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13:19:12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팁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밴드 목록 열기 · 닫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Poppin_party_logo.png
파일:Poppin Party 10th.jpg
우시고메 리미 야마부키 사아야 토야마 카스미 이치가야 아리사 하나조노 타에
파일:Afterglow(BanG Dream!) 로고.svg
파일:Afterglow 10th.jpg
우에하라 히마리 하자와 츠구미 미타케 란 우다가와 토모에 아오바 모카
파일:Pastel*Palettes 로고.svg
파일:Pastel Palettes 10th.png
시라사기 치사토 와카미야 이브 마루야마 아야 야마토 마야 히카와 히나
파일:Roselia_logo.png
파일:Roselia 10th.jpg
히카와 사요 우다가와 아코 미나토 유키나 시로카네 린코 이마이 리사
파일:Hello_happy_world_logo.png
파일:Hello Happy World 10th.jpg
키타자와 하구미 미셸 츠루마키 코코로 세타 카오루 마츠바라 카논
파일:morfonica_logo.png
파일:Morfonica 10th.jpg
야시오 루이 히로마치 나나미 쿠라타 마시로 후타바 츠쿠시 키리가야 토우코
파일:RAISE_A_SUILEN_logo.png
파일:RAISE A SUILEN 10th.jpg
파레오 마스킹 레이야 츄츄
파일:MyGO_logo.png
파일:MyGO 10th.jpg
치하야 아논 나가사키 소요 타카마츠 토모리 시이나 타키 카나메 라나
파일:Ave_Mujica_logo.png
파일:Ave Mujica 10th.jpg
오블리비오니스 티모리스 돌로리스 아모리스 모르티스
파일:yumemita_logo.png
파일:Yumemita 10th.jpg
미네츠키 리츠 센고쿠 유노 나카마치 아라레 후지 미야코 미야나가 노노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관련 문서 열기 · 닫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음반 <colbgcolor=white,#2d2f34><colcolor=#212529,#e0e0e0> 전체 음반 · 정규 음반 · 비정규 음반 (디지털 싱글)
애니메이션 관련 음반 · 인스트루멘탈 음반
커버곡 관련 음반 · 음성 합성 엔진 관련 음반
콜라보레이션 음반 · 기타
라이브 라이브 · 팬미팅 · 기타
미디어
믹스
라디오 포핀 라디오!
Roselia의 RADIO SHOUT!
걸파 라디오 with Afterglow
Afterglow의 석양 STUDIO
RAISE A SUILEN의 RADIO R・I・O・T
걸즈 밴드 파티! presents 모니카 라디오
Pastel*Palettes 슈와링 라디오
헬로, 해피 월드!의 Radio 스마일!
Dreamer's Tunes
코믹스 [별의 고동]
BanG Dream!
4컷 뱅드림!
뱅뱅드림드림
걸즈 밴드 파티! Roselia Stage
걸파☆피코 코믹 앤솔로지
RAiSe! The story of my music
소설 BanG Dream! 뱅드림
애니메이션 TVA (1기 · 2기 · 3기 · It's MyGO!!!!! · Ave Mujica)
단편 (CiRCLE THANKS PARTY! · Morfonication)
초단편 (파스텔 라이프 · 걸파☆피코 시리즈)
극장판 FILM LIVE (1st · 2nd)
Episode of Roselia (I : 약속 · II : Song I am.)
팝핀' 드림!
It's MyGO!!!!! 극장판 (전편 · 후편)
게임 걸즈 밴드 파티!
관련
문서
정보
프로그램
걸즈 밴드 파티 @ 헬로해피 CiRCLE 방송국
걸파 스테이션
뱅드림! TV
월간 부시로드 TV (with. 트리몬 · with. 큐슈 삼국지 · with. 소녀 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칸무리
방송
Pastel * Palettes의 슈와링 TV
morfonical / 모르포니컬
포피방! ~포피파의 방송~
음성 합성 엔진 꿈의 결창 (POPY · ROSE · PASTEL · HALO)
팬덤 마이너 갤러리 · 아카라이브 채널
무대 탐방 성지 순례
기타 등장인물 (기타 등장인물) · 노래방 수록 목록 }}}}}}}}}
나무위키 프로젝트

