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00:48:00
유희왕 의 링크 몬스터 카드.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top2 != null
, [[]][[]]}}}{{{#!if top3 != null
, [[]][[]]}}}{{{#!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바렐(유희왕)]]{{{#!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바렐로드 드래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
바렐로드 드래곤 <nopad> <colbgcolor=#c0c0c0> 등장 시리즈 VRAINS 사용 캐릭터 코가미 료켄 첫 수록 10기 서킷 브레이크 서포트 링크 소속 테마군 바렐 재정 OCG DB Q&A 닫힌 세계를 꿰뚫는 나의 신풍! 링크 소환! 나타나라! 링크 4, 「바렐로드 드래곤」! 閉ざされし世界を貫く我が新風!リンク召喚!現れろ!リンク4、「ヴァレルロード・ドラゴン」! -유희왕 VRAIN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리볼버- 폐쇄된 세계를 꿰뚫는 나의 새로운 바람! 링크 소환! 나와라! 링크 4, 「바렐로드 드래곤」! -유희왕 VRAIN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리볼버더빙판 - 이것이 우리들의 인연에 결착을 지을 최후의 탄환! 링크 소환! これこそが我々の因縁に決着をつけるトドメの弾丸!リンク召喚! 현현하라, 링크 4! 「바렐로드 드래곤」! 顕現せよ、リンク4!「ヴァレルロード・ドラゴン」! -유희왕 VRAINS 제44화/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리볼버- 이게 우리의 인연을 끝낼 마지막 일격을 가할 탄환이다! 링크 소환! 나타나라! 링크 4! 「바렐로드 드래곤」! -유희왕 VRAINS 제44화/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리볼버더빙판 -
유희왕 OCG의 10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 서킷 브레이크 극한의 힘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파이어월 드래곤|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F3F6F5 파이어월 드래곤}}}'''
]]
[[바렐로드 드래곤|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F5716E 바렐로드 드래곤}}}'''
]]
[[엑스코드 토커|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97B2BA 엑스코드 토커}}}'''
]]
[[토폴로직 투리스바에나|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A0DF64 토폴로직 투리스바에나}}}'''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 소울 퓨전 새비지 스트라이크 다크 네오스톰 [[사이버스 매지션|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B7FDD9 사이버스 매지션}}}'''
]]
[[사이버스 클락 드래곤|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D3CBFD 사이버스 클락 드래곤}}}'''
]]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6B8E8B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
[[파이어월 X 드래곤|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69F6FC 파이어월 X 드래곤}}}'''
]]
라이징 램페이지 카오스 임팩트 이그니션 어썰트 이터니티 코드 [[바렐로드 X 드래곤|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BC3836 바렐로드 X 드래곤}}}'''
]]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43A633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
]]
[[라이트드래곤'background-image'>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FFD700 라이트드래곤이그니스터}}}'''
]] [[액세스코드 토커|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DBC641 액세스코드 토커}}}'''
