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3 21:22:32

보색

파일:WqIlfac.jpg

1. 개요2. 대표 예3. 보색 찾기4. 용도5. 관련 현상6. 예시
6.1. 현실6.2. 창작물에서
7. 여담

1. 개요

/ complementary color

보색은 서로 반대되는 색이다.

정의상 광학적 보색은 두 빛을 합할 때 무채색이 되는 색이다. 한편 에발트 헤링(Ewald Hering, 1834-1918)은 심리적 보색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광학적 보색과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심리학적으로 보면 빨강초록, 파랑노랑이 기본적인 보색관계를 이루고 있다.[1]

2. 대표 예

먼셀의 20색상환에서의 보색 대응은 아래와 같다.
sRGB 상에서의 보색 대응은 아래와 같다.

3. 보색 찾기

컴퓨터에서 RGB 값으로 구현된 색상의 보색을 구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보색을 구하고자하는 색상의 각 RGB 값을 (10진수로는) 255에서 빼는 것이다.[2] (단, 투명도를 지정하는 알파값은 고려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서 청록색의 일종인 나무위키의 상징색은 RGB 16진수 값이 00, A4, 95로, 이를 10진수로 환산하면 0, 164, 149가 된다. 이를 통해 나무위키 상징색과 대응하는 보색의 RGB 10진수 값은 255, 91, 106, RGB 16진수 값으로 환산하면 FF, 5B, 6A가 된다.

Adobe Color CC에 들어가서 특정색을 지정하고, "색상 규칙"에서 보색을 클릭하면 그 색의 보색을 찾을 수 있으니 참고해보자.

4. 용도

보색을 나란히 배치한 보색 대조는 시인성이 높아 종종 활용된다.

5. 관련 현상

6. 예시

6.1. 현실

6.2. 창작물에서

7. 여담



[1] 스웨덴의 Natural Color System, CIE의 Lab과 파생 색체계들도 저 4가지 색을 기본색으로 하고 있다.[2] 이 계산 방식은 대척점을 찾는 방법과 유사하다.[3] 양의 실수는 빨강, 음의 실수는 옥색으로 표현된다는 점에서 출발한다.[4] 다만 해외나 KTV e영상역사관 등에 보존된 1970년대 이전의 수술 영상 자료를 보면 흰색 수술복을 입고 수술하는 사례가 발견된다. 현재는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가천대학교 길병원 등 일부 병원에서 흰색 수술복을 착용한다.[5] 흡수하는 파장이 짧아지거나 길어질 때, 눈에 보이는 색의 파장도 반드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는 않는다. 보색 관계는 원형을 이루기 때문.[6] 강룡신은 빨강과 초록, 환룡신은 파랑과 노랑.[7] 한국판 10기 11화~14화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