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그 카드를 파괴하고,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3]
4
바렐로드 드래곤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②: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500 내린다.
바렐스워드 드래곤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
②: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한다. 이 턴에, 이 카드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바렐가드 드래곤
필드의 공격 표시 /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
②: 그 몬스터를 앞면 수비 표시로 한다.
5
바렐엔드 드래곤
필드의 효과 몬스터
②: 그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하고, 자신 묘지의 "바렛"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4]
바렐슈라우드 드래곤
자신 필드의 "바렛" 몬스터
②: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 1장의 효과를 무효로 한다. 그 후, 대상 몬스터를 파괴한다.
}}}
바렛의 진화형이라고 볼 수 있는 바렛 덱의 에이스 몬스터들이며 바렛과 마찬가지로 어둠 속성 / 드래곤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맨 처음에는 바렐로드 드래곤 혼자만 나왔으나 바렐 리프리저레이션이 바렐 링크 몬스터를 지정하는 것으로 다른 바렐 몬스터의 등장을 암시했으며 실제로 1기 2쿨부터 리볼버가 바렐스워드 드래곤, 쇼트바렐 드래곤, 바렐가드 드래곤 순으로 새로운 바렐 몬스터들을 사용하였다.
총열을 뜻하는 바렐 시리즈들은 가슴에 탄창이 달린 총기류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총알 역할인 바렛 몬스터의 효과를 격발시킬 수 있도록 필드의 몬스터를 대상 지정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때 바렛 몬스터를 대상으로 지정한 효과에 상대가 다른 효과를 발동하여 타이밍을 놓치는 사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체인불가 효과가 붙어있는 것도 특징. 특히 링크 4 바렐들의 저 효과는 소환 조건에 비하면 굉장히 심심한 편이라[5] 바렛을 보조한다는 의미가 더 강하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바렐 몬스터로 바렛 몬스터를 격발시키면 몸통의 약실 속으로 빨려들어가 입으로 발사되는 연출이 나온다.
처음에는 링크 몬스터로만 구성된 테마였고 바렛 카드군의 효과 또한 이를 전제로 하였으나, 2기부터는 링크 이외의 소환법도 등장하며 싱크로, 엑시즈, 융합 몬스터가 추가되었고 OCG 오리지널로는 의식 몬스터까지 지원받았다.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몬스터들은 그다지 효과가 공유되진 않으나 버스트 프로토콜에서는 새비지 드래곤의 장착 컨셉을 일부 따오게 되었다.
링크 4 이상의 바렐 에이스들은 전부 붉은 색상을 띈 공격력 3000의 드래곤족이라는 디자인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효과 몬스터 3장 이상을 소재로 요구하며, 이름은 바렐+(―ド, 드, d로 끝나는 단어)[6][7] 드래곤이라는 명명식으로 이루어진다. 소환 영창은 "폐쇄된 세계를 ○○하는 나의 ○풍"이라는 형식을 공유한다.
링크를 뺀 나머지 특수 소환법에 해당되는 바렐로드 드래곤의 파생 카드들(새비지, X, F, R)의 경우 라이벌의 에이스 카드의 시초격인 푸른 눈의 백룡과 같은 공격력 3000 / 수비력 2500을 갖고 있고, 유사쿠의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과 같이 그 해당법의 카드와 같은 색상으로 디자인되었으며[8] 간접적으로 전투와 관련된 접미사가 붙는다. 이 단어들은 해당하는 소환법과 첫 글자가 같다.
링크 3 이하의 바렐 몬스터들은 "바렐○○ 드래곤"이 아니라 "○○바렐 드래곤"이라는 방식으로 작명되어있다. 링크 3의 바렐코드는 개중에서도 애매한 포지션인데, 소재로 효과 몬스터 2장 이상을 요구하지만 메인 효과인 파괴 효과를 쓰려면 링크 소재 3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실상 링크 4의 바렐들과 소환 조건은 같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 명칭=바렐로드 <ruby>FF<rp>(</rp><rt>페이탈 플레어</rt><rp>)</rp></ruby> 드래곤, 일어판 명칭=ヴァレルロード・<ruby>FF<rp>(</rp><rt>フェイタルフレア</rt><rp>)</rp></ruby>・ドラゴン, 영어판 명칭=Borreload Fatal Flare Dragon, 레벨=8,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500, 수비력=2000, 소재=어둠 속성 링크 몬스터 + 어둠 속성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융합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바렛"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인 어둠 속성 링크 몬스터 1장을 공격력 500 올리는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대상 몬스터에 장착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링크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료켄이 바렐로드 F 드래곤을 유사쿠에게 양도한 장면을 따온 듯한, 유사쿠의 카드에 좀 더 가까워진 디자인을 가진 바렐 몬스터다. 카드명이나 디자인 등은 파이어월 드래곤과 유사하고, 소체는 디코드 토커 또는 퓨리어스와 같은 보라색 라인이 그려져 있다.