파일:한도리.png
<colbgcolor=#ffca1a,#2d2f34> 주요 문서 수록곡 | 등장인물 (기타 인물) | 배경 | 뽑기 (생일, 스페셜, 무료)
시스템 (스킬) | 게임 가이드 | 해외 서비스
문제점 | 논란 및 사건 사고 | 버그
이벤트 일반 이벤트 | 챌린지 라이브 | 합동 라이브
라이브 트라이 | 미션 라이브
팀 라이브 페스티벌 | 메들리 라이브
<colcolor=#373a3c,#ffca1a> 미디어 믹스 파스텔 라이프 | 5th Anniversary Animation -CiRCLE THANKS PARTY!-
하위 문서 | 음반 | 스테이지 챌린지
난이도 표기 문제 | 공식 대회


1. 플레이어 이름 스타일 변경
1.1. 색깔 변경1.2. 투명도1.3. 볼드체1.4. 이탤릭체1.5. 밑줄1.6. 취소선1.7. 위 첨자, 아래첨자1.8. 개행
2. 스타 수집 장소
2.1. 메인/밴드/이벤트 스토리 진행2.2. 곡 플레이 보상2.3. 에피소드 및 메모리얼 해금2.4. 미션2.5. 프리미엄 해피박스
3. 협력 라이브 관련
3.1. 효율

1. 플레이어 이름 스타일 변경

라이브를 하다보면 가끔 일반적인 표시가 아닌 형형색색의 장식을 한 이름을 만나 볼 수 있다.

이하는 그렇게 꾸며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소개 항목. 정확히는 BBCode의 스타일 방법중 일부가 적용되는 것에 가깝다.
단, 닉네임 제한이 바이트가 아닌 글자수 기준으로 10글자[1]라서 좁을수도 있다.

1.1. 색깔 변경

[FFFFFF] 형식으로 사용 가능.
[]안에 16진수로 색깔을 입력하면, []뒷 글자의 색깔이 모두 변한다.[2]
실제 사용가능한 것은 2글자가 한계.
[FF0000]香澄
香澄

1.2. 투명도

[FF]형식으로 사용 가능.
[]안을 16진수로 기입하면, []뒷 글자의 투명도가 모두 변한다.
실제 사용 가능한 것은 6글자.
[88]戸山香澄だよ
戸山香澄だよ[3]
[00]戸山香澄だよ
戸山香澄だよ[4]

1.3. 볼드체

[b]형식으로 사용 가능.
뒷 글자가 전부 볼드체로 변한다.
실제 사용 가능한 것은 7글자.
[b]戸山香澄だよね
戸山香澄だよね

1.4. 이탤릭체

[i]형식으로 사용 가능.
뒷 글자가 전부 이탤릭체로 변한다.
실제 사용 가능한 것은 7글자.
[i]戸山香澄だよね
戸山香澄だよね

1.5. 밑줄

[u]형식으로 사용 가능.
뒷 글자 전부 밑줄을 긋는다.
실제 사용 가능한 것은 7글자.
[u]戸山香澄だよね
戸山香澄だよね

1.6. 취소선

[s],[/s]형식으로 사용 가능.
뒷 글자에 모두 취소선이 그인다. 실제 사용 가능한 것은 7글자.
[s]戸山[/s]香澄だよね
戸山香澄だよね

1.7. 위 첨자, 아래첨자

[sup] 또는 [sub]형식으로 사용 가능.
뒷 글자들이 모두 첨자로서 표시된다. 실제 사용 가능한 것은 5글자.
[sup]戸山香澄だ
戸山香澄だ
[sub]戸山香澄だ
戸山香澄だ

1.8. 개행

외부 키보드를 연결한뒤 Shift+Enter을 치게되면 띄어쓰기가 생기는데 이것이 개행이다. (안드로이드 기준)
협동라이브시 2줄이상의 닉네임을 설정할수 있다. 한번 설정해두면 띄어쓰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수정하여 닉네임을 바꿀수 있다.
가장 빠른 방법은 카카오톡 같은 PC에서 공유가능한 앱을 이용해 개행을 입력하고, 폰에서 복사해서 붙여넣는 것이다.

