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17:24:10

문동주/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문동주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73600>파일:문동주2024.png관련 문서
문동주
Moon Dong-ju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마추어 경력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
프로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png
한화 이글스
Hanwha Eagles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국가대표 경력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rowcolor=#ffffff>
기타
플레이 스타일 · 여담 · 문김대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C4E00><tablebgcolor=#FC4E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png한화 이글스 선수
플레이 스타일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투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김서현
(2023~)
류현진
(2006~)
문동주
(2022~)
}}} ||
내야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노시환
(2019~)
심우준
(2014~)
안치홍
(2009~)
정은원
(2018~)
채은성
(2009~)
}}} ||
}}}}}}}}} ||

[clearfix]

1. 개요

한화 이글스 소속 우완 투수 문동주의 플레이 스타일을 서술한 문서.

2. 플레이 스타일

KBO 리그 역대 최초로 공식 구속 160km/h를 돌파한 토종 한국인 투수이다. 선발 투수로써 150km/h 이상의 위력적인 패스트볼을 한계 투구 수까지 지속적으로 던질 수 있는 우완 정통파 강속구 투수로 평균 구속 151.6km/h[1], 최고 구속 161.0km/h[2]의 패스트볼이 주무기[3]이다. 또한 표본이 적기는 하나 2022시즌의 기록을 보면 1이닝당 약 0.5개의 볼넷을 내주는, 구속을 생각하면 나쁘지 않은 제구력을 갖추고 있으며 2스트라이크 이후 곧바로 강력한 포심으로 삼진을 잡아낼 수 있을 정도로 공격적인 피칭을 선보인다.

강점이자 주무기는 패스트볼이지만 결정구는 커브볼이다. 커브볼의 구사율은 약 25% 정도로 상당히 높으며, 보통 스트라이크 존 하반부에 넣어 카운트를 잡거나 존 아래로 빼 유인구로 써먹는 모습을 종종 보인다.

이렇게 패스트볼 구속이 매우 빠른데도 불구하고 피안타율이 상당히 높은데 가장 큰 이유는 아직 세컨피치 변화구가 완성이 안된게 큰문제다 실제로 24년 전반기 견갑골 부상등으로 부진하다 후반기에서야 봉인했던 고교시절 주력구종 스플리터를 해금하니 바로 리그 토종선발투수 후반기 방어율 1위 용병포함 전체 2위를 찍는등 극강의 에이스 모드를 보여주었다. 실제로 전반기와 후반기의 방어율 차이가 무려 4점대가 넘게나는등 전반기 부상여파와 변화구 부재가 구위에 아주 극심한 영향을 끼친것. 구속에 비해 낮은 회전수[4], 미흡한 변화구의 완성도 때문에 발생하는 피칭 디자인의 단조로움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빠른구속으로도 얻어맞는 모습이 보인다.[5] 비슷한 구속을 가진 [6] 안우진의 경우 KBO에서 엄청난 성적을 냈는데, 이는 안우진이 기본적인 제구력을 갖춤과 더불어 평균 구속도 문동주보다 조금 더 빠르고, 결정적으로 150km/h에 달하는 고속 슬라이더를 결정구로 갖추어서 이를 중심으로 피칭 레퍼토리를 짤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했듯 문동주의 결정구도 커브볼로 이미 존재하지만 패스트볼에 비하면 완성도가 미흡하다. 2024시즌 전반기에는 견갑골 부상을 달고 뛰어 전체적인 패스트볼의 구위, 구속이 모두 하락했으나, 후반기 들어 회복함과 동시에, 스플리터도 다시 장착하면서 좋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구속에 비해 낮은 회전수는 여전하다.

상술한 문제들은 모두 문동주가 투수로 전향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최원호 감독의 말에 따르면 고등학교 2학년부터 투수로 본격적으로 전향했기 때문에 고교 시절까지는 던질 줄 아는 변화구가 그리 많지 않았고, 그로 인해 손에 맞는 변화구만 집어서 마운드에 올라갔다고 한다. 그럼에도 2군에서 배운 지 얼마 되지 않은 130km/h대 중후반의 슬라이더나 120km/h 후반의 커브, 평균 구속 140km/h대 초중반, 최고 구속 149km/h의 체인지업 등 구종 네 개를 1군 무대에서 적절히 활용하는 것을 보면 변화구 습득 능력 자체는 매우 좋은 것으로 보인다. 이 점은 팀 선배인 류현진을 연상케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7] 그러나 문동주는 아직 2003년생으로, 나이가 상당히 어리기에 강력한 패스트볼을 바탕으로 피칭 디자인을 어떻게 가져가는지는 그의 선택에 달려 있을 것이다.