융합 소재의 경우, 어둠 속성 / 드래곤족이 필요한 퓨리어스와 달리, 링크 몬스터를 요구하지만, 기존의 퓨리어스에서 종족 제약이 사라져, 바렛 코더 내지는 암영의 암령사 달크 등을 소재로 쓰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유사쿠의 덱인 코드 토커에도 어둠 속성 몬스터들이 포진되어 있기 때문에 원작처럼 종족 변환을 시킬 필요가 없어졌고, 리볼버의 테마인 바렐 / 바렛 / 토폴로직은 전원 어둠 속성이기 때문에, 자체 융합 소재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어렵지 않은데다, 바렛에 유용한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활용하기 좋다. 거꾸로 상대 필드에 어둠 속성 링크 몬스터가 존재하면 초융합으로 먹는 것도 가능하다.
대신 능력치는 유사쿠가 사용한 사이버스족의 에이스인 2500 / 2000이지만, 자신의 효과를 사용한다면 리볼버의 에이스 몬스터의 공격력인 3000이 된다.
1번의 융합 소환 시 발동할 수 있는 효과는 덱에서 바렛을 서치하는 효과. 이 효과로 데터네이터를 가져온다면 2번 효과로 연결할 수 있다.
2번 효과는 어둠 속성 링크 몬스터를 장착할 수 있는, 새비지 드래곤과 상당히 비슷한 효과다. 공격력을 올리는 것 이외에 효과는 없으나 더블 트리거로 제외된 몬스터를 복구시킬 수 있고 데터네이터로 다시 특수 소환한다면 고링크 몬스터로 연결할 수도 있다.
3번은 링크 소재로 보내질 시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하는 효과. 아이:피 마스카레나를 통해 상대 턴 견제 수단으로 쓸 수도 있다. 자신 필드의 카드를 파괴하여 메리트를 챙기거나, 바렛 리차저의 효과와의 연계도 가능하고, 상대 카드를 파괴해도 OK.
결과적으로는 공격력과 수비력이 주인공의 에이스 카드의 것과 같아진 대신, 융합 소재 조건은 물론, 바렛 / 바렐 / 토폴로직에서 사용하기 좋게 설계된 효과를 가지고 나온 퓨리어스의 리메이크 카드라고 보면 되겠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쇼트바렐 드래곤, 일어판 명칭=ショートヴァレル・ドラゴン, 영어판 명칭=Miniborrel Dragon, 레벨=2,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800, link4=, link6=, 소재="바렛"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바렐"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링크 3 이하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릴리스한 몬스터와 링크 마커의 수가 같은 몬스터의 링크 소재로 할 수 없다.)] 유희왕 VRAINS 44화에서 리볼버가 사용한 링크 2 바렐 몬스터. 컨트롤을 빼앗은 토커를 릴리스해나가면서 몬스터 3장을 필요로 하는 바렐 시리즈의 소환 조건을 맞췄다.
OCG화 되긴 했으나 어디까지나 엑스트라 링크 소환용 몬스터였기에 실질 용도를 찾기 어렵고, 턴 제약도 생겨 원작처럼 연속으로 소환하는 것도 불가능해졌다. 그나마 천구의 성각인의 효과를 능동적으로 쓰는 용도.
미국의 총기 규제 문제로 예외없이 일러스트가 수정되긴 했는데, 보통 같으면 총구를 비롯한 총 전체를 수정하는 것이 관례였던 이전 카드들과 다르게 약실에만 수정이 가해졌다. 때문에 왼쪽 어깨에 달린 리볼버가 일반 리볼버식 약실이 아닌 드럼 탄창을 단 것처럼 보인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소운바렐 드래곤, 일어판명칭=ソーンヴァレル・ドラゴン, 영어판명칭=Quadborrel Dragon, 속성=어둠, 레벨=2, link2=, link4=, 공격력=1000, 종족=드래곤족, 소재="바렛" 몬스터를 포함하는 드래곤족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를 1장 버리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이 효과로 링크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 추가로 그 링크 마커의 수까지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바렛"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링크 2 이하의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스트럭처 덱 -리볼버-에 신규 수록된 카드. 링크 소환시 바렛 몬스터를 최소 1장 요구한다.
