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5 21:27:05

K9(유희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ruby(K9, ruby=케이나인)]
<nopad> 파일:k917 리퍼 마크x.jpg
K9-17호 "Ripper"
<colbgcolor=#3E3D67> 한글판 명칭 [ruby(K9, ruby=케이나인)]
일어판 명칭 [ruby(K9, ruby=ケーナイン)]
영어판 명칭 K9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다양 다양 효과, 엑시즈
1. 개요2. 성능
2.1. 장점2.2. 단점
3. 효과 몬스터
3.1. 레벨 5
3.1.1. K9-17호 이즈나3.1.2. K9-66a호 요쿨3.1.3. K9-66b호 랜턴3.1.4. K9-ØØ호 루푸스3.1.5. K9-04호 노로이
4. 엑시즈 몬스터
4.1. 랭크 5
4.1.1. K9-17호 "Ripper"4.1.2. K9-ØØ호 "Hound"4.1.3. K9-666호 "Jacks"
4.2. 랭크 9
4.2.1. K9-EX "Werewolf"
5. 마법 카드
5.1. 속공 마법
5.1.1. K9-LC 레버레이션5.1.2. K9-EX 포스레버레이션
5.2. 지속 마법
5.2.1. "Case of K9"
6. 함정 카드
6.1. 일반 함정
6.1.1. K9-EW 익스페리멘틀 레버레이션
7. 같이 쓰면 좋은 카드

1. 개요

유희왕 덱 빌드 팩 수록 테마
크로스오버 브레이커즈 저스티스 헌터즈 팬텀 리벤저스
라이제올, M∀LICE, 룡화 드래곤테일, 야미, K9 헤카톤케일, 에니아크래프트, 킬러튠
拘束解除! K9, 対象を鎮圧します。
구속해제! K9, 대상을 진압합니다.
공식 홈페이지 소개 문구
덱 빌드 팩 저스티스 헌터즈에서 데뷔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캐치프레이즈는 어둠에 만연하는 악을 찢는 엑시즈 몬스터다!

모티브를 정리하자면 이하와 같다.

2. 성능

상대의 행동을 포착하여 진압에 박차를 가하는 엑시즈 소환 테마 등장! 랭크 5로 연결하여 반복적으로 세트되는 속공 마법으로 변신하듯이 엑시즈 소환을 반복하여 싸우자!

■선봉으로 나서서 견제로 이어지는 두 가지 효과로 상대의 행동을 제약하는 랭크 5 "Ripper"
■파괴에 대한 내성과 누적되는 파워 업, 그리고 제외 효과로 공격하는 랭크 5 "Hound"
■여러 번 공격하거나 상대의 효과에 반응해 제외하는 효과를 발동하는 랭크 9 "Werewolf"

── 2장의 랭크 5에서 속공 마법으로 랭크 9로 이어지는 전개로 노도의 연속 공격을 날리자!

2종류의 속공 마법은 변신시키는 것처럼 다른 「K9」 엑시즈 몬스터를 겹쳐서 불러내는 효과와 묘지로 보내진 후에도 필드에 세트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겸비하고 있다.
'리버레이션'은 랭크 5의 X 몬스터를 대상으로 변신시킬 수 있으며, 배틀 페이즈에 발동하여 변신시켜 연속 공격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포스 리버레이션'은 발동 타이밍은 자신과 상대 메인 페이즈이지만, 일련의 효과로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는 점이 강력하다.

4장의 레벨 5 몬스터는 그 전개력으로 랭크 5의 엑시즈 소환을 대폭적으로 서포트, 2장을 동시에 특수 소환할 수 있는 2장의 「66호」와 상대 메인 페이즈에도 자신의 특수 소환을 노릴 수 있는 2장의 몬스터를 활용하여 포진을 갖추자!

함정 카드도 강력해서 패와 묘지의 동료를 특수 소환하면서 그 위에 「K9」 엑시즈 몬스터를 겹쳐서 소환할 수 있고, 또 다른 효과로 묘지에 있는 속공 마법을 세트!
단숨에 전선을 재정비하고 반격에 나서자!
"K9" 몬스터의 공통 효과
①: 상대의 패가 2장 이상일 경우, 이 카드는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역사상 거의 없다시피했던 순수 랭크 5 엑시즈 카드군이다. 랭크 5는 아티팩트-듀란달, 오파츠 비마나, No.67 파라다이스매셔 등 견제는 의외로 갖출 것을 갖췄지만 같은 레벨의 상급 몬스터를 다량 전개해야 한다는 한계상 전개력이 부족하여 묻히는 경향이 있었다.

유희왕 역사를 돌아봐도 랭크 5는 아티팩트오파츠 정도밖에 적극 활용하지 않은 랭크로, 그나마도 4축을 주력으로 하면서 5축도 가능하다는 정도의 입지에 머물렀다. 특히 애니메이션 시리즈부터 푸쉬가 영 안 좋았다. 시초인 유희왕 ZEXAL에서는 오파츠를 제외하면 그나마 랭크 5의 격롱신 정도만이 비중 있게 활약을 했고, 그 외에는 RUM을 통해 등장인물 대다수가 주력인 랭크 4 몬스터를 랭크 5로 랭크업 해 소환하는 경우가 주였다. 이는 유희왕 ARC-V에서도 마찬가지.[6] 그에 따라 OCG에서도 애니메이션 기반 지원 카드들은 왠만해선 랭크 5를 지원하는 카드들이 나오지 않았으며, OCG 오리지널 카드군 중에서도 순수 랭크 5 덱은 출시되지 않았다. 게다가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로 4축 덱에서 넘버즈 이외의 랭크 5 엑시즈 몬스터를 자유로이 소환이 가능하게 된 후로는 정룡 출시 이후의 7축이 그러했듯 원인이 금지로 전송됐음에도 불구하고 5축 자체를 거의 푸시하지 않았다.

그래서 위에 말한 아티팩트축 오파츠를 빼면 융합을 주력으로 하는 사이버 드래곤에서 전용 몬스터인 노바-인피니티를 뽑거나, 최적화 이전의 ABC, SUDA 지원 이후의 크리스트론 또는 땅기계 제약이 강하게 걸리는 무한기동Earth Machine에서 쓰거나, 테라나이트 등의 레벨 조정 기믹 덱에서 일부만, 한정적으로 채용하는 것이 전부였다.[7]

K9의 핵심 기믹은 상대 패 / 움직임에 따른 전개제외를 통한 견제가 있다. 모든 메인 덱 몬스터들은 자체 패 특소 효과가 있으며, 루푸스 이외의 메인 덱 몬스터 3종은 상대 패가 2장 이상일 때 릴리스없이 일소할 수 있다. 그래서 전개 난이도는 생각보다 높지 않다. 또한 상대의 액션에 따라서 상대 카드의 효과를 무효로 만들거나, 상대의 카드를 제외하는 방식으로 견제한다. 특히 에이스 몬스터인 Werewolf는 상대 턴 한정이지만 상대의 패를 제외시켜버리는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다만 이 때문에 마르파 출시 전 엑소시스터처럼 상대 플레이에 의존하는 수동적인 면이 강하다.

