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 -8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202020,#DFDFDF>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그리스 왕국|]] | [[프랑스 제3공화국|]] | [[미국|]]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 [[스웨덴|]] | |
1896 아테네 | 1900 파리 | 1908 런던 | |||
<rowcolor=#202020,#DFDFDF>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벨기에|]] | [[프랑스 제3공화국|]] | [[네덜란드|]] | [[미국|]] | ||
1924 파리 | |||||
<rowcolor=#202020,#DFDFDF>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나치 독일|]] | [[영국|]] | [[핀란드|]] | |||
1936 베를린 | 1948 런던 | 1952 헬싱키 | |||
<rowcolor=#202020,#DFDFDF>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호주 자치령|]] | [[이탈리아|]] | [[일본|]] | [[멕시코|]] | [[서독|]] | |
1956 멜버른 | 1960 로마 | 1964 도쿄 | 1972 뮌헨 | ||
<rowcolor=#202020,#DFDFDF>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캐나다 자치령|]] | [[소련|]] | [[미국|]] | [[대한민국|]] | [[스페인|]] | |
1988 서울 | |||||
<rowcolor=#202020,#DFDFDF>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
[[미국|]] | [[호주|]] | [[그리스|]] | [[중국|]] | [[영국|]] | |
2000 시드니 | 2004 아테네 | 2008 베이징 | 2012 런던 | ||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
[[브라질|]] | [[일본|]] | [[프랑스|]] | [[미국|]] | [[호주|]] | |
2020 도쿄(연기) | 2024 파리 | ||||
<rowcolor=#202020,#DFDFDF> 36회 | 37회 | 38회 | 39회 | 40회 | |
2036 미정 | 2040 미정 | 2044 미정 | 2048 미정 | 2052 미정 | |
역대 동계올림픽 / 역대 하계패럴림픽 / 역대 동계패럴림픽 | |||||
Citius, Altius, Fortius! - Communiter 더 빠르게, 더 높게, 더 힘차게! - 다 함께 | }}}}}}}}} |
<colbgcolor=#00cdec><colcolor=#ffffff> 1972 뮌헨 올림픽 | |
제20회 올림픽 경기대회 Spiele der XX. Olympiade Olympische Sommerspiele 1972 1972 뮌헨 올림픽 경기대회 Games of the XX Olympiad™ Munich 1972 | |
대회기간 | <colbgcolor=#ffffff,#1f2023> 1972년 8월 26일 ~ 9월 11일 |
개최국 | [[틀:깃발|바이에른 오버바이에른 뮌헨 | ]][[틀:깃발| ]][[서독| ]]
마스코트 | 발디 (Waldi) |
참가국 | 121개국 |
참가선수 | 7,134명[1] |
경기종목 | 21개 종목, 198개 세부 종목 |
개회선언 | 구스타프 하이네만 서독 대통령 |
선수 선서 | 하이디 슐러 |
심판 선서 | 하인츠 폴라이 |
성화 점화 | 귄터 찬 |
개·폐회식장 | 올림피아슈타디온 뮌헨 |
[clearfix]
1. 개요
개회식 |
1972년 8월 26일부터 9월 11일까지 독일(당시 서독) 뮌헨에서 개최된 제20회 하계올림픽이다.
독일에서 두 번째로 열린 20회 하계올림픽이며, 현재까지 독일에서 열린 마지막 올림픽이다.
2. 유치 과정
1972년 하계올림픽 투표 결과 | |||
<rowcolor=#ffffff> 국가 | 도시 | 1차 | 2차 |
독일 | 뮌헨 | 29 | 31 |
스페인 | 마드리드 | 16 | 16 |
캐나다 | 몬트리올 | 6 | 13 |
미국 | 디트로이트 | 6 | - |
3. 특징
(1972년 당시에는 분단으로 인하여 서독이기는 하지만) 독일에서 두 번째로 열리는 하계올림픽. 독일에서 열렸던 올림픽들은 나치 치하인 1936년에 열린 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동계올림픽과 1936 베를린 올림픽 뿐이었고 나치 이후 최초로 열리는 동-하계 올림픽이었던지라[2] 독일은 이 대회를 통해 독일의 민주주의와 새로운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전번의 대회였던 1936 베를린 올림픽이 히틀러의 나치 체제선전의 장이 되어버린 흑역사가 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올림픽을 치르기 위해서 더더욱 의식을 했다. 대회의 공식 모토는 "행복한 경기"이며, 엠블럼 "밝은 태양"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심판의 올림픽 선서가 최초로 실시되었으며, 핸드볼과 양궁이 다시 정식종목으로 부활하였으며, 배드민턴과 수상스키가 시범종목으로 채택된 경기이다.