2. 스타 수집 장소

스타는 걸파 내에서 사용되는 유료 재화로서, 곡의 컨티뉴 및 라이브 부스트 회복 등에 쓰인다. 명칭은 스타(スター)인데 유저들마다 부르는 명칭은 돌, 쥬얼, 보석, 별 등등 다양하다. 물론 뭐라고 해도 통용된다. 하지만 역시 가장 많이 쓰이는 곳은 가챠. 스타를 모아 도전해 보고 싶은 사람들은 참조할 것.

과금을 하여 얻은 유료 스타와 게임 플레이로 얻은 무료 스타로 나뉘며, 유료 스타로만 돌릴 수 있는 특별한 가챠 외에는 항상 같은 재화로 취급된다.

한 번에 얻는 양이 많지는 않지만 게임만 열심히 해도 스타 수입원이 꾸준한 편이고, 앨범 발매, 오리콘 성적, 오프라인 행사, 방송, 콜라보 등 다양한 이유로 게임 내에서 스타를 뿌리기 때문에 은근히 퍼주는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스타를 많이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타터 이벤트 및 특정 뽑기 이외에는 과금 스타, 무과금 스타의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다른 게임보다 낫다는 평가도 있다. 다만 스타의 주 사용처인 가챠가 천장[5]이 없었기 때문에 유저들은 기본적으로 스타가 많아야 한다는 관념이 있으며, 이 때문에 체감상으로는 언제나 부족하다. 이는 천장 추가 이후에도 마찬가지이다.

2.1. 메인/밴드/이벤트 스토리 진행

파일:bangdream_tip1.jpg
모두 1번 밖에 받을 수 없지만, 가장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방법.
메인 스토리는 시즌 1, 시즌 2, 시즌 3 스토리로 나뉘며, 3+22화, 3+20화, 3+22화로 구성되어 있다. 오프닝 1 ~ 3화 중 1화는 스타를 지급하지 않으므로, 나머지 스토리 70화에서 3,500 스타를 회수 가능하다. 단, 현행 시즌인 시즌 3 스토리의 경우 해금시 플레이어 레벨 제한이 존재한다.

밴드 스토리는 6.5주년 이후 8개 밴드의 스토리가 존재한다. 밴드의 출시 시기 혹은 스토리 분량에 따라 해금 가능한 스토리의 갯수가 달라지며, 스토리마다 최소 15화 이상 존재한다. 또한, 일부 에어리어 아이템 및 수록곡을 해금하려면 밴드 스토리를 읽는 것이 요구된다.
메인 스토리와 밴드 스토리를 전부 감상한 경우, 23,150 스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벤트 스토리는 이벤트가 시작되면 해금되는 스토리로, 통상적으로 이벤트마다 7개의 스토리가 있기 때문에 총 350 스타를 회수 가능하며, 일정량의 이벤트 포인트를 모으면 해금 및 감상이 가능하다. 이벤트를 시작할 때마다 새로운 스토리로 교체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밴드 n장 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벤트 스토리는 다음 이벤트가 시작한 이후에 읽으면 스타를 얻을 수 없다.

2.2. 곡 플레이 보상

파일:IMG_2455.png
각 곡을 플레이 하면서 보상으로 스타를 회수하는 것도 가능하며, 스타가 주어지는 보상은 아래와 같다.

항목 당 50스타가 주어지므로, 곡 당 이론상 최대 200스타(스페셜 난이도가 추가된 곡은 250스타) 를 회수 가능.

2024년 12월 31일 기준 일본 서비스에서는 634개(스페셜 난이도가 추가된 곡은 110개.)의 음악이 있으며, 총 132,300 스타를 획득할 수 있다.

단, 곡 중에는 굉장히 높은 난이도의 곡이 있기에[6] 전량 회수는 상당히 어려운 편. 협력 라이브로 개인 S/SS를 따나가고, 쉬운 곡 위주로 하드부터 천천히 회수해 나가자.