또한 66호 카드들이 테마 스토리 상 적대 캐릭터로 보이는 루푸스 관련 엑시즈 몬스터의 속성인 빛 속성 엑시즈 몬스터의 사용에 제한을 건다. 랭크 5 카드풀이 그렇게 넓지 않은 와중에 파라다이스매셔, 아티팩트-듀란달, 오파츠 비마나 등 강력한 랭크 5 몬스터들은 빛 속성에 편중되어 있어 이들을 쓰기 힘드니 아쉬운 감이 있다. 그러기에 향후 랭크 5 엑시즈 몬스터의 카드풀이 넓어진다면 K9의 가치도 따라서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상대 턴에도 엑시즈 소환으로 방해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PSY프레임처럼 순수 테마보다 일부 카드만 패 트랩처럼 용병으로 채용하는 것이 더 강할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상대가 패 / 묘지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한 턴이면 이즈나는 후공 0턴에도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고, 이즈나의 효과로 루푸스를 덤핑하면 같은 조건 하에 소생할 수 있어 바로 필드에 레벨 5 2개체가 모이는데, 이러면 0턴에 몬스터 효과 1무효화, 몬스터 1장 비대상 제거 중 하나를 고르거나 혹은 루푸스만 로기어스텔라 티 폰에 태워서 상대의 고타점 몬스터의 효과를 봉쇄할 수 있다. 때문에 엑스트라 덱에 여유가 되는 일부 덱이 이즈나 + 루푸스만 패 트랩으로 빼갈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다.

실제로 발매 이후에는 순수 K9보다는 패 트랩 용병으로서 K9을 채용한 덱이 다수 입상하는 것이 환경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 K9이 5축 테마인 특성상 사이버 드래곤 등 레벨 5 몬스터 위주의 덱#과 궁합이 좋긴 하지만, 엑스트라 덱에 K9용 랭크5 엑시즈 몬스터를 넣을만한 덱들이면 어지간해선 PSY프레임기어 γ 같은 범용 패 트랩으로 넣고 쓸만한 것이다.

저스티스 헌터즈 발매 후~듀얼리스트 어드밴스 발매 전에는 K9을 용병으로 쓴 드래곤테일, 크리스트론 혼합 구축, 데먼스미스무공포탑-디세이블래스터 등을 이용하는 순수 구축 등이 주요 입상 기록을 남겼다. 자체적인 0턴 무브도 가능한 드래곤테일은 K9을 통해 선후공 밸런스를 모두 챙겨 1티어에 등극하였으며, K9크리스트론이나 순수K9도 둘 합쳐서 10%가 넘는 점유율을 2025년 4월에 기록하며 2티어권에 입성했다. 2티어권 중에서도 순수/크리스트론 축을 합쳐서 나머지 원석백룡, 하얀숲의 2배가 넘는 점유율을 선도하고있어 2티어 최상위권이다. 다만 지나치게 수동적인 순수 축보다는 자체적인 전개 플랜이 확고한 크리스트론+K9가 더 선전하고 있었다.

듀얼리스트 어드밴스 발매 이후에는 새롭게 지원받은 VS 혼합 구축이 서로의 장점을 극대화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최상위 티어로 등극했다. VS가 신규 지원으로 받은 레벨 5 몬스터 덕분에 K9의 5축 전개를 기동할 수 있으며, K9 몬스터들의 속성이 VS가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필요한 속성과 일치하는 것이다. 여기에 드래곤테일 역시 2티어를 유지하고 있고, 그 외 데먼스미스나 아르토메기아 등과 혼합한 K9도 소수 입상하고 있기 때문에 K9 채용률이 50%를 넘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환경 때문에 K9에게 상성상 유리한 덱빌팩 동기 야미가 1~2티어로 급부상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는 1장 초동 카드와 레버레이션 카드들의 밸류를 높여주는 엑시즈 몬스터를 지원받았다. VS 혼합구축의 파워업을 경계하는 한편, 순수 구축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지원이다.
파일: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로고.png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우승 덱
2024년 2025년 2026년
데먼스미스 유벨 K9 VS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5에서는 VS 혼합 구축이 주류인 가운데 크리스트론 혼합 구축도 등장하며 11명이 K9 혼합형 덱을 사용했고, K9VS가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TCG권에서 금제를 많이 먹였는데 K9자체는 발매가 얼마안되서 재제먹일수 없었기에 크리스트론은 인클루전 제한, 뱅키시는 라젠하고 스테이크소울을 제한먹여서 혼합구축을 완전히 죽여버렸다.
이후 OCG에서도 요쿨이 제한, 이즈나가 준제한을 먹고, 뱅키시 소울 쪽도 라젠을 제한 먹였다.

2.1. 장점

2.2. 단점

3. 효과 몬스터

3.1. 레벨 5

3.1.1. K9-17호 이즈나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13기 메타 범용 패 트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단발 효과 필드의 묘지의 특정
카드 제거 유령토끼
원시생명체 니비루
D.D. 크로우
비스테드
부유벚꽃
카드 효과 무효 - 스컬 마이스터 하루 우라라
저택 와라시
환창룡 판타즈메이
도미나스 퍼지
도미나스 임펄스
몬스터 효과 무효 무한포영
이펙트 뵐러
사요 시구레
- PSY프레임기어 γ(감마)
함정 발동 무효 레드 리부트 -
랭크 5 엑시즈 몬스터 소환 - K9-17호 이즈나
잔존 효과 증식의 G
디멘션 어트랙터
아티팩트-롱기누스
드롤 & 로크 버드
마루챠미
①: 일반적으로 마그나무트 > 드루이드브룸 > 발드레이크 순의 우선 순위로 원하는 만큼 투입한다.
②: 일반적으로 후와로스를 우선 투입하고, 푸루리아 / 냐루스는 메타에 따라 사이딩한다.
★: 발동을 무효로 하는 계열로, 이 카드로 무효가 될 경우 '발동' 카드명 턴제에 걸리지 않는다.
☆: 상대가 패 / 묘지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한 턴 한정으로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후 관련 카드의 효과를 전부 사용하면 랭크 5 엑시즈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

파일:K9-17号 イヅ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ruby>K9<rp>(</rp><rt>케이나인</rt><rp>)</rp></ruby>-17호 이즈나,
일어판 명칭=<ruby>K9<rp>(</rp><rt>ケーナイン</rt><rp>)</rp></ruby>-17<ruby>号<rp>(</rp><rt>ごう</rt><rp>)</rp></ruby> イヅナ,
영어판 명칭=K9-17 Izuna,
레벨=5,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2100, 수비력=16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의 패가 2장 이상일 경우\, 이 카드는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상대가 패 / 묘지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한 자신 / 상대 턴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K9-17호 이즈나" 이외의 "K9"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display:non제네시스=e'>[[제네시스 룰|
제네시스 룰
]]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
20점

쇠족제비 수인. 이름인 이즈나 자체가 일본어로 쇠족제비를 뜻한다.

②의 효과는 상대가 패/묘지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시킨 메인 페이즈에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유발 즉시 효과. 내 턴이었다면 상대 패 트랩에 감응하는 추가 공격권으로, 상대 턴이었다면 그냥 상대 전개효과에 감응하는 견제 공격권으로 기능할 수 있는 고성능 효과.