그리고 미국의 '마크 스피츠'의 경우는 수영에서 7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면서[4] 올림픽에서만 총 9개의 메달을 따는 진기를 세우게 된다. 이 기록은 마이클 펠프스가 36년만인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8관왕에 오르면서 깨기 전까지 세계 최고 기록이었다. 또한 체조에서는 16세 소녀 올가 코르부트가 4관왕에 오르며 '민스크의 참새'라는 별명으로 불리게 되었다.
하지만 위의 설명들이 전부 빛을 잃게 된 비극적 사건이 일어나고 마는데 그 유명한 뮌헨 올림픽 참사다.
4. 경기 종목
- 근대 5종
- 농구
- 레슬링 - 그레코로만형, 자유형
- 배구
- 배드민턴[시범]
- 복싱
- 사격
- 사이클 - 도로, 트랙
- 수상스키[시범]
- 수영 - 경영, 다이빙, 수구
- 승마 - 마장마술, 장애물, 종합마술
- 양궁
- 역도
- 요트
- 유도
- 육상
- 조정
- 체조 - 기계체조
- 축구
- 카누 - 스프린트, 슬라럼
- 펜싱
- 필드 하키
- 핸드볼
5. 대한민국 선수단
- 대한민국 참가 현황 : 임원 22명, 선수 46명 참가[7]
- 레슬링: 곽광웅, 김영준, 안재원, 안천영
- 배구: 남자(강만수, 김건봉, 김귀환, 김충한, 박기원, 이선구, 이용관, 이인, 이춘표, 정동기, 진절탁, 최종옥) 여자(김영자, 김은희, 유경화, 유정혜, 윤영내, 이경숙, 이경애, 이순복, 이인숙, 이정자, 조혜정)
- 복싱: 고생근, 김태호, 박태식, 유종만, 이석운, 임재근
- 사격: 김남구, 김태석, 박도근, 박성태, 최충석
- 수영: 조오련
- 역도: 원신희
- 유도: 오승립, 장인권, 한성철
- 육상: 백옥자
- 대한민국 참가 성적 : 은메달 1개 획득. 종합순위 33위.
- 은메달 : 유도(미들급) 오승립
본격적인 남북 대결이 시작된 올림픽이었다. 국호 문제 때문에 이 올림픽부터 공식 참가한 북한[8]은 사격 소구경 복사 종목에서 리호준이 세계 신기록까지 세우며 첫 번째 금메달을 따냈다.
북한은 첫 출전에서 금메달과 은메달 각각 한 개, 동메달 세 개를 따면서 종합 22위를 기록하여, 은메달 한 개를 따는데 그쳐 종합 33위[10]에 머물렀던 한국을 압도했다. 그나마 이 은메달도 일본에서 유도를 배웠던 재일교포 오승립의 것이라서, 순수하게 한국에서 육성된 선수들은 메달을 전혀 따지 못했다.
복싱 라이트플라이급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김우길 선수는 한국의 이석운 선수를 상대로 2라운드에서 4-1로 완승했다. 그리고 동메달을 딴 레슬링 선수 김광형도 김영준 선수가 경기에서 진 터키 선수를 꺾고 동메달을 땄다. 김용익 선수가 동메달을 딴 남자 유도 63kg에선 은메달이 비어 있는데 그 이유는 원래 은메달 수상자인 몽골 선수 바크베인 부야다가 경기가 끝난지 며칠 후 도핑 테스트에서 유도 선수로서는 최초로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양성 반응이 나와 메달이 압수되었기 때문이다.