메인 효과는 패 1장을 버리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여 파괴하는 것. 대상 지정 효과라 바렛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고 효과를 발동하면 바렛의 탄환 효과가 발동되고, 거꾸로 상대 필드의 몬스터도 파괴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카드의 진가는 추가로 링크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 그 링크 마커의 수까지 패 / 묘지에서 바렛 몬스터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 특히 상대 링크 몬스터를 파괴할 경우에는 1:3 이상의 어드밴티지 교환비를 낼 수도 있다. 만약 링크 2 이상의 몬스터를 파괴했다면 바로 링크 4의 바렐 몬스터를 불러올 수 있다. 그래서 데린저러스 드래곤과 호궁합인데, 이 카드의 효과로 데린저러스 드래곤을 파괴-패 / 묘지의 바렛 몬스터 2장을 특수 소환-데인저러스 드래곤의 효과로 묘지에서 부활해 순식간에 링크 4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게 된다.
대신 소운바렐의 효과를 발동한 후엔 엑스트라 덱에서 링크 2 이하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수호룡 피스티의 링크 마커 마련용으로는 쓸 수 없고 고랭크 몬스터 소환용으로 써야해서 타이밍이 강제되는 단점은 있다. 또한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서는 패를 버려야 한다는 것이 패 소모가 큰 바렛 덱에서는 큰 디메리트로 작용한다.
이 경우, 패 2장만으로, 공격력 3500에 카드효과 2번 무효화의 몬스터를 전개 + 트레이서의 효과로 파괴한 바렛 몬스터 1장 리크루트라는 극대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버스트 프로토콜 지원 이후로는 이렇게 튜너와 비튜너를 적절히 소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너무 늘어난 필드의 링크 몬스터 개체수를 정리해 공간을 마련하면서도 새비지 드래곤을 소환할 소재 모으기 용도로 쓰인다.
유희왕 VRAINS 115화에서 리볼버가 소울버너와의 마스터 듀얼에서 사용. 아네스바렛 드래곤과 실버바렛 드래곤을 소재로 링크 소환해 패의 바렛 리차저를 버리고 소울버너의 샐러맨그레이트 히트라이오를 파괴, 그 후 바렛 몬스터 3장을 특수 소환해 바렐로드 드래곤의 링크 소환으로 이어갔다. 이후 함정 카드 바렐 버스터 배리어의 코스트로 릴리스됐다. 그 다음 턴에서는 2장째도 나와 토폴로직 제로보로스의 링크 소재가 됐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투리스바렐 드래곤, 일어판 명칭=トゥリスヴァレル・ドラゴン, 영어판 명칭=Trisborrel Dragon, 레벨=3,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300, link1=, link2=, link4=, 소재="바렛" 몬스터를 포함하는 드래곤족 / 어둠 속성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링크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라피도 트리거" "헤비 트리거" "더블 트리거" 중 어느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 1장과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대상 필드의 카드를 파괴하고\, 대상 묘지의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바렐코드에 이어 나온 링크 3의 바렐 몬스터. 바렐코드와 달리 소재의 수에 따른 효과의 제약이 사라진 대신, 바렛을 포함하는 어둠 속성 드래곤족 몬스터를 요구하는 것으로 소재의 제약이 늘었고, 공격력도 코드 토커 시리즈와 같은 2300으로 낮아졌다. 하지만 바렐코드는 컨셉에만 치중되어 있어 좋은 평가를 못 받았지만, 이번에는 제대로 된 중간 단계 역할의 카드로 나왔다. 마커방향이 매우 적절히 수호룡 피스티의 효과를 발동하기 좋도록 나온 것 역시 아주 소소히 좋은 점.
1의 효과는 트리거 카드들을 서치하는 효과. 메인 덱 몬스터이며 바렛 카드군 내에서는 자체적으로 서치할 수 없는 듀얼윌 드래곤보다 서치 범위가 넓은 건 물론, 링크 몬스터여서 접근성도 훨씬 좋다.
