능성(綾城) 의 영현(領縣)으로 삼았고, 고려 에서 복성현 으로 고쳤다가 뒤에 내속하였다.
2.4.1.5.1.탐라국
2.4.1.6. 경상북도
2.4.1.7. 경상남도
2.4.1.8. 강원도
2.4.1.9. 황해도
2.4.1.10. 평안도
2.4.1.11. 평안북도
2.4.1.12. 함경남도
2.4.1.13. 함경북도

2.4.2. 관련 문헌

2.4.2.1. 지리지
2.4.2.2. 지도

2.5. 외국 행정구역의 번역

그리스의 주(州, Region, περιφέρειες)의 하위 행정구역인 '현('νομός, Prefecture)도 있었다. 2010년 행정구역체계 변경으로 지역단위(περιφερειακή ενότητα)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지만 현 시절과 별로 달라진 게 없다.

독일도 주의 하위 행정구역을 현으로 번역한다. 일본어를 사이에 끼고 중역한 것이므로 변경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중국어권에서는 이 행정단위를 행정구(行政區)로 번역한다.

이탈리아 또한 흔히 주(州)에 해당되는 레조네(Regione)의 하위 행정구역 프로빈차(Provincia)를 현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프로빈차의 공식 번역명칭은 도(道)이다.

스페인어권의 행정구역 Município도 현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있으나, Município는 자치권을 가진 하위 행정구역을 모두 포괄하는 단위라 사실 어떻게 번역해도 적절하지 않다. 최근에는 시로 번역하는 경우가 다수지만, 합의된 번역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도시화가 진전되지 않아 시라는 표현이 어색한 동티모르의 행정구역인 Município는 나무위키를 포함해 현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튀르키예 행정구역인 il도 영어로 Prefecture로 번역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튀르키예측에서 번역한 서류들에서 prefecture 번역을 자주 볼 수 있다. 그리스와 마찬가지로 주(il, region)의 하위단위로 il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나무위키에서는 도로 표기한다.

한국에서 으로 번역하는 몽골 행정구역인 솜을 중국어권에서 현으로 번역한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자치구에 있는 것은 소목(蘇木)으로 음역한다.

3. 관련 문서



[1] 규모가 성에서 분리독립한 지급시(몇 개)에 가깝다.[2] 이외에도 대구 동구 안심동도 관할하고 있었다.[3] 이천시와는 다르므로 주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