여자배구에서는 3, 4위전에서 한국과 북한이 동메달을 놓고 경기를 펼쳤다. 결과는 북한의 3-0 완승. 북한의 주포인 김증복[11]에게 털리면서 패한 것이었다. 패배를 믿을 수 없었던 한국 선수단은 김증복이 남자라고 주장하면서 성 검사를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국내 신문 기사를 보면 요구해서 재검사를 했다는 기록만 나와있고 그 뒤 기록이 없는데, 북한의 메달이 박탈되지 않은 것을 보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이 확실하다. 한 마디로 진 것을 인정할 수 없던 멘붕의 현장(...) 어쨌든 이 주장으로 패배의 책임은 모면했고, 1976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따게 되어서 지금은 예전에 그런 해프닝이 있었지 정도로 기억되는 사건이다.
어쨌든 동계 올림픽의 첫 메달도 그렇고[12], 하계 올림픽도 북한이 먼저 금메달을 따자[13] 한국 정부는 작심하고 엘리트 스포츠를 키우기 시작했다. 특히 사격 부문에서는 북한의 첫 금메달에 자극을 받은 당시 대한사격협회 회장이자 청와대 경호실장이던 박종규가 박정희 당시 대통령에게 다시는 이런 일이 없겠다고 빈 후에 대기업들의 협조를 받아 태릉에 사격장을 지었다. 이것이 한국 최초의 국제 규격 사격장인 태릉사격장이다. 이처럼 한국이 작심하고 키우기 시작한 뒤로는 한국이 북한에게 메달에서 뒤진 적이 없다. 그리고 이것은 현재 한국 엘리트 스포츠의 시초가 되었다.
6. 주요국 메달 집계
<rowcolor=#ffffff> 순위 | 국기 | 국가 | 금 | 은 | 동 | 메달 합계 |
1 | 소련 | 50 | 27 | 22 | 99 | |
2 | 미국 | 33 | 31 | 30 | 91 | |
3 | 동독 | 20 | 23 | 23 | 66 | |
4 | 서독 | 13 | 11 | 16 | 40 | |
5 | 일본 | 13 | 8 | 8 | 29 | |
6 | 호주 | 8 | 7 | 2 | 17 | |
7 | 폴란드 | 7 | 5 | 9 | 21 | |
8 | 헝가리 | 6 | 13 | 16 | 35 | |
9 | 불가리아 | 6 | 10 | 5 | 21 | |
10 | 이탈리아 | 5 | 3 | 10 | 18 | |
33 | 대한민국 | 0 | 1 | 0 | 1 |
7. 사건 사고
자세한 내용은 뮌헨 올림픽 참사 문서 참고하십시오.8. 여담
- 개막식 당시 선수단이 입장하는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와있는데, 50년 전 영상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화질과 음질이 좋다.[14] 1972년 영상이라는 것을 모르고 본다면 1990년대 내지는 2000년대 영상이라는 착각이 들 정도. 당시 독일의 영상 기술력이 매우 높았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 그리스가 관례를 따라 제일 먼저 입장하고, 개최국 서독이 제일 마지막으로 입장하도록 정해진 상태에서 나머지 국가들은 독일어 국명에 따른 알파벳 순서대로 입장했다. 이에 따라 그리스 다음으로 입장한 국가는 이집트(Ägypten)였고 서독 바로 앞에 입장한 국가는 남베트남(Vietnam)[15]이었는데, 이 대회가 베트남 공화국이 참가한 마지막 올림픽이었다. 이후 통일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1980 모스크바 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하게 된다.
- 한국(Korea)은 콩고(Kongo)와 쿠바(Kuba) 사이에 55번째로 입장했다. 당시 일부 선수들이 타 종목 경기를 준비하느라 빠지는 바람에 20명도 채 안되는 선수단과 임원진만 입장식에 참여했다.
- 당시에는 크메르 공화국으로 불리던 캄보디아(Kambodscha)도 참가 했는데, 이 대회 3년 후인 1975년 캄보디아를 장악한 크메르 루주가 선수단과 감독들을 대거 학살하고 중국 등 일부 공산주의 국가를 제외한 모든 국가와의 외교 관계를 전부 끊어 버렸으며 1979년 베트남의 침공으로 크메르 루주 정권이 전복되고 친베트남 성향의 온건 공산주의 정권이 성립된 이후에도 내전과 1970년대 후반 크메르 루주 정권이 망가뜨린 국가 시스템에 대한 수습 및 복구 등으로 스포츠 선수들을 제대로 육성할 수 없게 됨에 따라 1996 애틀란타 올림픽 이전까지 20년 간 올림픽에 참가를 하지 못했다.
