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8:05:12

밀랸 밀랴니치

밀랸 밀랴니치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클럽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7대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39대
}}} ||
세르비아의 前 축구선수
파일:밀랸 밀랴니치.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밀랸 밀랴니치
Миљан Миљанић | Miljan Miljanić
출생 1930년 5월 4일
유고슬라비아 왕국 비톨라
사망 2012년 1월 13일 (향년 81세)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국적
[[세르비아|]][[틀:국기|]][[틀:국기|]]
포지션 수비수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colcolor=#000000,#e5e5e5> 선수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1946~1951 / 유스)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1951~1952)
감독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965~1966)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1966~1974)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973~1974)
레알 마드리드 CF (1974~1977)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979~1982)
발렌시아 CF (1982~1983)
카디시야 SC (1983~1984)
알 아인 FC (1984~1986)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992)
행정가 유고슬라비아 축구 협회 (1981~2001 / 회장)
세르비아 축구 협회 (2001~2012 / 명예 회장)
국가대표 없음


[clearfix]

1. 개요

세르비아의 전 축구 감독.

2. 생애

2.1. 어린 시절

유년 시절은 베오그라드에서 보냈다. 1941년 나치 독일유고슬라비아 침공을 시작하면서 베오그라드를 떠나 크라구예바츠로 이주했으나 같은 해 10월 크라구예바츠 학살을 겪으며 힘든 시절을 겪었다. 14살이 된 1944년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전쟁이 끝난 1946년 가족과 함께 베오그라드로 복귀하였다.

2.2. 선수 경력

2.2.1. 클럽

1946년 베오그라드로 돌아온 뒤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유소년 팀에 입단하였다. 1951년 선수로 데뷔하였다.

2.3. 감독 경력

2.3.1.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기

1965년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하지만 1년 뒤 사임하였다.

2.3.2.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1966년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소속인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지난 시즌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5위라는 다소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였다. 첫 시즌이었던 1966-67 시즌에는 지난 시즌과 똑같은 5위를 기록했지만 이후 리그 3연패를 포함해 4번의 리그 우승, 3번의 컵 대회 우승, 10년 만에 미트로파컵 우승을 차지하며 성공적인 커리어를 보냈다.

2.3.3.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2기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에서의 좋은 성적으로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의 감독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1974 FIFA 월드컵 서독에서는 자이르를 상대로 9-0 대승을 거두고 브라질에게 무승부를 거두면서 2차 조별 리그 진출에 성공하지만 3전 전패를 기록하면서 탈락하였다. 탈락 이후 대표팀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3.4. 레알 마드리드 CF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알 마드리드 CF/밀랴니치 체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74년 7월 1일 레알 마드리드 CF의 정식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2.3.5.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3기

1977년 레알 마드리드 CF에서 사임하고 1년 반의 휴식기를 가진 뒤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의 감독으로 5년 만에 복귀하였다. 지난 2번의 임기와 다른 점은 이번에는 집단 지도체제가 아닌 밀랴니치 단독 감독 체제로 대표팀을 이끌게 되었다. 부임 이후 유로 예선을 포함해서 9연승을 기록했지만 부임 이전 스페인에게 패배한 경기 때문에 승점 1점차로 본선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이어진 월드컵 예선에서는 이탈리아와 같은 조에 배치되어 이탈리아를 상대로 1무 1패를 기록했지만 나머지 팀들을 상대로 전승을 기록하면서 오히려 조 1위로 예선을 통과하였다.

월드컵 본선에서는 온두라스를 상대로 승리, 북아일랜드를 상대로 무승부를 기록했으나 홈 팀이었던 스페인과의 경기에서 석연치 않은 판정 끝에 2-1로 패배하면서 조별리그에서 탈락하게 되었고 월드컵 이후 감독직에서 사임하게 되었다.

2.3.6. 발렌시아 CF

대표팀에서 물러나고 휴식기를 가지고 있던 도중 당시 9라운드까지 리그 1승에 그치며 강등 위기에 빠진 발렌시아 CF의 소방수로 부임하게 되었다. 하지만 리그에서 5승 3무 10패를 기록하며 반등에는 성공했지만 순위는 촘촘한 상황에서 꼴지에 위치하자 경질되었다.[1]

2.3.7. 중동 무대

1983년 카디시야 SC의 감독으로 부임해 처음으로 유럽 외부에서 감독직을 맡게 되었다. 1984년부터 1986년까지는 알 아인 FC의 감독을 맡기도 하였다.

2.3.8.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4기

유고슬라비아 축구 협회 회장을 맡고 있던 1992년 보스니아 전쟁과 그로 인해 사라예보 포위전이 발생하면서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의 감독이었던 이비차 오심의 가족이 갇히면서 감독직에서 사임하자 UEFA 유로 1992에서 대표팀을 이끌기 위해 감독으로 복귀하였다. 이후 대회를 위해서 스웨덴에 도착해 친선전을 가졌으나 대회를 10일 앞두고 실격되면서 마지막 감독직은 1경기도 치루지 못하고 감독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2.4. 행정가 경력

1981년 유고슬라비아 축구 협회의 회장으로 선출되어 2001년까지 직을 유지하였다. 재임 기간동안 클럽 축구에서는 FK 츠르베나 즈베즈다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고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은 3번의 월드컵 진출과 2번의 토너먼트 진출, 3번의 유로 본선 진출과 2번의 토너먼트 진출을 전성기였던 1950~60년대 이후 최고의 성적을 기록하였다. 또한 유소년 팀은 1987 FIFA U-20 월드컵 우승을 차지하면서 미래가 기대되는 팀으로 부상했지만 1991년 시작된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이전처럼 강호의 모습을 잃게 되었다.