3. 구종

3.1. 포심 패스트볼

<colcolor=#FFF>
파일:문동주 161km/h 직구.gif
2023년 4월 12일 광주 KIA박찬호 상대로 던진
최고 161.0km/h, 평균 150km/h대 초반의 빠른 포심 패스트볼을 구사한다.

3.2. 커브볼

<colbgcolor=#ff6600><colcolor=#FFFFFF>
파일:문동주커브.gif
문동주의 주무기이자 결정구이다. 구사율은 약 25% 정도로 상당히 높으며, 보통 스트라이크 존 하반부에 넣어 카운트를 잡거나 존 아래로 빼 유인구로 써먹는 모습을 종종 보인다.

3.3. 슬라이더

<colbgcolor=#ff6600><colcolor=#FFFFFF>
파일:문동주슬라이더.gif
평균 130km/h대 중후반의 슬라이더를 구사한다.

3.4. 체인지업

<colbgcolor=#ff6600><colcolor=#FFFFFF>
파일:문동주체인지업.gif
평균 구속 140km/h대 초중반, 최고 구속 149km/h의 고속 체인지업을 구사한다.

3.5. 포크볼

<colbgcolor=#ff6600><colcolor=#FFFFFF>
파일:문동주스플리터.gif
구사할 때마다 손톱이 깨지는 등의 이슈가 있었고, 프로에 데뷔한 이후로는 봉인된 구종이었으나 2024 시즌 후반기부터 스플리터의 그립을 바꾼 이후 포크볼로 다시 던지기 시작했다. 포크볼 장착 이후 2024시즌 후반기에 좋은 모습을 다시 보여주었다.[8]


[1] 약 94mph.[2]100.04mph. 2023년 4월 12일 KIA전에서 기록. 스포츠투아이 기준 160.1km/h., 전광판에는 159km/h가 찍혔고 트랙맨 및 방송 화면에서는 무려 161km/h가 찍혔다. 현재까지 KBO에서 공식적으로 집계한 기록 중에서는 160.1km/h로 국내 선수 구속 최고 기록이다. 160km/h를 넘긴 투수는 앤더슨 프랑코, 레다메스 리즈, 파비오 카스티요 등 모두 외국인 선수임을 감안할 때 놀라운 수치. 과거 엄정욱이 163km/h를 찍은 게 영상으로 남아있지만 이는 2군에서 기록한 것이라 비공식 기록이다.[3] 보통 포심 패스트볼을 던지지만 투심 패스트볼도 간간히 던진다.[4] MLB 시스템인 서번트는 초고속 카메라를 사용하기 때문에 훨씬 정확한데, 견갑부위의 부상으로 인하여 구속을 유지하기 위해 이른바 공을 밀어던지다 보니 악력이 유지되지 않아서 생긴 현상으로 풀이된다. 이 현상을 캐치한 한화의 코칭스태프들이 후반기 들어 공을 밀어던지지 않도록 교정한 이후 패스트볼의 회전 수는 개선되었으나, 그로 인해 과거 부상부위였던 견갑에 다시 부상 이슈가 생기면서 시즌을 조기 마감한 만큼, 이 부상을 컨트롤하는 부분이 향후 문동주의 커리어를 판가름지을 중요한 부분이라고 한다.[5] 전체 구종 구사율의 50% 이상이 패스트볼이다. 데뷔 시즌엔 70%를 넘기기도 했다.[6] 사실 안우진도 익스텐션이 그리 길지 않아 체감 구속은 생각보다 빠르지 않지만 그러나 이쪽은 평균 구속이 거의 매 경기 153km/h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컨디션이 좋을 땐 한 경기의 평균 구속이 154km/h를 넘기기도 할 정도로 빠르다.[7] 다만 류현진은 그 천재성으로 보름 만에 익힌 서클 체인지업을 결정구로 써먹었지만, 문동주는 체인지업이 너무 빨라서 오히려 자주 공략 당한다는 차이가 있다. 체인지업 같은 오프스피드 피치의 경우 구속이 너무 빠르면 오히려 적당히 느린 패스트볼처럼 날아가기 때문에 타자들이 노리고 치면 족족 맞아나갈 수밖에 없다. 결국 5월 중반부터 그립을 바꿔서 체인지업 구속을 약간 낮추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8] 구종을 늘려 피칭 디자인을 다양화하기 위해 벌칸 체인지업과 투심까지 구사하는 등 많은 2024년에 많은 변화를 시도하려 했으나 오히려 역효과로 부진하여 2군에서 과감하게 체인지업과 투심을 버리고 포크볼을 구사하기 시작했다. 포크볼은 많은 야구팬들이 알듯 팔에 무리가 큰 변화구이기에 강속구를 던지는 문동주에게는 굉장히 안좋은 선택이라는 일각의 부정적인 시선도 존재한다. 실제로 포크볼을 장착 후 팔에 피로가 쌓여 후반기를 끝마치지 못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5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