- 냉전 시기에 알바니아(Albanien)가 참여한 유일무이한 올림픽이기도 하다. 사실 알바니아는 엔베르 호자의 공산정권 시절에 오늘날의 북한도 뺨치는 수준으로 극단적인 쇄국 정책을 펼친 국가로 악명이 높아[16] 뮌헨 올림픽을 제외한 다른 올림픽은 일절 참여하지 않았다.[17] 사실 알바니아는 1964 도쿄 올림픽에 참여하려고 예선에도 출전했지만 불가리아에게 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독일어 국명에 따라 알파벳 순서로 입장했긴 했지만, 선수단 입장 순서가 정말 잘 배치되었다. 개최국의 언어에 따라 국명을 나열하면 간간히 주요 강대국 내지는 스포츠 강국이 연달아 먼저 들어와버리거나[18], 아니면 아예 몰려서 나중에 들어와버리거나 해서[19] 밸런스가 맞지 않는데, 뮌헨 올림픽 당시에는 그런거 없이 호주(Australien), 브라질(Brasilien), 동독(DDR), 프랑스(Frankreich), 영국(Grossbritannien), 이탈리아(Italien), 일본(Japan) 등 당시 기준으로도 스포츠 강국[20]이었던 국가들이 중간에 평균 3~4분을 사이에 두고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입장했고, 그러다가 패권국가의 양대 축이던 소련(UdSSR)[21]과 미국(USA)[22]이 알파벳 U 순서에 맞춰 최후반부에 입장해 분위기를 달궜다. 그리고 마지막에 서독(Deutschland)이 입장함으로서 화룡점정을 이뤄 전혀 지루할 틈이 없는 선수단 입장식을 완성했다.
- 1988 서울 올림픽에 북한이 대회 1년 전 훼방까지 놓으면서 불참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 대회에서 동독 선수단은 DDR이라는 약자를 내걸고, 국기를 앞세워 많은 박수갈채를 받으면서 개막식에 참여했다. 비록 이념 차이 때문에 공동 입장은 하지 못했지만[23] 그래도 스포츠 대회에서만큼은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한 것. 그리고 동독은 이 대회에서 서독보다 더 많은 금메달을 따면서 종합순위 3위를 기록했고, 4년 후에는 아예 미국까지 압도하고 종합순위 2위를 차지하는 등[24] 통일 전까지 스포츠 패권국으로서의 위용을 떨쳤다.
- 뮌헨 올림픽 참사 이외에도 막장끼가 있는 사건이 두어개 생겼는데, 하나는 '마라톤 선수 흉내사건'이 있으며, 또 하나는 미국과 소련의 남자 농구 결승전. 전자의 사건은 마라톤 경기 중에 한 관중이 러닝 셔츠와 팬티만 입고 마라톤 선수처럼 뛰는 흉내를 낸 사건. 물론 관중들은 처음에 속았다가 나중에 박장대소를 하였다 한다. 후자의 사건인 미국과 소련의 남자농구 결승전도 가관인데, 자세한 내용은 1972 뮌헨 올림픽/농구 결승전 문서 참조.
- 남자 필드 하키 결승전에서 서독에게 1대 0으로 아깝게 패해 은메달에 그친 파키스탄 팀 선수들이 국제 하키 연맹 회장에게 물을 끼얹고(...) 자신들이 받은 은메달을 발로 짓밟았는데 이로 인해 이 선수들은 올림픽 참가 자격을 영구적으로 박탈당하는 징계를 먹었다.
최대 피해자 은메달
- 대만이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 Republik China) 국호로 참가한 마지막 하계 올림픽이기도 하다. 1976년 몬트리올 대회는 캐나다 정부가 반드시 대만 국호로 참가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대만 정부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어 대회 자체를 불참. 1980년은 당연히 공산권 대회라서 불참. 결국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중화 타이베이(Chinese Taipei)라는 이름으로 복귀한다.