③의 효과는 덤핑. 자가소생이 가능한 루푸스를 덤핑하자. 특히나 ②의 효과로 꺼내진 이즈나라면 자연스레 루푸스를 꺼낼 조건도 충족된다. 루푸스 말고도, 패에 랜턴이 있다면 랜턴으로 소생시키고 싶은 몬스터를 덤핑하여도 된다.

위의 두 효과가 적절하게 어우러지는 K9의 초동으로, 특히나 루푸스의 효과까지 감안하면 0턴 움직임의 시동도 걸어줄 수 있다. 레벨이 5라 증원에는 대응하지 않지만, 그래도 바바리안 에코즈에는 대응한다.

발매 이후에는 K9뿐만 아니라 여러 덱에서 루푸스와 함께 상대턴에 5축 엑시즈를 꺼내는 패 트랩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OCG에서 2025년 10월 준제한 카드로 지정되었다.
파일:GmOSHydacAEBWqS.jpg
설정화[13]
설정화에 따르면 모티브 동물은 족제비, 몬스터 모티브는 카마이타치. 리미터를 해제하면 진화체인 K9-17호 "Ripper"가 된다.
수록 시리즈
2025-03-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JP031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ジャスティス・ハンターズ -
2025-06-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KR031 | 저스티스 헌터즈
2025-08-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SH-EN031 | Justice Hunters

3.1.2. K9-66a호 요쿨

파일:K9-66a号 ヨク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ruby>K9<rp>(</rp><rt>케이나인</rt><rp>)</rp></ruby>-66a호 요쿨,
일어판 명칭=<ruby>K9<rp>(</rp><rt>ケーナイン</rt><rp>)</rp></ruby>-66a<ruby>号<rp>(</rp><rt>ごう</rt><rp>)</rp></ruby> ヨクル,
영어판 명칭=K9-66a Jokul,
레벨=5, 속성=어둠, 종족=물족, 공격력=2000, 수비력=19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의 패가 2장 이상일 경우\, 이 카드는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패의 이 카드와 패의 레벨 5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그 2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빛 속성 엑시즈 몬스터의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할 수 없다.,
효과3=③: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물족 이외의 "K9"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display:non제네시스=e'>[[제네시스 룰|
제네시스 룰
]]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
13점

②의 효과는 동시전개 효과. 소환권을 소모하지 않은 채 레벨 5를 2마리나 늘어놓을 수 있는 전개 효과로 이 때문에 빛 속성 엑시즈 소재로 쓸 수 없다는 제약이 붙었다.
오파츠 비마나라는 빛 속성이며 괜찮은 견제 능력을 가진 착지점을 쓰기 힘들다는 건 아쉽다. 어디까지나 K9에서는 리퍼를 꺼내기 위해 쓰는 몬스터. 혹은 아예 다른 소환의 소재로 써먹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랜턴과 조합하여 카오스 앙헬-혼돈의 쌍익-을 꺼낸다던지, 아니면 그냥 무난하게 링크 2를 꺼낸다던지 하는 활용이 가능하다.

③의 효과는 서치. 모든 K9 몬스터들은 특수 소환 수단을 갖췄으므로 어느 카드를 서치해도 유용하다.

간단한 소환, 전개력 증강, 강력한 서치 효과까지 모두 갖춰 상당히 유용한 카드로 평가받는다. 이 때문에 이즈나와 함께 K9가 금제를 먹을 경우의 제재대상 1순위로 꼽히고 있으며, 결국 10월에 제한 판정을 받았다.

이름 요쿨(Jökull)은 아이슬란드어로 빙하를 뜻한다. 랜턴의 불과 대비되는데 이로 보아 잭 프로스트도 일정부분 모티브로 둔 듯.
수록 시리즈
2025-03-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JP032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ジャスティス・ハンターズ -
2025-06-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KR032 | 저스티스 헌터즈
2025-08-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SH-EN032 | Justice Hunters

3.1.3. K9-66b호 랜턴

파일:K9-66b号 ランタ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ruby>K9<rp>(</rp><rt>케이나인</rt><rp>)</rp></ruby>-66b호 랜턴,
일어판 명칭=<ruby>K9<rp>(</rp><rt>ケーナイン</rt><rp>)</rp></ruby>-66b<ruby>号<rp>(</rp><rt>ごう</rt><rp>)</rp></ruby> ランタン,
영어판 명칭=K9-66b Lantern,
레벨=5, 속성=어둠, 종족=화염족, 공격력=2000, 수비력=19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의 패가 2장 이상일 경우\, 이 카드는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화염족 이외의 자신 묘지의 레벨 5인 "K9"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빛 속성 엑시즈 몬스터의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할 수 없다.,
효과3=③: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K9"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②의 효과는 위의 요쿨과 특수 소환처만이 다를 뿐 비슷한 효과이다. 이쪽은 묘지에서 꺼내는데 그래서 묘지 자원이 있을 필요가 있다.

③의 효과는 마함 서치. 속공 마함이나 함정이나 모두 엑시즈 몬스터를 꺼내는 데에 쓰인다.

모티브는 잭 오 랜턴이다. 요쿨의 빙하와 대비된다.
수록 시리즈
2025-03-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JP033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ジャスティス・ハンターズ -
2025-06-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KR033 | 저스티스 헌터즈
2025-08-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SH-EN033 | Justice Hunters

3.1.4. K9-ØØ호 루푸스

파일:K9-00号 ルプ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ruby>K9<rp>(</rp><rt>케이나인</rt><rp>)</rp></ruby>-<ruby>ØØ<rp>(</rp><rt>제로</rt><rp>)</rp>호 루푸스,
일어판 명칭=<ruby>K9<rp>(</rp><rt>ケーナイン</rt><rp>)</rp></ruby>-<ruby>ØØ<rp>(</rp><rt>ゼロ</rt><rp>)</rp>号<rp>(</rp><rt>ごう</rt><rp>)</rp></ruby> ルプス,
영어판 명칭=K9-ØØ Lupis,
레벨=5, 속성=땅, 종족=야수전사족, 공격력=2300, 수비력=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가 패 / 묘지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한 자신 / 상대 턴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효과2=②: 상대 턴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포함하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소재로서 엑시즈 소환을 실행한다.,
효과3=③: 이 카드를 소재로서 가지고 있는 엑시즈 몬스터는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4=●상대는 이 카드를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display:non제네시스=e'>[[제네시스 룰|
제네시스 룰
]]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
5점


늑대 수인. 이름의 루푸스는 라틴어로 늑대를 뜻한다. 번호인 00은 제로라고 읽는다.

①의 효과는 이즈나의 ②의 효과와 유사하지만 이쪽은 묘지에서도 꺼낼 수 있다. 즉 조건이 되면 자가소생이 가능하다. 이즈나는 이 카드를 덤핑할 수 있어 매우 궁합이 좋으며 이즈나의 ②의 효과를 발동시켰으면 저절로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이어져 레벨 5 몬스터를 2마리 늘어놓을 수 있게 된다. 이 방식으로 소환하면 필드에서 벗어날 때 제외되지만 엑시즈 소재로 쓰면 그만이다.