2.3. 에피소드 및 메모리얼 해금

파일:bangdream_tip3.jpg
각 카드의 레벨을 높여서 에피소드와 메모리얼을 해금하여 스타를 회수하는 방법.
에피소드는 25스타, 메모리얼은 50스타로 카드 한 장당 75스타를 회수 가능하다.
생각보다 쉽고 짭짤하게 벌 수 있으며, 특히 1,2성 카드는 들어가는 재료는 적으면서 보상은 3,4성과 같기 때문에 조금만 플레이 해도 충분히 재료를 준비할 수 있다.[7]
레어도 에피소드 메모리얼
1성 조각(소) 10개 조각(소) 50개, 조각(중) 25개
2성 조각(소) 100개 조각(소) 400개, 조각(중) 150개
3성 조각(소) 300개, 조각(중) 100개 조각(소) 1800개, 조각(중) 1200개, 조각(대) 300개
4성 조각(소) 500개, 조각(중) 300개 조각(소) 2400개, 조각(중) 1600개, 조각(대) 400개
3, 4성의 메모리얼 해방은 재료가 굉장히 많이 드는 편이기에 회수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일단 스타를 노린다면 1, 2성 카드의 회수에 집중하자.

2.4. 미션

우측 메뉴에서 미션을 확인하고 수행하여 보수를 얻을 수 있다.
레벨 달성/친구 추가/플레이 등 다양한 미션이 있으며, 보수도 스타, 스튜디오 티켓, 스킬 티켓, 코인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2.5. 프리미엄 해피박스

스타 상점에서 구매할 수 있는 일종의 정액제 비슷한 시스템. 가격은 1200엔이며, 한국판 가격은 11000원.

구입 즉시 유료 스타 1000개 + 음색의 크리스탈 20개를 얻을 수 있고, 이후 25일 동안 로그인 시 무료 스타 80개씩을 얻을 수 있다. 무료 스타는 구매 날짜 다음날부터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한 번 구매 후 30일이 지나야 재구매가 가능하다. 즉, 1200엔으로 한달에 걸쳐 스타 3000개를 얻을 수 있는 셈.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 스타가 급히 필요한 게 아니라면 가성비가 상당히 좋은 편. 경제적 여유가 된다면 매달 적금 들듯이 한 번 씩 구매해주면 상당히 스타가 잘 모인다. 유저들 사이에서는 "연금"이라고 불린다.

상기의 설명처럼 접속을 해야 80 스타를 받기에 접속을 하지 않으면 그 날 받을 부분은 받지 못 하고 밀린다. 이 게임에 하루를 세는 기준 시각은 AM 4:00, 즉 새벽 4시가 기준이 된다. 구매 후 30일이 지나야 재구매가 가능하고 구매한 다음 날 부터 80 스타를 받기에 5일 이상 접속을 안 하면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간 동안은 바쁘더라도 접속만큼은 개근해주도록 하자.

그리고 가챠를 해보면 운이 좋은 편이 아닌 이상 4성을 얻기 쉽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해피박스에서 1000 스타는 유료 스타라는 점을 기억하고 이 부분은 아껴두는 게 좋다. 매일 유료 스타 60개로 뽑을 수 있는 '60 단챠'를 통해 적은 비용으로 대박을 노려 보거나 간간히 열리는 '4성 확정 가챠'에서 2500 유료 스타로 4성을 적어도 하나는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료 스타를 활용하지 않더라도 꾸준히 모아서 4성 확률이 2배인 드림페스 가챠를 노려 투자 대비 고효율을 노려 볼 수 있다.