- 대회의 막장성과는 별개로 올림픽 주경기장의 평은 현재까지도 상당히 좋은 편이다. 강철 케이블에 유리덮개를 매단 구조인데, 시공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종의 꼼수성 설계였지만 지금도 기술과 미관 면에서 모두 최고 수준의 올림픽 경기장으로 꼽히는 건물이다. 당장 현대의 시점으로 봐도 전혀 촌스럽지가 않은데 이 건물이 지어진게 1970년대임을 감안해보면 더더욱 대단할 것이다. 아무튼 독일의 과학 기술을 최대한 활용한 수준 높은 대회였던 셈. 올림픽 이후 분데스리가 바이에른 뮌헨과 TSV 1860 뮌헨의 홈구장으로 사용됐고, 2005년 알리안츠 아레나가 개장되기 전까지 1974년 서독 월드컵 결승전, UEFA 유로 1988 결승전 등 굵직굵직한 경기들도 열리곤 했다. 현재는 이 구장을 사용하는 프로팀은 없지만, 그래도 UEFA가 선정한 5성급 경기장으로 지정돼 있다.
- BMW벨트 바로 옆에 올림픽공원이 있고 근처에 U반이 있어 관광하기 편하다. 빙상경기장등 몇몇 건물을 제외하면 대다수의 건물들이 비슷한 양식으로 된걸 볼 수 있다. 빙상경기장은 레드불 뮌헨 아이스하키팀이 사용하지만 경기가 없는날엔 시민들을 위한 스케이트장으로 개방한다. 수영장도 시민들에게 개방되어 있는데 올림픽때 쓰던 시설을 써서 그런지 다이빙대가 있는둥 시설이 좋은편이다. 맞은 편에 실내체육관은 콘서트 장소로 널리 이용되는 모양. 그 외에도 수족관도 있고 베를린 TV 타워마냥 타워가 있다. 다만 체제선전용으로 만든 건물이 아니라 그런지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다. 공원 자체의 경치도 좋은편이라 여가를 즐기러 온 시민들이 정말 많다. 주말엔 주차장의 일부가 벼룩시장으로 변신하는데 발품을 잘 팔아보면 가격대비해서 쓸만한 물건이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BMW벨트 뒷편으로 세련된 아파트 단지가 있는데 그게 선수촌이다. 올림픽공원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쇼핑몰이 하나 있는데 그게 올림픽 당시 프레스센터로 쓰던 건물이다. 유감스럽게도 뮌헨 총기 난사 사건이 일어났던 장소이다.
- 뮌헨 올림픽 기념 문화행사를 위해 작곡가 윤이상이 오페라 '심청'을 작곡해 초연했다.
- 2차 대전 이후에 열린 올림픽 중 개최 당시 기준으로 UN 비회원국에서 열린 몇 안 되는 하계 올림픽이다. 나머지는 1952 헬싱키 올림픽과 1988 서울 올림픽.[25]
[1] 남자: 6,075명 / 여자: 1,059명[2] 참고로 독일은 1916년 독일 제국 시절에 베를린이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기도 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이 발생하는 바람에 올림픽 자체가 무산되었다.[3] 그 전에 1968 그르노블 동계올림픽 때 비공식적으로 만들어진 슈스가 동,하계 통틀어 최초의 올림픽 마스코트다. 발디는 최초의 하계 올림픽 마스코트다.[4] 특히 이들 7개의 금메달은 모두 세계신기록이었다는 점에서 더욱 가치가 컸다.[시범] 시범 경기 종목[시범] 시범 경기 종목[7] 출처 국제스포츠정보센터[8] 하계 대회만 놓고 봤을 때는 처음이었지만 동계는 1964년 대회에 첫 번째로 참가했다.[9] 북한 측 자료에는 "저는 과녁을 조선 인민의 철천지 원쑤인 미국놈의 털가슴으로 보고 쏘았습니다." 라고 소개되어 있다. 사실 살벌한 내용도 문제지만 이는 올림픽 정신에 위배되는 말이다. 이는 국내 뿐만 아니라 외신에서도 비판받았다. 이후 수상 소감이 문제가 되자 북한사격연맹 임원이 IOC 부위원장이었던 소련인 스미르노프와 각국의 사격연맹 임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여 미국사격연맹의 항의문 취소에 찬성하게 만들었고, 예정 시간보다 5시간 늦게 금메달 시상식이 열렸다.[10] 이때 한국은 아르헨티나, 레바논, 멕시코, 몽골, 파키스탄, 튀니지, 튀르키예와 함께 공동 33위를 기록했다.[11] 기사에 따라서는 김정복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발음이 비슷하고, 기자조차 북한 선수단과 접촉하기 힘들었던 시절이라서 그런 듯 보인다.