②의 효과는 상대 턴 엑시즈. 자신을 소재로 포함해야 한다는 점만 빼면 자유롭게 엑시즈 소환을 실행할 수 있다. 로기어스텔라 티 폰도 이 효과로 인해 조건만 맞춰졌다면 이 카드 하나만으로 꺼낼 수 있으며, 대상 내성까지 더해져 파괴력은 갑절이다. 상대 턴에 꺼내므로 자턴 전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도 좋다.

③의 효과는 효과 대상 내성 부여. 대상 제거나 대상 무효를 안정적으로 피해갈 수 있다. 특히 Hound는 특소 턴에 파괴 내성을 얻기에 이 내성까지 더해지면 돌파가 매우 힘들어진다.

이름의 00에 가위표가 그려져 있는 점과 66호 몬스터들이 이 카드 관련 엑시즈를 못 쓰게 하는 점, 그리고 폭주하는 듯한 모습으로 보아 SPYRAL의 보텍스처럼 테마군 카드들과 적대하는 캐릭터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25-03-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JP034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ジャスティス・ハンターズ -
2025-06-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KR031 | 저스티스 헌터즈
2025-08-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SH-EN031 | Justice Hunters

3.1.5. K9-04호 노로이

파일:K9-04号 咒.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ruby>K9<rp>(</rp><rt>케이나인</rt><rp>)</rp></ruby>-04호 노로이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K9<rp>(</rp><rt>ケーナイン</rt><rp>)</rp></ruby>-04<ruby>号<rp>(</rp><rt>ごう</rt><rp>)</rp></ruby> <ruby>咒<rp>(</rp><rt>ノロイ</rt><rp>)</rp></ruby>,
영어판 명칭=K9-04 Noroi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5,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22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의 패가 2장 이상일 경우\, 이 카드는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기계족 이외의 "K9(케이나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자신은 "K9(케이나인)"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3=③: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K9(케이나인)"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패를 전부 확인한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display:non제네시스=e'>[[제네시스 룰|
제네시스 룰
]]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
10점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 추가된 여우 수인. 이름인 노로이는 일본어로 저주를 뜻한다.

②의 효과는 아이스 라이제올같은 일반 소환 유발 덱특소. 이에 의해 이 카드와 Case가 순수 K9 덱의 1장 초동이 되었다. 이에 대해 패 트랩을 던지려 해도 상대는 이즈나와 루푸스의 존재를 신경쓸 수밖에 없기에 무한포영이나 도미나스 임펄스 같은 카드가 아닌 이상 통과할 확률이 높다. 이 카드로 덱에서 불러내는 K9 몬스터가 있으면 엑스트라 덱에서 K9 밖에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지만, 이 제약 안에서 소환할 수 있는 Ripper가 우수한 몬스터이고, 덱에서 불러내는 몬스터는 효과가 무효화되지 않으며 덤핑, 서치 등 밸류가 높기에 상황을 봐가면서 쓸 수 있다. 기계족을 소환할 수 없다는 제약이 붙어 있지만 DOOD 시점에서 기계족 K9 카드는 이 카드 단 한 장 뿐이기에 실질적으로는 동명 카드를 소환하지 못하게 막는 제약이다.

③의 효과는 피핑. 상대의 전략 확인과 함께 이즈나 / 루푸스의 효과를 발동시킬 최적의 타이밍을 재볼 수도 있으며, 자기 자신도 묘지로 보낼 수 있기에 ②를 통한 전개가 막혀도 패에 랜턴이 있다면 이어나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 카드로 덱에서 불러낸 K9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엑스트라 덱 K9 제한을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묘지로 보내고 발동하는 효과이기에 Case의 파괴 유발 효과는 기동하지 않으니 주의.

그리고 이 카드는 특수 소환되는 효과가 없기에 일반 소환권을 쓰는 다른 카드와 충돌하고, 다른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하더라도 피핑 효과밖에 사용할 수 없다. [14]

Case of K9를 사용하지 않았거나, 패에 추가로 아무 레벨 5 몬스터가 있다면 이 카드 1장의 일반 소환으로 Ripper와 4장의 레벨 5 몬스터를 필드에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노로이 일반 소환, 효과로 요쿨 덱에서 특수 소환, 요쿨 효과로 덱에서 랜턴 서치
2. 노로이와 요쿨로 Ripper 엑시즈 소환, Ripper 효과로 노로이를 제거하고 덱에서 요쿨 서치
3. 랜턴 효과 발동, 패의 랜턴과 묘지의 요로이를 특수 소환 (이 둘로 빛 속성 엑시즈는 소환 불가)
4. 요쿨의 효과로 패의 아무 레벨 5 몬스터와 함께 특수 소환 or 랜턴 효과로 Case of K9를 서치하고 Case of K9로 K9 몬스터를 서치해 요쿨의 효과로 K9 몬스터와 함께 특수 소환 (이 둘로 빛 속성 엑시즈는 소환 불가)

응용으로 2.에서 요쿨 대신 이즈나를 서치하거나 랜턴 효과로 Case of K9 대신 레버레이션 속공 마법을 서치해 1~2 방해를 준비할 수 있다.

특이하게 주술사 콘셉트임에도 종족은 기계족이다. 때문에 기계장치의 밤-클락 워크 나이트-나 무한기동 리바스톰의 효과로 이 카드를 서치해올 수도 있어서 원래도 기장밤과 K9를 같이 채용하던 사이버 드래곤의 경우 고질적인 약점 일소권인 코어 대신 이 카드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구축이 나왔으며, 땅기계에서의 활용도 연구되고 있다. 여담으로 노로이의 한자는 신자체가 아닌 중국어 간체자로 표기했다.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25 | ドゥーム・オブ・ディメンションズ [ DOOM OF DIMENSIONS ]