3. 사망

2012년 1월 13일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레알 마드리드 CF
감독 (초대~40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caf17,#e89b0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1910 ~ 1994
초대
존슨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2대
카르세르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3대
요렌테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4대
베르나베우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5대
베라온도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6대
퀴란테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7대
헤르츠카
파일:헝가리 국기.svg
8대
퍼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9대
브루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10대
아르메트
파일:스페인국 국기(1938-1945).svg
11대
엔시나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38-1945).svg
12대
킨코세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38-1945).svg
13대
알베니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4대
킨코세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5대
키핑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6대
알베니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7대
스카로네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8대
이피냐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대
페르난데스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대
비야롱아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21대
카르닐리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2대
무뇨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23대
카르닐리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4대
플레이타스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25대
무뇨스
(무뇨스 체제)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26대
몰로니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27대
밀랴니치
(밀랴니치 체제)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28대
몰로니
(몰로니(2기))
파일:스페인 국기(1977-1981).svg
29대
보슈코브
(보슈코브 체제)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30대
몰로니
(몰로니(3기))
파일:스페인 국기.svg
31대
디 스테파노
(디 스테파노(1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32대
아마로
(아마로 체제)
파일:스페인 국기.svg
33대
몰로니
(몰로니(4기))
파일:스페인 국기.svg
34대
베인하커르
(베인하커르(1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5대
토샥
파일:웨일스 국기.svg
36대
디 스테파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37대
안티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38대
베인하커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9대
플로로
파일:스페인 국기.svg
40대
델 보스케
파일:스페인 국기.svg
▶ 레알 마드리드 CF 감독(41대 이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white,#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발렌시아 CF
감독(1대 ~ 40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21년 ~ 1983년
1대
킨케
파일:스페인 국기.svg
2대
산초
파일:스페인 국기.svg
3대
피베브르
파일:체코 국기.svg
4대
엘리엇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5대
피베브르
파일:체코 국기.svg
6대
갤러웨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7대
그린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8대
피베브르
파일:체코 국기.svg
9대
발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10대
엔시나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11대
리노
파일:스페인 국기.svg
12대
크벨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13대
파사린
파일:스페인 국기.svg
14대
킨코세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15대
이투라스페
파일:스페인 국기.svg
16대
미로
파일:스페인 국기.svg
17대
킨코세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18대
붐벨
파일:브라질 국기.svg
19대(임시)
킨코세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20대
발마냐
파일:스페인 국기.svg
21대
스코펠리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2대
파시에귀토
파일:스페인 국기.svg
23대
문도
파일:스페인 국기.svg
24대
바리나가
파일:스페인 국기.svg
25대
문도
파일:스페인 국기.svg
26대
호세이토
파일:스페인 국기.svg
27대
부케/아르티가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28대
디 스테파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9대
치리크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30대
밀로셰비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31대
메스트레
파일:스페인 국기.svg
32대
에레라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33대
메스트레
파일:스페인 국기.svg
34대
도밍고
파일:프랑스 국기.svg
35대
파시에귀토
파일:스페인 국기.svg
36대
디 스테파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37대
파시에귀토
파일:스페인 국기.svg
38대
메스트레
파일:스페인 국기.svg
39대
밀랴니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40대
아기레
파일:스페인 국기.svg
41대~80대 ▶
}}}}}}}}} ||

{{{#!wiki style="color:#c0d459;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19610b,black> 1조 파일:독일 국기.svg
헬무트

파일:동독 국기.svg
게오르크
부슈너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랄레
라시치


파일:칠레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루이스
알라모스


2조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리우
자갈루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윌리
오먼드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밀랸
밀랴니치
파일:자이르 국기.svg
블라고예
비디니치
3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리누스
미헬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예오리
에릭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로베르토
포르타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흐리스토
믈라데노프


4조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카지미에시
구르스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루초
발카레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블라디슬라오
카프
파일:아이티 국기(1964-1986).svg
앙투안
타시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19341938195019541958
196219661970197419781982
198619901994199820022006
2010201420182022
}}}}}}}}}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F9F208> 1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엔초
베아르초트

파일:폴란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안토니
피에흐니체크


파일:페루 국기.svg



파일:카메룬 국기.svg

뱅상


2조 파일:독일 국기.svg
유프
데어발


파일:알제리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마히딘
칼레프



파일:칠레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루이스
산티바녜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펠릭스
라츠케

게오르크
슈미트
3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세자르 루이스
메노티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메쇠이
칼만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마우리시오 알론소
로드리게스
4조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그린우드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미셸
이달고
파일:체코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요제프
벵글로시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
5조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세
산타마리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호세 데 라 파스
에레라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밀랸
밀랴니치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빌리
빙엄
6조 파일:브라질 국기.svg
텔레
산타나
파일:소련 국기.svg
콘스탄틴
베스코프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조크
스타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애드셰드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19341938195019541958
196219661970197419781982
198619901994199820022006
2010201420182022
}}}}}}}}}



[1] 이후 발렌시아는 콜도 아기레 감독이 부임해 15위로 간신히 잔류에 성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