3. 협력 라이브 관련

3.1. 효율


2024년 11월 30일 기준 Bestdori 곡 정보에 따른 효율곡은 다음과 같으며, 위는 협력 라이브, 아래는 프리 라이브를 전제로 한 효율 표이다.
조건 : 스킬 7초간 스코어 130% UP, 퍼펙트 비율(Perfect Rate)[PR] 100%, 음악 중단 시간(Song Downtime)[Time] 45초, 피버(Fever)[Fever] O.
효율(Efficiency)[Eff.]점수 배율(Scoring factor)[Score]
순위 곡명 난이도 길이 효율 순위 곡명 난이도 길이 배율
1 SAVIOR OF SONG <colbgcolor=#ffe4e1,#610000><colcolor=#f15f5f,darkred> 28 1:30.0 430% 1 SAVIOR OF SONG <colbgcolor=#ffe4e1,#610000><colcolor=#f15f5f,darkred> 28 1:30.0 967%
2 SAVIOR OF SONGSP 27 1:30.0 426% 2 SAVIOR OF SONGSP 27 1:30.0 958%
3 천하통일 A to Z☆ 26 1:31.0 411% 3 EXIST 26 1:33.7 942%
4 EXIST 26 1:33.7 407% 4 Jumpin' 26 1:33.5 938%
5 ALIVE 25 1:30.8 407% 5 CATASTROPHE BANQUET 29 1:49.7 934%
6 Jumpin' 26 1:33.5 406% 6 천하통일 A to Z☆ 26 1:31.0 931%
7 アイウエ 26 1:29.2 400% 7 Floral Haven 27 2:03.6 925%
8 천하통일 A to Z☆SP 25 1:31.0 399% 8 FIRE BIRDSP 29 2:10.7 923%
9 祝福 26 1:31.8 399% 9 홍련의 화살 27 1:38.9 921%
10 swim 26 1:31.1 398% 10 ALIVE 25 1:30.8 921%
11 クラクラ 26 1:33.2 396% 11 Life on the Lotus 27 1:54.1 919%
12 BRAVE JEWEL 27 1:32.6 395% 12 Proud of oneself 27 1:38.7 915%
13 影色舞 26 1:32.6 394% 13 迷星叫 26 1:37.9 915%
14 イニシャル 26 1:32.7 390% 14 「僕は...」 25 1:42.7 915%
15 イニシャルSP 28 1:32.7 389% 15 クラクラ 26 1:33.2 911%
조건 : 스킬 7초간 스코어 130% UP, 퍼펙트 비율(Perfect Rate)[PR] 100%, 음악 중단 시간(Song Downtime)[Time] 15초, 피버(Fever)[Fever] X.
효율(Efficiency)[Eff.]점수 배율(Scoring factor)[Score]
순위 곡명 난이도 길이 효율 순위 곡명 난이도 길이 배율
1 SAVIOR OF SONG <colbgcolor=#ffe4e1,#610000><colcolor=#f15f5f,darkred> 28 1:30.0 432% 1 SAVIOR OF SONG <colbgcolor=#ffe4e1,#610000><colcolor=#f15f5f,darkred> 28 1:30.0 757%
2 SAVIOR OF SONGSP 27 1:30.0 426% 2 SAVIOR OF SONGSP 27 1:30.0 746%
3 천하통일 A to Z☆ 26 1:31.0 412% 3 천하통일 A to Z☆ 26 1:31.0 728%
4 ALIVE 25 1:30.8 403% 4 Proud of oneself 27 1:38.7 725%
5 swim 26 1:31.1 402% 5 EXIST 26 1:33.7 722%
6 アイウエ 26 1:29.2 399% 6 CATASTROPHE BANQUET 29 1:49.7 717%
7 천하통일 A to Z☆SP 25 1:31.0 399% 7 Jumpin' 26 1:33.5 716%
8 EXIST 26 1:33.7 398% 8 홍련의 화살 27 1:38.9 716%
9 인연 뮤직♪SP 26 1:32.1 398% 9 Punchline Halloween!!! 28 1:45.4 716%
10 壱雫空 26 1:32.4 397% 10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SP 29 1:43.8 714%
11 Jumpin' 26 1:33.5 396% 11 迷星叫 26 1:37.9 712%
12 祝福 26 1:31.8 394% 12 Life on the Lotus 27 1:54.1 712%
13 クラクラ 26 1:33.2 391% 13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29 1:43.8 712%
14 BRAVE JEWEL 27 1:32.6 390% 14 내일의 밤하늘 초계반SP 27 1:35.4 712%
15 Paradisus-Paradoxum 28 1:34.4 390% 15 Paradisus-Paradoxum 28 1:34.4 712%