]]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바렐로드 드래곤, 일어판명칭=ヴァレルロード・ドラゴン, 영어판명칭=Borreload Dragon, 속성=어둠, 레벨=4, link1=, link3=, link4=, link6=, 공격력=3000, 종족=드래곤족, 소재=효과 몬스터 3장 이상, 효과1=①: 양쪽 플레이어는 필드의 이 카드를 몬스터의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1번\,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의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500 내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에게 공격하는 데미지 스탭 개시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이 카드의 링크 앞에 놓고 컨트롤을 얻는다. 이 효과로 얻은 몬스터는 다음 턴의 엔드 페이즈에 묘지로 보내진다.)]유희왕 VRAINS 의 등장인물 리볼버 의 에이스 몬스터로, 13화 오프닝에서 감춰졌던 실루엣이 밝혀졌다. 소환 대사는 11화에서 이미 나왔지만, 소환 씬은 날개 외에는 2D로 소환되었는데 96화에서는 기지에서 출격하는 것처럼 완전히 새롭게 3D로 바뀌었다. 11화에서는 소환 후 Playmaker 와의 첫 마스터 듀얼에서 공격 / 효과에서 화려한 3D 연출을 자랑했고, 기황제 그란엘∞ 과 비슷하게, Playmaker를 타겟으로 지정하면서 직접 공격을 했는데, 위력이 엄청나서 회오리 형태의 데이터 스톰을 뚫어버리고 공격받은 Playmaker가 정신을 못 차릴 정도. 이후로도 주인이 강적과 싸운다고 판단하면 링크 소환되어 활약한다. 그러나 강력한 비대상 컨트롤 탈취 효과가 있음에도 컨트롤 탈취 효과는 이상할 정도로 사용되지 않는다. 물론 해당 듀얼 로그를 보면 사용 못할 이유들이 충분히 있기는 하나 상당히 아쉬운 부분. 공격명은 천뢰의 바렐 캐논(天雷のヴァレル・カノン / 天雷のBorrel Cannon) . 공격시에는 가슴 부분의 실린더가 회전하면서 에너지를 충전, 팔을 뒤로 뺀 채 입에서 포구가 나온 후 목표를 조준, 리볼버가 섬광에 대비하기 위해 헬멧의 바이저를 올리고 날개를 접은 뒤 발사한다. 당시 대사로 "에너지 충전! 바렐모드 체인지! 타겟 록 온! 대섬광 방어! 최종 세이프티 해제!" 순서로 사격 모드로 전환하는데 상당히 압권이다. 컨트롤 탈취 효과명은 스트레인지 트리거(Strange Trigger / ストレンジ・トリガー) , 공격력 / 수비력 감소 효과명은 안티 에너미 바렛(Anti-Enemy Varret / アンチ・エネミー・ヴァレット ) . 입에서 레이저를 발사하거나 표효하는 등 여러 모션이 있었으나 2기부터는 몸에서 오오라가 나타나는 것으로 통일되었다. 효과는 원작과 동일. 토폴로직 폭탄 드래곤 처럼 어둠 속성 / 공격력 3000인 링크 4 몬스터인데, 링크 마커의 위치가 매우 유용해 엑스트라 몬스터 존 / 메인 몬스터 존에서나 기본적으로 2개가 활성화된다. 토폴로직 폭탄과는 달리 강제로 메인 몬스터 존을 클린하는 효과도 없기에 엑스트라 덱 몬스터 전개용으로도 우수하고 효과도 좋지만, 소환은 더 어렵다. 소환 조건이 효과 몬스터 3장 이상이므로 토큰도 쓸 수 없고, 싱크로 소환 에 빗대면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2장 또는 튜너 2장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과 비슷한 조건이라, 링크 3 이상의 링크 몬스터가 있더라도 몬스터를 최소 3장 묘지로 보낼 필요가 있다. 그래도 토폴로직 폭탄보단 안정적으로 쓸 수 있다. ①의 효과는 몬스터 효과 대상 지정 내성. 빈틈은 많지만 이 정도 내성도 없는 몬스터가 많으므로 꽤 무거운 이 몬스터에겐 도움이 된다. 다만 어디까지나 몬스터 대상 지정 효과만 막으므로 금지된 성배 같은 마법/함정 대상 효과나, 액세스코드 토커 ,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등의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몬스터의 효과에는 얄짤없이 먹힌다. ②의 효과는 공격력 / 수비력을 500밖에 내리지 않지만 이 카드 자신의 타점이 결코 낮은 편이 아니며 유발 즉시 효과고, 체인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살릴 수 있다. 그리고 공격력 / 수비력 하락은 영구적이라 어지간해서 전투로는 거의 지지 않는다. 또한 대상 지정이므로 바렛 몬스터들의 효과를 발동시키는 데도 사용 가능하며, 바렛 몬스터들은 파괴되면 엔드 페이즈에 카드를 리크루트하는 효과가 있어서 전혀 손해가 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바렐스워드와 바렐가드랑은 다르게 수비 표시 몬스터도 지정이 가능하기에 앞의 둘보단 총의 역할을 더 수월하게 해줄 수가 있다. 이름 그대로 리로드(Reload)다운 효과. ③의 효과가 이 카드의 진가로 상대 몬스터를 공격할 때 일시적으로 자신의 링크 마커 앞으로 가져와버리는 아주 강력한 효과. 패왕권룡 클리어윙 과 비슷하게 데미지 스텝에 발동하므로 돌진 이나 수축 , 어니스트 같은 공격력 변화 카드를 완벽하게 물 먹일 수 있고, 자기보다 공격력이 높은 상대의 강력한 몬스터를 빼앗아올 수 있는 것은 물론, 1턴에 1번 제한도 없어 더블어택 계열의 카드 효과를 부여했다면 2장까지 빼앗아올 수 있다. 게다가 비대상 지정 효과이므로 어지간한 내성을 가진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 이라던가 하는 몬스터들도 바로 가져올 수 있기에 상대 입장에선 1번 당하면 쌍욕이 튀어나온다. 효과로 빼앗은 몬스터는 묘지로 가게 되지만, '다음 턴의 엔드 페이즈'이므로 생각보다 오래 살아남는다. 