4. 엑시즈 몬스터

4.1. 랭크 5

4.1.1. K9-17호 "Ripper"

유희왕 OCG의 덱 빌드 팩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0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nopad> 스피릿 워리어즈 <nopad> 다크 세이비어즈 <nopad> 히든 서머너즈
그림자 여섯 무사-리한
마탄환의 악마 자미엘
홍천후 아르시엘
알담피르-뱀파이어 쉐리단
공아단의 영웅 라팔
섬도희-카가리
염황신-네프티스
프랭키즈 하우스버틀러
우아함의 마요괴-요호
<nopad> 인피니티 체이서즈 <nopad> 미스틱 파이터즈 <nopad> 시크릿 슬레이어즈
무한기동 어스셰이커
주안의 왕 자라키엘
위치크래프트마스터 베르
염참기 파이널시그마
영원의 제너레이드 오르무간드
드래곤메이드 하스키
황금경 엘드리치
아다마시아 라이즈-드라가이트
육화성 티어드롭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1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nopad> 제네시스 임팩터즈 <nopad> 에인션트 가디언즈 <nopad> 그랜드 크리에이터즈
드라이트론-메테오니스=DRA
마기스토스 드래곤 바흐람
Evil★Twins 키스킬 리일라
베어루크티-셉텐=트리온
명세계신-오그도어비스
도도레미코드 쿨리아
Uk-P.U.N.K. 어메이징 드래곤
성전의 수견사 / 유적의 마광전사 / 방랑의 그리폰라이더
엑소시스터 미카에리스
<nopad> 택티컬 마스터즈 <nopad> 어메이징 디펜더즈 <nopad> 와일드 서바이버즈
밸리언츠의 취-마모나카
루닉의 샘
백은 성의 라뷰린스
R-ACE 터뷸런스
엑스퓨어리 하피니스
오오히메의 미캉코
초월룡 메테오로스
VS 카이저 바리우스
바그리엘 드 누밸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2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nopad> 밸리언트 스매셔즈 <nopad> 크로스오버 브레이커즈 <nopad> 저스티스 헌터즈
명해합룡-메멘토랄 테쿠틀리카
센츄리온 에메트VI
데모네 바르모니카 / 안젤로 바르모니카
라이제올 데드네이더
M∀LICE<Q>HEARTS OF CRYPTER
창성룡화-광파
드래곤테일 알자리온
야미★스내치
캡시☆야미 / 쿠키☆야미 / 롤리포☆야미
K9-17호 "Ripper"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3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nopad> 팬텀 리벤저스
헤카톤케일 자우저
에니아크래프트-Atoriϝ.MAR
킬러튠 레드씰
}}}}}}}}} ||
파일:K9-17号 “Ripper”.jpg 파일:K917Ripper-JUSH-EN-SR-1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ruby>K9<rp>(</rp><rt>케이나인</rt><rp>)</rp></ruby>-17호 “<ruby>Ripper<rp>(</rp><rt>리퍼</rt><rp>)</rp></ruby>”,
일어판명칭=<ruby>K9<rp>(</rp><rt>ケーナイン</rt><rp>)</rp></ruby>-17<ruby>号<rp>(</rp><rt>ごう</rt><rp>)</rp></ruby> “<ruby>Ripper<rp>(</rp><rt>リッパー</rt><rp>)</rp></ruby>”,
영어판명칭=K9-17 "Ripper",
레벨=5, 속성=바람, 종족=전사족, 공격력=2300, 수비력=1800,
소재=레벨 5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K9"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턴에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한 경우\, 추가로 자신의 덱 / 묘지에서 "K9" 속공 마법 카드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할 수 있다.,
효과2=②: 상대가 패 / 묘지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했을 때\,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를 무효로 한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display:non제네시스=e'>[[제네시스 룰|
제네시스 룰
]]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
20점


덱 빌드 팩
저스티스 헌터즈의 커버 카드. 이즈나가 리버레이션을 통해 조금 더 쇠족제비에 가까워진 모습. 이름인 리퍼는 찢는 자라는 의미로, 그 의미대로 팔에 거대한 칼날을 달고 있고, 팔에 칼날을 단 족제비라는 것을 봤을 때 카마이타치에서도 모티브가 들어간 듯 하다.

①의 효과는 K9 서치. 간편하지만 매우 유용한 효과로, 몬스터들은 모두 자가적인 소환 수단을 갖추고 있어 K9에서의 중요성이 매우 높다. 여기에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다면 속공 마법을 세트하여 상대 턴에 웨어울프로의 진화를 노릴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패/묘지의 몬스터 효과 퍼미션. 즉 이 카드를 세워놓으면 패 트랩은 케어된다. 패 트랩뿐만이 아니라 라이제올, 스프라이트 등의 룰 특수 소환 주력이 아니면 거의 반드시 전개중에 패/묘지에서의 효과를 발동해 거치므로 상대 턴에도 실질적인 견제로써 기능한다. 효과를 퍼미션하니만큼, 이 효과로 퍼미션해도 "발동했다"는 사실은 남아 이즈나/루푸스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설정화에 따르면 이즈나의 진화체로, 양팔에 튀어나온 칼날 무기는 '바이오 블레이드(バイオブレード)'라고 부른다.
수록 시리즈
2025-03-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JP035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ジャスティス・ハンターズ -
2025-06-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KR035 | 저스티스 헌터즈
2025-08-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SH-EN035 | Justice Hunters

4.1.2. K9-ØØ호 "Hound"

파일:K9-00号 “Hound”.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 명칭=<ruby>K9<rp>(</rp><rt>케이나인</rt><rp>)</rp></ruby>-<ruby>ØØ<rp>(</rp><rt>제로</rt><rp>)</rp>호 “<ruby>Hound<rp>(</rp><rt>하운드</rt><rp>)</rp></ruby>”,
일어판 명칭=<ruby>K9<rp>(</rp><rt>ケーナイン</rt><rp>)</rp></ruby>-<ruby>ØØ<rp>(</rp><rt>ゼロ</rt><rp>)</rp>号<rp>(</rp><rt>ごう</rt><rp>)</rp></ruby> “<ruby>Hound<rp>(</rp><rt>ハウンド</rt><rp>)</rp></ruby>”,
영어판 명칭=K9-ØØ "Hound",
레벨=5, 속성=빛, 종족=야수전사족, 공격력=2500, 수비력=2500,
소재=레벨 5 몬스터 × 2,
효과1=①: 이 카드는 특수 소환된 턴에는 전투 및 상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때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효과3=③: 자신 / 상대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제외한다.)]

이쪽은 루푸스의 본모습으로 보이며, 정말 정석적인 늑대인간의 모습이다. 이름인 하운드는 사냥개라는 의미.

빛 속성이라 요쿨과 랜턴의 효과로 나온 몬스터들로는 이 카드를 못 꺼낸다. 그 점에서 리퍼보다는 조금 꺼내기 어렵다.

①의 효과는 소환된 턴 동안 전투/효과 파괴 내성. 루푸스를 소재로 하면 여기에 효과 대상 내성까지 붙어 대상 비지정 비파괴 견제가 아니면 뚫리지 않는 산이 된다.

②의 효과는 몬스터 효과를 발동할 때마다 타점 상승. 상대 턴에 나오면 타점 상승량은 높지만 전투로 안 터지니 공격력 높은 게 큰 의미가 없고 ①의 효과가 끝난 뒤면 내성이 약해 제거당할 우려가 크고 반대로 자기 턴에 나오면 효과가 여러번 격발하기 쉽지 않아서 큰 기대를 못한다. 어디까지나 덤.

③의 효과는 스탠바이 페이즈시에 카드 제외. 스탠바이 페이즈시라 굉장히 애매한 타이밍이다. 즉, 마함을 통해 상대 턴에 루푸스를 꺼내겠다면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해야 제 기능을 낼 수 있다.

