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2:47:58

백설공주(2025)

파일:디즈니 로고 화이트.png 애니메이션 실사화 시리즈
[ 펼치기 · 접기 ]

상세정보 링크 열기

마크 웹 감독 장편 연출 작품
,(TV 드라마 제외),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300> 파일:500일의 썸머 로고.png ||<width=300>
파일:Amazing Spiderman Logo.png
||<width=300>
파일: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로고.png
||
파일:어메이징 메리 로고.png 파일:더 리빙 보이 인 뉴욕 로고.png 파일:Snow White logo.png

상세정보 링크 열기
미국 개봉일까지 D[dday(2025-03-21)]
<colbgcolor=#000000><colcolor=#d5d4dc> 백설공주 (2025)
Snow White
파일:Snow_White_2025_Main_Poster_KR.jpg
북미 포스터 ▼
파일:468937596_967647305410990_2378111366162277157_n.jpg
장르 판타지
감독 마크 웹
각본 에린 크레시다 윌슨[1], 그레타 거윅
원안
원작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그림 형제백설공주
제작 마크 플랫
주연 레이첼 제글러
앤드류 버납
갤 가돗
촬영 맨디 워커
편집 마크 생어
음악 파섹 앤 폴 (노래)
미술 케이브 퀸
의상 샌디 파월
리아 안토넬라 스칸두라
촬영 기간 2022년 3월 14일 ~ 2022년 7월 13일[2]
제작사 월트 디즈니 픽처스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5년 3월 2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3월
화면비
상영 타입
상영 시간
제작비 2억 6,940만 달러 #
월드 박스오피스 $
북미 박스오피스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스트리밍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미국 국기.svg 미정
링크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7. 줄거리8. 사운드트랙9. 원작과의 차이점10. 평가11. 흥행12. 기타

[clearfix]

1. 개요

1937년작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장편 애니메이션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를 원작으로 하는 실사 영화.

2. 개봉 전 정보

3. 포스터

파일:백설공주(2025) 티저 포스터.jpg 파일:468937596_967647305410990_2378111366162277157_n.jp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백설공주(2025) 한국 티저 포스터.jpg 파일:Snow_White_2025_Main_Poster_KR.jp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

4. 예고편

티저 예고편
메인 예고편
스페셜 예고편

===# 기타 예고편 #===

5. 시놉시스

6. 등장인물

7. 줄거리

8. 사운드트랙

9. 원작과의 차이점

10.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무비스=fsen46208148, 무비스_user=6.0, ## 무비스_highlight=display,
JustWatch=snow-white-and-the-seven-dwarfs, JustWatch_user=55, ## JustWatch_highlight=display,

11.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미국 캐나다|]][[틀:국기|]][[틀:국기|]]북미
2025년 3월 21일 미개봉 미정

[[중국|]][[틀:국기|]][[틀:국기|]]
미정 미개봉 미정

11.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9]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25-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5-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25-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25-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25-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25-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25-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25-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5-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25-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25-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25-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25-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25-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25-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5-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25-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25-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25-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25-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25-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25-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25-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25-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25-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25-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25-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25-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

11.2. 북미

12. 기타



[1]걸 온 더 트레인〉의 각본을 집필하였다.[2] 2024년 6월경 재촬영이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3]라라랜드〉, 〈위대한 쇼맨〉, 〈디어 에반 핸슨〉의 음악을 맡았다.[4] 참고로 라틴계는 피부색이 다양하다. 피부색이 밝은 사람도 있고 피부색이 어두운 사람도 있다. 제글러는 후자에 속한다.[5] 클레바는 2012년에 개봉한 동명의 영화에도 조연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6] 이를 두고 백설공주의 가장 큰 문제는 캐스팅도 원작 훼손도 아닌 제글러의 입이라는 반응도 많다.[7] 영화 쪽에서는 크게 활동하지 않은 배우이지만 미국 연극계에서 유명한 배우로 토니상 연극 부문 남우주연상 수상자이다.[8] 이에 대한 여러 비판이 있지만, 일단 거울이 동문서답한다는 지적이 있다. '내적 아름다움'이란 표현은 쉬운 말로 풀어 이야기하면, '착하다','선하다','정의롭다'등으로 풀어쓸수있다. 거울의 대답이 좋은 대답인지에 대해서 평가기준은 현대적으로 보면 AI에 대한 평가기준을 차용해도 된다. 왕비가 거울에게 한 질문은 "세상에서 누가 가장 아름다운가"라는 질문인것을 고려하면, 이 질문에 대한 AI의 대답은 보통 질문의 취지와 맞게 심플하게 "왕비님이 가장 아름다우십니다."라고 대답하면 된다. 이 대목에서 질문자의 의도와 별 상관없는 '하지만 세상에서 제일 착한 사람은 백설공주입니다"라고 사족을 달은 셈인데, 결과적으로 AI가 그렇게 대답했다면 기능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을것이다. 쉽게 말해서 거울이 굳이 백설공주의 착함을 대답에 넣을 개연성이 없는 점이다. 이 거울씬이 백설공주의 핵심적인 장면중의 하나인데, 그 핵심 장면의 개성성을 낮추게 된 것이다. 두번째 비판은 왕비의 행동의 개연성이다. 기존의 백설공주 작품에서는 왕비가 백설공주의 외모를 질투해서 살해한것이다. 백설공주만 죽으면 본인이 세계1위가 된다고 한다면 그 행동의 개연성은 충분하다. 그것이 정치적 올바름에는 맞지 않을지 몰라도 개연성, 혹은 작품의 내적 핍진성에는 전혀 문제없는 설정이다. 그런데, 이 영화에서는 왕비는 '백설공주의 착한 성품을 질투하는 상황'인데, 백설공주를 살해하면 왕비가 세상에서 가장 착한 사람이 될수있을까? 애초에 왕비는 착하고 정의로운 사람도 아니고, 백설공주 살인때문에 오히려 전세계 착함 순위에서 더 하락할것이다. 그걸 영화속 표현대로 한다면, '백설공주가 사라진다고,살인을 택한 왕비의 내면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워지나?'라며 개연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마주하고 있다.[9] ~ 2025/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10] 왜 일곱 난쟁이는 CG인가... 말 많던 백설공주, ‘싫어요’ 100만개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