[12] 북한은 1964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에서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3,000m에 출전한 한필화가 은메달을 따서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 가서야 메달을 딴 한국보다 28년이나 먼저 동계올림픽 메달을 땄다. 또한 북한의 이 메달은 유럽과 북미를 제외한 국가에서 출전한 선수가 따낸 두 번째 동계올림픽 메달이기도 했다.(첫 번째는 1956 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에서 일본의 알파인 스키 선수 이가야 치하루가 획득한 은메달이었다.) 이후 북한은 28년 동안 한동안 메달을 획득하지 못하다가, 92년 동계 올림픽에서 오랜만에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동메달 하나 달랑 추가하고 26년이 지난, 현재까지 메달을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 반대로 한국은 92년 첫 메달 획득 이후, 종합순위 10위권 안에도 몇 차례 들어가면서 동계올림픽 기준으로 북미와 유럽을 제외한 지역에서 금메달 포함,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국가이다.[13] FIFA 월드컵 본선 첫 승과 2라운드 진출도 북한이 대한민국보다 더 빠르고(북한 1966년, 대한민국 2002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도 북한이 더 메달 획득이 빨랐으며(그것도 금메달로, 1999년 여자 마라톤의 정성옥이었다 ), 대한민국은 2019년에 김현섭[26]이 당시 대회 동메달리스트의 도핑 적발로 인해 뒤늦게 동메달로 승격하면서 간신히 사상 첫 육상선수권대회 메달을 얻었다.[14] 중간중간에 영상이 끊기거나 아예 빠르게 감겨버리는 부분도 있지만, 그걸 감안해도 퀄리티가 높다.[15] 당시까지 북베트남(월맹)은 올림픽에 참여한 적이 없었다. 통일되고 난 이후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처음 출전했다.[16] 나라에 제대로 된 항공사도 설치하지 않았을 정도였다.[17] 자본주의 국가의 제전 수준이던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그렇다치더라도, 공산주의 국가의 제전 수준이던 1980 모스크바 올림픽과 냉전의 종식을 선언한 1988 서울 올림픽에도 참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18] 2004 아테네 올림픽 당시가 제일 심했다. 그리스어 철자 순서대로 국가명을 나열하다보니 프랑스(Γαλλία)-독일(Γερμανία), 미국(Ηνωμένες Πολιτείες Αμερικής)-일본(Ιαπωνία), 영국(Μεγάλη Βρετανία)-멕시코(Μεξικό) 등 세계인의 관심을 많이 받는 국가들이 초반부에 연달아 들어와버렸고, 그 후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적게 받는 국가들이 연달아 입장하여 선수단 입장식 후반부의 시청률이 다소 떨어지기도 했다.[19] 2008 베이징 올림픽이 그 예시다. 중국어 간체자 기준 첫 글자의 획수대로 입장 순서가 정해졌는데, 그러다보니 이탈리아(意大利), 멕시코(墨西哥), 독일(德国), 호주(澳大利亞) 등의 국가들이 뒷 순서에 몰려 앞 순서에 있는 국가들이 입장할 때 다소 반응이 시들했다.[20] 다만 또 다른 스포츠 강국인 중화인민공화국이 대만 문제로 불참했다.[21] 독일어 풀네임은 Union der Sozialistischen Sowjetrepubliken. 일반적으로 Sowjetunion으로 쓴다.[22] 독일어 풀네임은 Vereinigte Staaten von Amerika(일반적으로는 Vereinigte Staaten)이지만, 약칭은 영어와 동일하다.[23] 이 또한 2000년, 2004년, 2006년, 2018년에 각각 공동입장을 성사해냈던 남북한과는 대조적이다.[24] 1988 서울 올림픽 당시에도 동독은 똑같이 미국을 3위로 밀어내고 종합순위 2위로 올랐다.[25] 핀란드는 1955년 12월 14일에, 독일(당시 서독. 동독도 같은 날에 가입했다.)은 1973년 9월 18일에, 대한민국과 북한은 1991년 9월 17일에 각각 UN에 가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