2번 효과는 스트라이커 드래곤과 유사한 효과로, 자신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하고, 어둠 드래곤족 몬스터를 샐비지하는 효과. 늘어난 링크수에 걸맞게 앞면 표시 몬스터가 아닌 '카드'를 파괴하고, 묘지에서 회수하는 몬스터 또한 바렛 카드군이 아니더라도 어둠 속성 / 드래곤족이기만 하면 뭐든지 가능하게 범위를 넓혔다. 이론상 바렛들의 격발 효과를 발동할 수 있지만, 스트라이커랑 소운바렐과 마찬가지로 체인 불가 효과가 없어서 타이밍 놓침에 주의해야 하고 효과 처리 서순상 바렛 격발시 회수 효과는 불발되니 주의.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바렐 서플라이어, 일어판 명칭=ヴァレル・サプライヤー, 영어판 명칭=Borrel Supplier,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바렐"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 / 상대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자신 묘지의 "바렛"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 바렐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각 턴의 스탠바이 페이즈마다 묘지의 바렛 몬스터를 소생시켜주는 지속 마법. 탄환 보급 카드로 보면 이해가 쉽다.
효과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타이밍이 스탠바이 페이즈인 점이 아쉽다. 전개가 취약한 바렛 덱 특성상 링크 4 바렐 몬스터를 하나 뽑아 놓으면 탄환으로 쓸 바렛이 남지 않는단 약점을 보강해주는 건 좋지만 메인 페이즈가 아니기에 마법 카드임에도 곧바로 쓸 수가 없고 상대 턴이 돼서야 부활시킬 수 있단 점은 상당히 안타까운 부분. 일단 4링 바렐들은 모두 효과가 프리 체인이기에 상대 턴에 되살려온 바렛으로 상대 견제가 가능하긴 하지만 제거가 판치는 요즘 환경엔 1번 이상 효과를 쓰기가 어렵다. 발동 타이밍이 메인 페이즈였다면 훨씬 쓸만했을텐데 굉장히 아쉬운 카드.
바렛 트레이서와는 궁합이 좋아 묘지에서 부활시킨 후 상대가 이 카드를 파괴하기 전에 프리 체인으로 이 카드를 부수고 덱에서 새로운 바렛을 전개해서 어드밴티지를 벌어줄 수 있다. 소운바렐 같은 링크 2 바렐 몬스터가 있어도 쓸 수 있긴 하지만 소운바렐은 효과가 프리 체인이 아니기에 이 효과로 살려온 바렛을 사용하기가 어려운 편.
일러스트에는 실버바렛 드래곤이 있다. 묘지에서 부활하는 모습을 묘사한듯. 여담으로, 일러스트의 배경은 링크 데스 터릿의 배경과 일치한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 명칭=바렐 리프리저레이션, 일어판 명칭=ヴァレル・レフリジェレーション, 영어판 명칭=Borrel Cooling,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바렛"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자신 필드의 "바렐"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고 그 몬스터에 장착한다. 장착 몬스터는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2=●자신 / 상대 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몬스터는 전투 /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극한의 힘에서 등장. 원작 11화에서 리볼버가 사용. 이 당시 대사로는 장착 몬스터도 파괴되지 않는 것처럼 묘사되는 오류가 있었다.
원작에 비해 릴리스하는 몬스터의 레벨 제약이 없어져 모든 바렛 몬스터를 코스트로 쓸 수 있도록 강화되었다. 효과는 대상 지정 효과로 파괴 내성을 주는 것 뿐만 아니라 바렛 몬스터들의 효과를 발동시키는데에도 쓸수 있다. 때문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바렐 링크 몬스터들의 고유 효과, 이 카드로 얻은 효과 총 2번 바렛들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정작 이 카드를 발동하기 위해 탄환으로 쓰이는 바렛 몬스터를 릴리스 해야하는 것이 흠. 파괴가 아니기 때문에 엔드 페이즈시 이 카드의 발동 코스트로 쓰인 바렛의 리크루트 효과를 사용할 수 없다.
처음에는 링크 4 바렐 몬스터 자체가 순수 바렛 덱에서 소환하기 힘들어 사용하기 어려웠으나 지속된 지원으로 전개에 많은 도움을 주는 효과가 많아졌고 바렐로드 드래곤 이외의 바렐 링크 몬스터인 바렐스워드 드래곤, 바렐가드 드래곤의 등장으로 효과 범위 대상이 넓어졌고, 링크 2 쇼트바렐 드래곤과 소운바렐 드래곤이 나와 조건에 맞게 2장만 전개해도 쉽게 소환해 이 카드를 장착해줄 수 있게 되었다.