주로 루푸스를 소재로 해 후공에 나와 아제우스를 올리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루푸스가 변신한 모습답게 루푸스로 상대 턴에 꺼내 파괴 내성과 대성 내성으로 상대 턴을 버티고 다음 자신 턴에 3번 효과로 상대 필드를 파괴한 뒤 2번 효과로 올라간 공격력으로 역공을 하는 디자인이 되어 있다.
수록 시리즈
2025-03-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JP036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ジャスティス・ハンターズ -
2025-06-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KR036 | 저스티스 헌터즈
2025-08-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SH-EN035 | Justice Hunters

4.1.3. K9-666호 "Jacks"

파일:K9-666号 “Jacks”.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 명칭=<ruby>K9<rp>(</rp><rt>케이나인</rt><rp>)</rp></ruby>-666호 “<ruby>Jacks<rp>(</rp><rt>잭스</rt><rp>)</rp></ruby>”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K9<rp>(</rp><rt>ケーナイン</rt><rp>)</rp></ruby>-666<ruby>号<rp>(</rp><rt>ごう</rt><rp>)</rp></ruby> “<ruby>Jacks<rp>(</rp><rt>ジャックス</rt><rp>)</rp></ruby>”,
영어판 명칭=K9-666 "Jack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5,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2600, 수비력=2500,
소재=레벨 5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했을 경우\, 또는 상대가 패 / 묘지의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엑시즈 소재로 하고 있는 "K9(케이나인)" 엑시즈 몬스터는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3=●상대가 패 / 묘지의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한 턴에\, 이 카드가 상대에게 주는 전투 데미지는 배가 된다.)]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 지원받은 K9 엑시즈 몬스터.

①의 효과는 엑시즈 소환 또는 상대 패/묘지에서 몬스터 효과 발동 시 소재 1개를 제거하고 필드 몬스터 1장을 지정해 파괴하는 효과. 패 / 묘지의 몬스터 효과를 방해하는 효과는 그 효과를 아예 무효화하는 Ripper 보다는 떨어지지만, 이 카드는 엑시즈 소환할 때도 파괴 효과를 쓸 수 있으므로, 포스 레버레이션과 달리 발동 타이밍은 여유롭지만 방해 효과가 없는 테마의 속공 마법인 LC 레버레이션과 엑시즈 몬스터 없이도 패/묘지의 K9 몬스터로도 기동하지만 방해 효과가 없는 함정 카드인 익스페리멘탈 레버레이션에 실질적으로 파괴 효과를 추가해 주기에 이 둘의 가치를 높여 준다.

반대로 포스 레버레이션을 채용한 덱에서도, 기존의 비대상 1파괴에 더해 몬스터 대상 1파괴까지 카드 1장으로 날릴 견제의 수가 늘어나므로 그 가치는 높다. 포스 레버레이션으로는 거슬리는 후열을 찌르고 이 카드로 전열을 짜르는 식과 같이 다양한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

②의 효과는 이 카드를 소재로 하고 있는 K9 엑시즈 몬스터는 상대 패/묘지에서 효과를 발동한 턴에 주는 전투 데미지를 배로 뻥튀기시키는 효과. 2소재로 소환한 이 카드가 Werewolf의 소재가 되고 조건이 만족되면 공격력 3300 + 3회 공격 + 전투 데미지 2배로 최대 19800의 천배룡 안 부러운 뎀딜량을 가지게 된다. 같은 K9 엑시즈 몬스터의 소재가 되는 방법은 사실상 레버레이션 속공 마법 카드들 뿐이므로, 레버레이션 속공 마법들의 가치를 증가시키는 셈이다.

엑스페리멘탈 리버레이션에서 예고한대로 요쿨과 랜턴이 합쳐진 모습으로 66에서 666으로 변경되었다. 666은 악마의 숫자이기에, 종족도 악마족으로 바뀌었으며 이름 역시 이 둘의 모티브인 잭 프로스트잭 오 랜턴에서 따온 것이다. 잘 보면 노로이의 부적이 흩날리고 있고 노로이의 끈이 양 팔과 가슴에 부착되어 있는 모습으로 보아 같이 등장한 노로이에 의해 합쳐지고 조종되는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47 | ドゥーム・オブ・ディメンションズ [ DOOM OF DIMENSIONS ]

4.2. 랭크 9

4.2.1. K9-EX "Werewolf"

파일:K9-EX “Werewolf”.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 명칭=<ruby>K9<rp>(</rp><rt>케이나인</rt><rp>)</rp></ruby>-EX “<ruby>Werewolf<rp>(</rp><rt>웨어울프</rt><rp>)</rp></ruby>”,
일어판 명칭=<ruby>K9<rp>(</rp><rt>ケーナイン</rt><rp>)</rp></ruby>-EX “<ruby>Werewolf<rp>(</rp><rt>ウェアウルフ</rt><rp>)</rp></ruby>”,
영어판 명칭=K9-X "Werewolf",
레벨=9, 속성=빛, 종족=야수전사족, 공격력=3300, 수비력=2500,
소재=레벨 9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엑시즈 소재를 가지고 있는 이 카드는\, 그 수까지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공격할 수 있다.,
효과2=②: 상대가 효과를 발동했을 때\,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 턴에 따라 이하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효과3=●자신 턴: 상대의 필드 및 묘지의 카드를 각각 1장까지 제외한다.,
효과4=●상대 턴: 상대의 패를 확인하고\, 그 중의 1장을 골라 엔드 페이즈까지 앞면으로 제외한다.)]

K9의 에이스 몬스터로, Hound(루푸스)가 포스 리버레이션을 통해 완전히 야성을 드러낸 모습이다. 변화 전이였던 하운드, 즉 사냥개는 늑대 종이 가축화되어 야성이 거세된 것인데, 웨어울프에서 완전히 그 야성이 드러난 것으로 풀이된다. 테마 이름의 K9에 맞게 9축이 된 건 덤.

다른 K9과 다르게 이쪽은 9축인데, K9은 5축이라 정석적인 방법으론 꺼낼 수 없고 마함으로 꺼내야 한다. 반면 9축 입장에선 효과가 범용적이니 미라지포트리스 엔터프라즈닐과 비슷한 감각으로 범용 9축 엑시즈로써 쓸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소재 수만큼 공격. 이 카드 타점은 3300으로 높아 어태커로써도 제성능을 낼 수 있다. 엑시즈 소재를 가지고 있는 동안에만 적용되는 효과라, 소재가 없다 해도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1회 공격은 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상대가 효과를 발동할 때 발동한 턴에 따라 제거 효과를 적용할 수 있는 효과. 그 효과는 다음과 같다.
다만 ②의 효과의 트리거는 상대방이 효과를 발동해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수동적에 트리거 효과는 여전히 통과되므로 상황에 따라 이쪽이 위험해질 수 있다.
수록 시리즈
2025-03-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JP037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ジャスティス・ハンターズ -
2025-06-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KR037 | 저스티스 헌터즈
2025-08-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SH-EN037 | Justice Hunters

5. 마법 카드

5.1. 속공 마법

5.1.1. K9-LC 레버레이션

파일:K9-LC拘束解除.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ruby>K9<rp>(</rp><rt>케이나인</rt><rp>)</rp></ruby>-LC 레버레이션,
일어판 명칭=<ruby>K9<rp>(</rp><rt>ケーナイン</rt><rp>)</rp></ruby>-LC<ruby>拘束解除<rp>(</rp><rt>リベレイション</rt><rp>)</rp></ruby>,
영어판 명칭=K9-LC Release Restraint,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K9" 엑시즈 몬스터 또는 랭크 5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 몬스터와는 카드명이 다른 "K9"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 몬스터의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으로 취급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의 "K9"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한 턴의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발동할 수 있다. 묘지의 이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카드명은 구속해제라고 쓰고 리버레이션이라고 읽는다. LC는 Limited Control(제한된 통제)의 줄임말로 추정된다.

