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 정당 | |||||||||||
대한제국 ~ 미군정 (1897 ~ 194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 ▲ 공산정당 | ▲ 조선의 붕당 | |||||||||
독립협회 | 황국협회 | ||||||||||
신민회 | |||||||||||
대한민국 임시정부 | |||||||||||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 의열단 | 조선혁명당 | 한국독립당 | 한국독립당 | 대한인국민회 | ||||||
한국혁명당 | 한국독립당 | 대한인동지회 | 흥사단 | ||||||||
신한독립당 | 신간회 | ||||||||||
민족혁명당 | 한국국민당 | 흥업구락부 | 수양동우회 | ||||||||
경성 콤그룹 | 조선건국동맹 | 조선민족혁명당 | 조선혁명당 | 한국독립당 | |||||||
전국평의회 | 건국준비위원회 | 조선독립동맹 | 한국독립당 |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조선민족당 | ||||||
조선공산당 | 조선인민당 | 남조선신민당 | 한국민주당 | <colbgcolor=#f00000> 조선민주당 | |||||||
독립노농당 | 남조선로동당 | 대동청년단 | 조선민족청년단 | 청년조선총동맹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서북청년회 | |||||
남조선로동당 | 사회노동당 | ||||||||||
근로인민당 | |||||||||||
▼ 진보정당 | ▼ 조선로동당 (남로당파) | ▼ 진보정당 | ▼ 조선로동당 (연안파) | ▼ 보수정당 / ▼ 민주당계 / ▼ 진보정당 | }}}}}}}}}}}}}}} |
[clearfix]
1. 개요
1935년 창당된 중국 관내 독립운동 정당이자 민족 유일당 운동의 결과물.2. 창설
1923년 국민대표회의 이후 임정에 속해 있던 정치 세력이 각자 떨어져 나왔지만, 1920년대 후반 일제의 탄압이 가속화되어[1] 독립운동이 난항을 겪게 되자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은 새로운 통합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1932년 안창호, 이동녕 등이 중심이 되어 독립 전선 통일 동맹 이라는 단체를 결성했다. 이후 동맹에 여러 독립 운동 단체들이 '단체'와 '독립군'을 망라하여 '정치 정당'을 결성 이 정치 정당들이 모여 소위 민족 단일당을 창설하려고 했다. 하지만 김구 등은 여기에 참가하지 않았는데 그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유지를 원했기 때문이다. 가장 큰 논제는 민족 단일당을 결성하느냐 마느냐의 여부였는데 민족 혁명당으로의 단일당 형성은 기존의 단체들의 해체가 전제되기 때문으로, 당초에 상해 임시 정부를 이끌던 백범 김구가 민족 단일당을 만들자는데 별 관심이 없었던 까닭이 그것이다. 그러나 일단 35년, 민족 혁명당은 결성이 이뤄지긴 하는데, 주석엔 김규식, 총 서기엔 김원봉, 총 사령관엔 지청천이 협력했다.1935년 7월 난징에서 민족혁명당이 결성되었다. 김원봉의 의열단과 신익희 등의 신한 독립당, 김규식 등의 미주 한인 독립당, 조소앙 등의 한국독립당, 최동오 등의 조선혁명당 등이 모여 통합, 결성했는데 민족주의 성향의 신익희부터 무정부주의 성향의 김원봉, 김성숙, 공산주의 성향의 최창익 등 인물들까지 두루 망라되어 있었다. 이들은 기관지를 발행하고 상하이시로 인력을 파견해 의용대를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 당의 강령은 사회주의적인 성향이 있었는데 독립 이후 토지와 중요 산업의 국유화와 더불어 인민이 무장할수 있는 권리를 주장하기도 했다.[2]
3. 당의
본 당은 혁명적 수단으로써 원수 일본의 모든 침탈 세력을 박멸하여 국토와 주권을 회복하고 정치 • 경제 • 교육의 균등을 기초로 한 신민주 공화국을 건설하여 국민 전체의 균등 생활을 확보하고, 나아가 세계 인류의 평등과 행복을 촉진한다.
민족 혁명당 당의(1935)
- 국가보훈처,『독립운동사』
민족 혁명당 당의(1935)
- 국가보훈처,『독립운동사』
4. 분열
그러나 애시당초 성향이 다른 인사들이 모인 탓에 독립 운동 단체들의 통합이라는 취지와는 달리 내부에서는 치열한 주도권 경쟁이 벌어졌는데 특히 고려 공산당 출신의 상해파와 시베리아파, 중국 공산당 출신, 의열단 내 민족주의파들이 치열한 다툼을 벌였다고 한다. 우파 민족주의 계열은 이러한 주도권 싸움에 완전히 소외되었다. 결국 김원봉의 의열단계와 김두봉의 공산주의 계열이 당권을 장악했고, 김원봉과 김두봉이 각각 서기장과 조직부장을 맡아 당의 1, 2인자가 되었다.이어 의열단계 및 사회주의계 주류와 지청천계 등 우파 민족주의계 간에 갈등이 발생했고, 민혁당의 주류는 사회주의를 비판한 지청천을 강제 제명했다. 이에 창당 두달만에 조소앙을 비롯한 우파 계열 인사들이 대거 민혁당을 탈퇴해 항저우에서 한국독립당을 재건해버렸다. 백범은 상해 임정의 집권 여당으로 한국국민당을 만들었다. 백범은 민족혁명당 결성 운동에 부정적이었지만 반대하진 않았고, 단일당 결성을 논하는 상태에서 자신이 정당을 결성하면 단일당 운동에 재 뿌리고 난 따로 놀겠다고 선언하는 형태가 되기에 조소앙의 이탈이 확실시 된 뒤, 그러니까 자신이 정당을 세워도 이제 민족 단일당 운동에 누가 되지 않을 시기를 선택한 것이었다.
의열단계의 정당으로 전락한 민족혁명당은 이후 조선민족혁명당으로 개칭한다.
이 문서의 2011년부터의 저작자는 이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