주의할 점은 바렐로드 드래곤은 몬스터 효과 대상 내성이 있어서 내성을 줄 수 없다는 것이다. 바렐가드 드래곤은 효과 파괴 내성이 있지만, 전투 파괴 내성은 없어서 이 카드와 맞고, 가장 호궁합을 이루는 바렐 몬스터는 전투적으로 강한 효과를 지닌 바렐스워드 드래곤. 전투 파괴 내성을 갖고 있지만, 효과 내성은 없어서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등 공격 반응형 함정 카드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 카드와 호궁합이다.일러스트는 오토바렛 드래곤을 냉각하는 모습.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 명칭=바렐 리부트, 일어판 명칭=ヴァレル・リブート, 영어판 명칭=Borrel Reboot, 효과외1=이 카드는 LP를 절반 지불하고 패에서 발동할 수도 있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바렛" 몬스터나 "바렐" 몬스터가 존재하고\, 상대가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그 카드를 그대로 세트한다. 이 효과로 세트한 카드는 이 턴에 발동할 수 없다.)] 버스트 프로토콜에서 지원받은 바렐의 첫 카운터 함정이자 바렐판 레드 리부트.
LP 절반 지불로 패에서도 발동하는건 레드 리부트와 같으나 이 카드는 마법도 막을 수 있고, 추가 세트 효과도 사라졌다. 그 대신 체인한 카드의 발동을 막고, 상대가 그 턴에 함정을 아예 못 써버리게 막는 원본과 달리 발동한 카드만 막히게끔 약화됐다. 로우 리스크/로우 리턴인 셈.
성능은 상당히 출중하다고 할 수 있으나, 정작 큰 문제는 아직까지 "바렐" 마함을 서치하는 효과는 없기에 빠르게 손에 잡는 게 힘든 것이 문제. 추후 지원을 기대해봐야할 듯 하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베이오넷 퍼니셔, 일어판 명칭=ベイオネット・パニッシャー, 영어판 명칭=Bayonet Punisher,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외2=자신 필드에 공격력 3000 이상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의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필드 / 묘지의 "바렐" 몬스터 종류에 따라\, 이하의 효과를 적용한다., 효과2=●융합: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제외한다., 효과3=●싱크로: 상대의 엑스트라 덱에서 뒷면 카드를 무작위로 3장 제외한다., 효과4=●엑시즈: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제외한다., 효과5=●링크: 상대 묘지에서 카드를 3장까지 제외한다.)] 필드 / 묘지의 바렐 몬스터의 종류에 따라 효과를 발동하는 속공 마법 카드. 또한 자신 필드에 공격력이 3000 이상의 몬스터[9]가 있다면 바렐 계열처럼 상대는 이 카드의 발동에 대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현재 바렐 몬스터는 융합/싱크로/엑시즈/링크 몬스터가 전부 나왔고 바렛 덱에서 이들 중 가장 쉽게 부를 수 있는 종류는 싱크로인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과 바렐 링크 몬스터다. 다행히 싱크로-엑스트라 덱 3장 제외, 링크-묘지 3장 제외라는 고효율 효과이며, 필드에 영향을 끼치는 엑시즈, 융합은 바렛 카드들로 견제가 가능하기에 보험용으로 볼 수 있다.
체인 불가로 엑스트라 덱, 묘지 카드 3장씩 제외는 충분히 좋지만 문제는 이 카드 자체를 서치할 수단이 없기 때문에 원하는 타이밍에 발동할 수 없다. 또한 느리디 느린 바렛 덱이, 링크 몬스터는 덱 특성상 필수로 소환해야 하는 몬스터라지만 융합, 싱크로, 엑시즈 몬스터까지 소환할 여유가 있지 않다는 점도 단점.
카드의 성능보다는 리볼버가 다소환을 하는 이미지를 보여주는 컨셉용에 가깝지만, 의식 몬스터인 바렐로드 R 드래곤은 이 카드 발매 후에 나왔기 때문에 지원 대상이 아니다. 살짝 아쉬운 편.
카드명의 베이오넷은 총기에 검을 장착한 것을 이르는 총검. 카드명은 '총검식 처형자'로 해석된다. 말 그대로 일러스트에는 바렐스워드 드래곤이 그려졌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건슬링거 익스큐션, 일어판 명칭=ガンスリンガー・エクスキューション, 영어판 명칭=Execute Protocols,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배틀 페이즈에\, 자신 묘지에서 어둠 속성 링크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바렐"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제외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배틀 페이즈에 묘지의 어둠 속성 링크 몬스터를 제외해 바렐 몬스터의 타점을 제외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려주는 지속 함정.