[1] 글로벌 서비스는 20자, 영어만 가능.[2] 실제로는 16진수 색깔표의 색상과 검은색이 섞여서 나온다.[3] 실제로는 투명도가 내려가며, 글자색과 달리 로딩이나 스킬 윈도우에서는 한도리 기준으로 오픈 초기만 해도 되다가, 2월 중순경부터는 스킬 윈도우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4] 보이지 않는다.[5] 과금액이나 가챠 횟수가 일정량에 도달하면 고레어 카드가 확정적으로 얻어지는 시스템을 말한다. 주로 가챠 게임에서 적용된다. 하지만 이 시스템이 없는 게임은 당연히 원하는 카드가 나올 때까지 과금을 반복할 뿐이다.[6] 걸파 최초의 29레벨 곡 六兆年と一夜物語라던가, 처리가 까다롭기로 소문난 호화! 호쾌! 팬텀시프[7] 또한 둘다 해금시, 카드의 종합력이 1성은 900, 2성은 1350, 3성은 2100, 4성은 2550 올라가게 된다.[8] 합동 라이브는 예외. 이벤트 Pt가 다른 유저와 점수 비교를 통해 결정되는 보너스 Pt로+자신의 점수로만 결정되므로 감당 못하는 난이도를 선택하여 라이프 제로가 되면 본인의 이벤트 Pt 획득량만 훅 깎이고 다른 유저에게 되려 이득을 줄지언정 피해를 주진 않는다.[9] 컷인 옵션을 꺼둔 상태라면 "All Ready!" 자막이 뜨는 것으로 피버 장전 알림이 나온다.[10] 티어 드롭스나 해피 신시사이저같이 후렴구가 두 번 나오는 곡이라도 피버는 한 번만 나온다. 이 경우 나중에 나오는 후렴구에 피버가 나온다.[11] 나머지 1할은 플레이어들의 편성의 종합력과 편성 중 리더 카드의 스킬. 종합력 29만이 넘어야 입장 가능한 레전드 룸에서 SSS랭크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종합력과 스킬의 영향이 조금 더 커진다. 당연하지만 FEVER가 발동되지 않으면 어림도 없다.[12] 6.0.0이후 일요일 포함[13] 참고로 이때 코인은 평소의 3배 로 지급한다. 부스터와 중복이 가능하며, 한판에 1불 기준 A랭크는 6000, S랭크는 7500, SS랭크는 9000 코인이 벌린다.[14] 게다가 익스퍼트와 스페셜 중 난이도 27이상인 곡들의 하드 난이도는 표기 수치에 비해 실제 난이도가 높은 경우가 많다. 누구나룸 대량폭사의 주원인인 돌아라! 설월화의 경우 하드 난이도는 21이나 실제 난이도는 적어도 22 상위권~23레벨은 된다.[15] 정확히는, 플레이 중 피버가 없는 라이브.[16] 천하통일 A to Z, 후와후와 타임, BOF 그만 좀.[17] 근데 다른 27레벨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다.[PR] 전체 노트중 퍼펙트 판정 비율.[Time] 1회 플레이 후 2회 플레이까지 걸리는 시간.[Fever] 협력 라이브에서만 등장하는 점수 상승 버프.[Eff.] 시간당 점수 효율.[Score] 1회 플레이 점수 효율.[PR] [Time] [Fever] [Eff.] [Score] [28] 시간당 효율인 만큼 점수 배율 보다는 곡 길이의 영향을 조금 더 크게 받는다.[29] 해당 특징을 가진 음악들은 대부분 길이가 1분 35초를 넘지 않으며, 전체 노트 대비 스킬 발동 중 커버하는 노트의 비율도 타 악곡에 비하면 높다. 애초에 효율이 높은 곡이 되려면, 음악의 길이가 짧은 게 가장 중요하지만, 점수 배율도 일정 이상 높아야 하므로 당연한 것이다.[30] 사실 효율이 높은 곡들도 보통 상위권의 점수 배율을 가진다. 단지 곡의 길이에 좀 더 크게 영향을 받을 뿐.[31] 예를 들면, 이벤트 종료가 30분이 채 남지 않았을 때, 한판에 10,000점씩 10판 하는 것 보다는 9,500점이라도 11판을 플레이 할 수 있다면, 결과적으로 전자보다 후자가 4,500점을 더 얻을 수 있다.[32] 콤보만 잘 유지한다면 퍼펙트 비율이 조금 낮아도 받는 점수의 차이가 크게 벌어지지는 않으므로 어느 정도는 무시해도 된다. 다만, 자신의 편성 카드의 스킬 보너스가 판정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을 수록 퍼펙트 비율의 중요도가 상승하며, 판정에 따라 오히려 점수의 손실이 발생하기도 하는 키라 페스 카드를 편성해 두었다면 퍼펙트 비율이 스코어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33] 특히나 협력 라이브에서의 지연 시간이 프리 라이브에 비해서 긴 것을 감안하면, 악곡에 따라 다르지만 시간당 5판 이상 차이가 생기기도 한다. 게다가 5명이 프라이빗 룸을 개설하여 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면, 지연 시간이 더 오래 걸리거나, 다른 악곡이 선곡되는 등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한 스코어 손해가 생길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