①의 효과는 K9 전용 RUM. 5축 엑시즈인 K9에서 9축인 웨어울프를 주로 이 방법을 통해 꺼낼 것이다. 웨어울프 말고도 여러 K9 엑시즈 몬스터로 변환할 수 있다.포스 리버레이션과는 다르게 다른 5랭크 엑시즈 몬스터를 대상으로도 사용 할 수 있으며, 메인페이즈 이외의 페이즈에도 발동이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자가 세트.

일러스트는 이즈나가 Ripper로 변신하는 모습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25-03-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JP038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ジャスティス・ハンターズ -
2025-06-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KR038 | 저스티스 헌터즈
2025-08-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SH-EN038 | Justice Hunters

5.1.2. K9-EX 포스레버레이션

파일:K9-EX強制解除.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ruby>K9<rp>(</rp><rt>케이나인</rt><rp>)</rp></ruby>-EX 포스레버레이션,
일어판 명칭=<ruby>K9<rp>(</rp><rt>ケーナイン</rt><rp>)</rp></ruby>-EX<ruby>強制解除<rp>(</rp><rt>フォースリベレイション</rt><rp>)</rp></ruby>,
영어판 명칭=K9-X Forced Releas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자신 필드의 "K9"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 몬스터와는 카드명이 다른 "K9"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 몬스터의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으로 취급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의 "K9"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한 턴의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발동할 수 있다. 묘지의 이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카드명은 강제해제라고 쓰고 포스 리버레이션이라고 읽는다.

리버레이션보다는 소재와 타이밍이 빡빡하지만 대신 이후에 비대상파괴가 달려있다.

일러스트는 Hound가 Werewolf로 변신하는 모습으로, 뒤에 보름달이 떠 있어 정석적인 늑대인간 클리셰를 따르고 있다.
수록 시리즈
2025-03-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JP039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ジャスティス・ハンターズ -
2025-06-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KR039 | 저스티스 헌터즈
2025-08-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SH-EN039 | Justice Hunters

5.2. 지속 마법

5.2.1. "Case of K9"

파일:“Case of K9”.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ruby>Case<rp>(</rp><rt>케이스</rt><rp>)</rp></ruby> <ruby>of<rp>(</rp><rt>오브</rt><rp>)</rp></ruby> <ruby>K9<rp>(</rp><rt>케이나인</rt><rp>)</rp></ruby>”,
일어판 명칭=“<ruby>Case<rp>(</rp><rt>ケース</rt><rp>)</rp></ruby> <ruby>of<rp>(</rp><rt>オブ</rt><rp>)</rp></ruby> <ruby>K9<rp>(</rp><rt>ケーナイン</rt><rp>)</rp></ruby>”,
영어판 명칭="A Case for K9",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덱에서 "K9"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효과2=②: 상대가 패 / 묘지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한 턴에\, 자신 필드의 "K9" 몬스터의 공격력은 900 올린다.,
효과3=③: 마법 / 함정 존의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K9" 속공 마법 카드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K9 몬스터 카드의 배경이 그려진 지속 마법.

①의 효과는 발동시 서치 효과. 무난한 초동이며 공격권의 역할을 한다. 가장 무난한 카드는 1장 초동이 가능한 노로이. 또, 노로이와 이 카드를 같이 들고 있다면 노로이가 견제당했을 때 관통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쿨을 주로 서치하게 될 것이다. 요쿨이 이미 패에 있으면 그 다음가는 카드인 이즈나를 서치하게 될 것이다.

②의 효과는 K9 공통의 특징인 상대의 패/묘지의 몬스터 효과 발동에 반응하는 효과. 공격력을 900 올리는데, 꽤 높은 타점이라 기본적으로 5축 덱이기에 하급 몹에게 지지는 않던 몬스터들이 상급은 물론이오 최상급과 싸울 타점이 된다. 엑시즈 몬스터들은 더 나아가서 타점이 3000이 넘어가게 되므로 최상급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보장할 수 있다. 합이 잘 맞으면 공격력 4200인데다 2-3회 어택 가능한 "Werewolf"도 만들 수 있다.

③의 효과는 파괴 시 덱/묘지에서 속공 마법을 세트하는 보험 효과. K9은 능동적으로 이 카드를 파괴하기 힘들고, 노로이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하기에 사실상 보험용이다. 그나마 크리스트론과 섞은 축에서 설퍼프너의 효과로 터뜨리고 포스 레버레이션을 가져올 수 있겠다. 연구로 인해 네필 어사일럼 헤트 나이트 - 마스커레이드 매지션 샤이닝 소재 - 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 - 마스커레이드 매지션 엄브럴로 엄브럴 효과로 이 카드를 파괴하고 레버레이션을 세트하는 콤보가 보이고 있다. 이 경우 LC 레버레이션을 가져와 파괴될 엄브럴을 잭스 1파괴로 치환 가능하다.

카드명은 "K9 사건"이라는 뜻이다. 한편, 영어판에서는 일본어판의 영어 표현과는 다른 표현인 "A Case for K9"으로 출시되었다. Case라는 영단어는 '(물건을 담는) 상자/케이스'와 '사건, 경우'라는 뜻을 모두 담고 있다. 이 카드의 테마는 K9와 관련된 '미스테리' 내지는 '사건'을 풀어나간다는 배경이 깔려 있는데, 일본어판에 쓰인 영어 표현 'Case of K9'은 'K9이 들어있는 상자/케이스'라는 뜻으로 풀이될 수 있어 영미권 유저들에게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다. 따라서 '사건, 경우'라는 뜻으로 이용될 때 쓰이는 전치사 'for'로 대체하였고, 덤으로 명사 앞에 부정관사까지 붙임으로서 영어 본연의 맛을 더했다.
파일:Gxw7O_eXIAA9LQi.jpg
설정화
K9의 배경에 관하여
<근미래 도시의 뒷골목 및 하수도>

복잡한 뒷골목이나 어두운 하수도 같은, 뮤턴트 범죄자의 능력이 최대한 발휘되는 환경.

또한 뒷골목은 범죄가 은밀히 이뤄지기 쉬운 구역이고, 경찰 테마에 맞지 않을까 싶어서.
상술했듯 일러스트는 K9 몬스터들의 리미터 해제 전 버전 공통 배경으로 사용되고 있다. 배경에는 음지 펫숍이나 케모너 바 등 수상한 가게가 자리잡고 있다는 듯.
수록 시리즈
2025-03-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JP040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ジャスティス・ハンターズ -
2025-06-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KR040 | 저스티스 헌터즈
2025-08-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SH-EN040 | Justice Hunters

6. 함정 카드

6.1. 일반 함정

6.1.1. K9-EW 익스페리멘틀 레버레이션

파일:K9-EW特殊解除実験.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ruby>K9<rp>(</rp><rt>케이나인</rt><rp>)</rp></ruby>-EW 익스페리멘틀 레버레이션,
일어판 명칭=<ruby>K9<rp>(</rp><rt>ケーナイン</rt><rp>)</rp></ruby>-EW<ruby>特殊解除実験<rp>(</rp><rt>エクスペリメンタルリベレイション</rt><rp>)</rp></ruby>,
영어판 명칭=K9-EW Special Release Experiment,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패 / 묘지에서 "K9"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후\, "K9" 엑시즈 몬스터 1장을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으로 취급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다음 턴의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
효과2=②: 자신 / 상대의 엔드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묘지의 "K9" 속공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카드명은 특수해제실험이라고 쓰고 엑스페리멘탈 리버레이션이라고 읽는다.