잘만하면 상대를 처형할 수 있지만 바렐 몬스터들은 자채적으로 타점을 올리거나 상대 몬스터를 약화시키는 효과가 많기에 굳이 이것까지 쓸 필요는 없다. 묘지 제외 코스트도 링크 몬스터를 써야하기에 무거운 편. 일단 소환에 사용한 링크 몬스터를 제외하면 되지만 그렇게 해선 그다지 높은 타점을 기대하기 힘들다. 굳이 쓴다면 소운바렐, 쇼트바렐 등 저링크 바렐의 타점을 보강해주는 데에 쓸 수 있는 정도?
그나마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자신 필드에 바렐엔드가 있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가 많을경우, 건슬링거 익스큐션의 효과로 링크 몬스터를 제외한 후 바렐엔드의 공격력을 올린다음 바렐엔드의 효과[10]로 상대필드 위의 있는 몬스터를 1회씩 공격하여 상대 몬스터를 모두 파괴하는 방법이 있다.
일러스트는 바렐로드 드래곤과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이 포격을 준비한다. 성능도 애매하지만 일러스트도 묘하게 웃겨 팬덤에선 네타거리 취급당하고 있다.
카드명을 해석하자면 '총사의 (처형)집행'쯤 되지만, 영어 카드명은 '실행[11] 프로토콜'으로 뜻이 바뀌었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 묘지의 "바렐"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는 링크 마커의 수가 같고, 카드명이 다른 "바렐" 링크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공격력은 절반이 되고, 효과는 무효화되며,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 ②: 자신 묘지에서 이 카드와 "바렛" 몬스터 2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링크 2의 어둠 속성 링크 몬스터 1장을 링크 소환으로 취급하여 엑스트라 덱에서 "바렐" 링크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116화에서 Soulburner와의 마스터 듀얼에서 사용. 1번 효과로 바렐로드 드래곤을 지정해 엑스트라 덱에서 바렐스워드 드래곤을 특수 소환했고 2번 효과로 부스터 드래곤을 바렐스워드 드래곤 앞에 링크 소환으로 취급해 특수 소환했다.
①: 자신 필드의 링크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자신 필드의 "바렐" 링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그 몬스터에 장착하고, 릴리스한 링크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수만큼, 이 카드에 카운터를 놓는다. ②: 장착 몬스터는 상대가 발동한 효과를 받지 않는다. ③: 장착되어 있는 이 카드는 상대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④: 장착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에 1번,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하고, 이하의 효과 중 1개를 선택하여 발동할 수 있다. ●장착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상대 몬스터를 데미지 계산 후에 파괴하고, 그 공격력의 절반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그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①: 자신 필드의 "바렐" 링크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릴리스한 몬스터의 링크 마커의 수만큼, 이 카드에 카운터를 놓는다. ②: 자신의 몬스터가 상대의 몬스터의 공격 대상으로 선택된 경우에 1번,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몬스터는 그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고, 상대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그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카운터의 수 × 100 내린다. ③: 이 카드의 카운터 전부 제거되었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1] 발음은 보렐이다. 속사포 드래곤의 영어판 명칭이 Barrel Dragon이라 에라타하지 않고 그냥 철자 하나를 바꿔서 정발한 것.[2] 패에 넣을 바렛 몬스터도 발동 시점에서 대상으로 지정하여야 한다.[3] 패에 넣을 드래곤족 몬스터도 발동 시점에서 대상으로 지정하여야 한다.[4] 특수 소환할 묘지의 "바렛" 몬스터도 발동 시점에서 대상으로 지정하여야 한다.[5] 바렐로드는 공격력/수비력 500 하락, 바렐스워드는 수비 표시로 바꾸고 더블 어택 획득, 바렐가드는 수비 표시로 변경.[6] 로드(장전), 스워드(도검), 가드(방어), 코드(암호), 엔드(종전) 등 전투와 관련되어 있다.[7] 이것은 한국어판 번역명에서 가장 잘 준수되고 있는 법칙이다. 일판은 엔드가 エンド이고 영판은 코드가 code라서 조금 엇나간다.[8] 그래도 바렐의 특성인 붉은 색상 또한 공통적으로 띄고 있다. 단, 메인 덱 소환법인 탓인지 바렐로드 R 드래곤에서는 붉은기를 찾아볼 수가 없다.[9] 바렐 몬스터라는 조건이 없기에 토폴로직 등도 가능.[10] 상대 필드에 있는 모든 몬스터한테 1회씩 공격할 수 있는 효과.[11]Execution에는 실행, 처형 집행이라는 뜻이 있다.[12] 공격받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800 내린다. 발동하지 않는 지속 효과로 ②의 범위에 적용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