물론 상대 턴까지 이들을 계속 살려두느니, 차라리 다른 몬스터의 소환 소재나 효과 코스트로 빨리 치우는 게 낫다. 그리고 발동 타이밍이 공격한 데미지 스텝 개시시라 상대가 공격해오는 것에는 발동할 수 없고, 써먹으려면 자신의 링크 마커가 있는 메인 몬스터 존이 비어있어야 하므로 주의. 또한 이 효과로 컨트롤을 얻은 경우, 이 카드의 전투는 끝나버리는만큼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줄 수 없게 된다. 라이벌인 리볼버의 카드답게 주인공 후지키 유사쿠 의 에이스인 파이어월 드래곤 과 디코드 토커 의 천적이기도 하다. 공통적으로 무보정 기준으로 전투로 일방적으로 때려잡을 수 있고, 파이어월 드래곤의 바운스 효과는 대상 지정 내성 때문에 안 통한다. 디코드 토커 역시 공격력을 올렸다 해도 이 카드의 2번 효과로 약화해 파괴하는 게 가능한 데다 대상 지정 효과를 무효화해 파괴하려 해도 그 효과에 대해 다른 효과를 발동할 수가 없기에 그대로 당해버릴 수밖에 없다. 그나마 디코드 토커는 링크 마커 앞 3개가 전부 차 있다면 공격력이 떨어져도 3300이므로 이 카드를 전투로 파괴하는 게 가능하단 게 위안. 하지만 파이어월 드래곤의 의식 버전인 나이트 오브 스톰드래곤 엔 얄짤없이 당한다. 네오 스페이시언 그랜드 몰 과 비슷하게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효과이기 때문. 이 때문에 주인공의 또다른 에이스인 사이버스 퀀텀 드래곤 에게도 얄짤없이 당한다. 돌파형 링크 4 몬스터로는 액세스코드 토커 와 바렐스워드 드래곤 이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있어 잘 사용되지는 않으나, 비대상 비파괴 제거 효과를 가진 링크 4 몬스터는 트라이브리게이드 흉조 슈라이그 같은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없기에 메타에 따라 가끔씩 사용된다.티아라멘츠 - 스프라이트 분기에서, 아이:피 마스카레나 를 먹고 나온 대상 내성 및 파괴 내성 보유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 을 뚫기 위해 이시즈 티아라멘츠 가 잠깐 채용하기도 했다. 수록 시리즈 2017-09-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IBR-KR042 | 서킷 브레이크 2017-12-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IBR-KRGE1 | 서킷 브레이크 자이언트 에디션 특전 카드 2018-06-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B1-KRS04 | 링크 브레인즈 박스 2019-10-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6-KRP03 | 스트럭처 덱 - 리볼버 - 강화 팩 2021-10-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ODE-KRS01 | 버스트 오브 데스티니 2017-07-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IBR-JP042 | サーキット・ブレイク 2017-12-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B1-JPS04 | LINK VRAINS BOX 2019-06-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6-JPP03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リボルバー - 強化パック 2021-07-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ODE-JPS01 | バースト・オブ・デスティニー +1ボーナスパック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102 | 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PRIDE 2017-10-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IBR-EN042 | CIRCUIT BREAK 2018-08-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8-EN131 | 2018 MEGA-TINS MEGA PACK 2019-04-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PO-EN074 | DUEL POWER 2019-08-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RR-EN044 | STRUCTURE DECK: ROKKET REVOLT
"리볼버"가 쓰는 바렛 카드군의 보스 몬스터답게 이쪽 이름도 총구를 연상시킨다. 애니나 서킷 브레이크 의 광고에서 공격 장면을 보면 그렇다. 바렛 카드군의 일러스트에도 나오듯이, 바렛 몬스터를 탄환으로 장전해 효과를 발동한다.유희왕 크로스 듀얼 에서는 이벤트 듀얼에서 획득할 수 있는 프로필 아이콘도 출시되었다. VRAINS 카드 중에서는 최초로, 발매 당시에는 파이어월 드래곤과 디코드 토커도 없었다. 이 그림의 구도는 VRAINS 45화에서 나온 리볼버의 손 동작.3. 관련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