①의 효과는 패/묘지에서 K9를 꺼내고 그 위에 겹쳐 엑시즈몹을 꺼내는 효과. 묘지의 몬스터를 꺼내면 소모가 크게 줄어드는 카드로, 리퍼와 웨어울프는 상대 턴에 견제할 수 있어 전개하기 힘든 상황이면 이걸로 착지하여 견제를 노릴 수 있다.

일러스는 요쿨과 랜턴 둘이 나와있는데 "해제" 카드들이 전부 테마 몬스터가 엑시즈 몬스터로 변신하는 모습을 담고 있고, 이 둘의 번호가 66으로 같은 것으로 봐서 추가지원으로 이 두 몬스터가 합체한 엑시즈 몬스터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었고, Jacks가 나오면서 사실이 되었다. 일러스트에 Jacks의 합체 과정이 나와있는 것처럼 해당 몬스터와 궁합은 좋은 편인데, 이 카드로 Jacks를 소환하면 파괴 효과를 쓸 수 있기에 1파괴 함정 카드가 되며, 다음 턴에 파괴되는 것도 엔드 페이즈에 레버레이션 속공 마법을 세트해 어차피 파괴될 Jacks를 다른 K9 엑시즈로 변환시킬 수 있어 Jacks의 K9 엑시즈 몬스터의 소재가 되었을 때 적용되는 효과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2025-03-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JP041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ジャスティス・ハンターズ -
2025-06-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JH-KR041 | 저스티스 헌터즈
2025-08-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USH-EN041 | Justice Hunters

7. 같이 쓰면 좋은 카드


[1] 북미에서 기아자동차K9이 K900으로 팔린 이유도 같은 이유 때문이였다. 여담으로 K-9 자주곡사포 때문에 관련 보직 종사자가 트라우마를 호소하거나 아예 테마를 자주포라는 별칭으로 부르는 식의 반응이 나왔다.[2] 카드 위키에 따르면 9는 3의 제곱이므로 K9을 고로아와세로 '케이사츠'라고 읽을 수 있다고 한다.[3] 와일드 서바이버즈에서 등장한 VS 판테라나 같은 시기에 유희왕 러시 듀얼에 출시된 애니매지카 테마가 떠오르기도 한다는 평. 혼성 테마라는 점이나 화풍 등은 VS와 더 가깝다.[4] 다만 이즈나의 사례에서 보이듯 평소에도 수인의 면모가 덜 드러날 뿐이지, 수인으로서의 특성이 강한 사례도 다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순혈 인간이 수인으로 변하는게 아니라, 리버레이션을 통해 몸 속에 내재된 짐승의 힘을 늘리는 것에 가깝다.[5] 그나마 루푸스 쪽이 '개과'라는 테마명 모티브에 충실할 뿐 이즈나의 모티브인 카마이타치만 해도 개과가 아니라 족제비과이며, K9-66 라인업에 들어가는 요쿨/랜턴은 동물 모티브가 사실상 드러나지 않는다.[6] 유희왕 VRAINS는 엑시즈 몬스터 자체가 많이 등장하지 않았다.[7] 랭크 11 이상은 몬스터 자체가 희소하고 4와 8은 정반대로 넘칠 정도로 많으니 논외. 2는 스프라이트가 워낙 유명해서 그렇지 그 전에도 개구리 등이 주목받기도 했었다. 1은 LL이, 10은 열차가 대표한다. 6축의 경우 열세이긴 해도 헤이즈비스트를 비롯해 존재는 하고 있었고 데먼스미스의 등장으로 떡상한 상태였으며, 그나마 9가 어중간한 편이긴 했다. 반면 랭크 5는 사실상 비어있는 상태였다가 K9의 등장으로 공백이 메워진 것.[8] 크리스트론, 사이버 드래곤 등[9] VS, 드래곤테일, 메멘토 등[10] K9 발매 시점 기준으로 해당되는 덱은 라이제올, 야미가 속한다. 이후 시간이 좀 지난 상황에서 섬도희 역시 여기에 포함된다.[11] 리퍼는 그나마 꽤 좋은 카드지만 어떤 상황에서든 꺼내는 K9의 기본기나 다름없기 때문에 단독으로만 서있기에는 타 테마 대비 아쉬움이 적지 않다.[12] 이외의 추가적인 견제는 엑스트라 덱 소모를 다소 요구하지만 DDD 저격왕 텔을 통해 데스 마키나를 소환하여 비대상 비파괴 제거를 추가할 수는 있다. 고점만 보면 헤트 나이트-CX 카오스 나이트-CNo.-기망황 바리언을 통해 파라다이스매셔의 효과를 베껴 쓰는 플랜이 있기는 하나, 너무 많은 엑스트라 덱 스페이스 소모와 파라다이스매셔를 어떻게 덤핑하거나 엑시즈 소재로 넣을 것인지에 대한 수행 난이도가 높아 실전적으로는 힘들다고 평가받는다.[13] 우측의 형태는 K9-17호 "Ripper".[14] 일반 소환할 몬스터가 노로이 말고도 넘쳐나는 환경 1티어 뱅키시 소울과의 혼합을 억제하기 위해 이렇게 설계되었다는 추측이 많으며, 실전에서도 VS보다는 순수나 크리스트론/사이버드래곤과 섞는 축에서 훨씬 더 많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케구뱅에서도 쇄룡사-스컬데드를 투입해 가면서까지 사용하는 구축이 나오고 있지만 결국 이 카드로 유의미한 성능 향상을 이루지는 못했다.[15] 제어가 풀려 폭주하는듯한 일러스트와는 달리, 상대의 패를 침착하게 확인하고 핀포인트로 제거하는 듯한 괴리감 때문에 밈이 되기도 하였다. 만화[동팩] [동팩] 동팩 재록[동팩] [19] CX-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를 미채용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오버 헌드레드 넘버즈를 써도 상관 없다. 다만 입상덱에서는 CNo.107 네오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이 가장 많이 보이는데 여기에는 특별한 이유는 없고, 단순히 듀얼리스트 팩/휘광의 듀얼리스트 편에서 노멀로 재록되었기 때문이다. 굳이 따지자면 오파츠 비마나의 타점 증강 역할도 있으나 자주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20] 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를 채용한다면 CNo.104 마스커레이드 매지션 엄브럴이 가장 많이 들어간다. 엄브럴의 마법/함정 파괴 효과로 Case of K9를 파괴하여 레버레이션 카드 서치가 가능하고, 1 몬스터 퍼미션에 패도 버리게 하며 카오스 나이트 효과로 엄브럴이 엔드페이즈에 파괴되지만 파괴한 Case of K9의 효과로 서치한 LC 레버레이션으로 파괴효과를 가진 Jacks로 바꿀 수 있다.[동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