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8R |
1. 개요
스웨덴 볼보버스에서 2013년부터 생산중인 리어엔진 버스 섀시모델. 파워트레인으로 볼보의 8리터급 D8 디젤 엔진을 탑재하며 차량의 전장이나 축 옵션은 바이어의 요구에 따라 맞춤 제작이 가능하다.1.1. 완성차가 아닌 이유
완성차가 아니고 이렇게 섀시(차대)만 판매하는 이유는 각 국가의 법규에 따라 적용할수 있는 차량의 크기[1]나 엔진의 환경규제, 나라마다 다른 통행방식, 사회적인 특성 등등 요구사항이 전부 제각각이기 때문이다.[2] 차량 제작사에서 자국 내수용 차량만 생산하는 경우라면 별로 문제가 없지만 수출용 차량을 만들 경우 곤란해지는 부분. 덕분에 차량(파워트레인) 제조사에서는 섀시(차대)만 만들어 판매를 하고, 바디(차체)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특장차 업체(바디빌더, Bodybuilder)의 차체를 올려 최종적으로 완성시키게 된다.[3] 일종의 해외시장 특화 차종인 셈이다.물론 이렇게 섀시만 판매된 덕분에 아주 훌륭한 캠핑카 재료로 각광을 받고 있다. 몸통을 원하는대로 만들어 끼울 수 있기 때문이다.
2. 대한민국에서 운용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볼보-다지 B8RLE 이층버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볼보-다지 B8RLE 이층버스#|]][[볼보-다지 B8RLE 이층버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차량 옵션
- 섀시
<colbgcolor=#aabfdd,#213755> 모델 | B8R | B8RLE[4] | B8RLEA[5] | ||
차축 | 4 x 2 | 6 x 2 | 4 x 2 | 6 x 2 | 6 x 2 |
전장 | 10.5~13.6 m | 12.2~15.0 m | 10.2~12.8 m | 12.4~14.9 m | ?~? m |
휠베이스 | 5.0~7.7 m | 5.0~7.4 m | 4.5~7.0 m | 5.0~7.4 m | ?~? m |
전폭 | 2.5 m | ||||
차량 총중량 | 19,000 kg | 24,750 kg 26,500 kg | 19,000 kg | 24,750 kg | ? kg |
1축 | 볼보 RFS | 볼보 RFS-L | ? | ||
2축 | 볼보 RS1228C | ? | |||
3축 | - | 스티어링 고정차축 | - | 스티어링 | - |
연료탱크 용량 | 220~720리터 | 220~410리터 | ?~? 리터 | ||
요소수 탱크 용량 | 30, 48, 64리터 | 30, 48리터 | ? 리터 |
- 엔진
엔진 | 기관 형식 | 배기량 | 최대 출력 | 최대 토크 | 유로규제 |
<colbgcolor=#aabfdd,#213755> D8C | 직렬 6기통 | 7.7리터 | 280마력 | 97 kgf·m | 유로3 유로4 |
330마력 | 122 kgf·m | ||||
D8K | 280마력 | 107 kgf·m | 유로6 | ||
320마력 | 122 kgf·m | ||||
350마력 | 143 kgf·m |
- 변속기
변속기 | 공중량 | 최대 입력토크 | 탑기어 유형 | 기어 단수 | 기어비[6] |
<colbgcolor=#aabfdd,#213755> ZF EcoLife 6AP1200B | 338 kg | 122 kgf·m | 오버 드라이브 | 전진 6단 / 후진 1단 | 8.07 - 0.62 |
ZF EcoLife 6AP1400B | 341 kg | 143 kgf·m | |||
Voith DIWA 864.6 | 344 kg | 163 kgf·m | 전진 4단 / 후진 1단 | 5.05 - 0.73 | |
Volvo I-Shift AT2412E | 271 kg | 245 kgf·m | 다이렉트 드라이브 | 전진 12단 / 후진 4단 | 14.94 - 1.00 |
4. 후속
2024년 B8R을 기반으로 제작된 대형 전기버스용 섀시 BZR이 개발되었다.B8R의 후속 제품으로 제작되었으나 당분간 병행 판매될 예정이다.
밝혀진 정보에 따르면 기본형은 모터 출력이 200KW에 불과하다고 한다.
5. 바디
5.1. 자체 제작(Integral)
| | |
볼보 8900 | 볼보 9500 | 볼보 9700 |
모델명 | 제조사 | 섀시 모델 | 판매 지역 |
<colbgcolor=#aabfdd,#213755> 8900 | 볼보 버스 | B8R | 유럽 |
8900LE | B8RLE | ||
9500 | B8R | ||
9700S[7] |
5.2. 외부 제작
| | | |
라이트버스 이클립스 3 | MCV 에볼루션 | 볼그렌 옵티머스 | |
| | | |
선선데귀 SC5 | 선선데귀 SB3 | 플렉스톤 레오파드 | |
| | ||
운비 어비스 2.5 DD | 다지 2층 버스 (모델명 없음)[8] |
모델명 | 제조사 | 섀시 모델 | 판매 지역 |
<colbgcolor=#aabfdd,#213755> 이클립스 3[A] | 라이트버스[GB][11] | B8RLE | 유럽 |
에볼루션[A] | MCV[13] | ||
에보라 | |||
어비스 2.5 DD[B] | 운비[ES] | 유럽 · 아시아 | |
다지 2층버스 (모델명 없음)[B] | 다지 자동차 [17][18][19] | 아시아 | |
옵티머스 | 볼그렌[20] | B8RLEA | 오세아니아 |
SC5[A] | 선선데귀[ES] | B8R | 유럽 |
SB3[A] | |||
레오파드[A] | 플렉스톤[GB][26] |
6. 운행 노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볼보-다지 B8RLE 이층버스#s-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볼보-다지 B8RLE 이층버스#|]][[볼보-다지 B8RLE 이층버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경쟁 차량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완제품 시내/시외 버스 | 7300 · 7400 · 7900 · 8400 · 8600 · 8900 | LV61 · LV70 | |
시내/시외 버스 섀시 | B5TL · B5LH(B5LAH · B5LHC) · B7RLE · B8R(B8RLE · B8RLEA) · B8L · B9TL · B10TL · BZR, BZRLE | B5RLE 하이브리드 | |
완제품 코치 | 9400 · 9700 · 9800 · 9900 | - | |
코치 섀시 | B8R · B11R · BZR | - |
[1] 일례로 대한민국의 차량 운행제한 조건은 전장 13 m 미만(연결차량은 16.7 m 미만), 전폭 2.5 m 미만, 전고 4 m 미만, 축중량 10톤 미만, 총중량 40톤 미만에 해당된다.[2] 특히 버스는 트럭과 달리 가용 용적을 꽉꽉 채우는 편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3] 즉, 섀시 제조사의 섀시 출고 → 바디빌더로 인도 → 바디빌더의 바디 조립 → 완성차량 바이어 인도 순으로 이뤄지게 된다.[4] 로우-엔트리(Low-Entry) 저상버스용 섀시.[5] 로우-엔트리(Low-Entry) 저상 굴절버스용 섀시.[6] 기어비가 높을수록 강력한 견인력을, 기어비가 낮을수록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7] 9700의 마이너스 옵션 모델.[8] 해당 노선은 화성 버스 8502[A] 영국 한정으로 타 국가와 다르게 볼보 버스 영국&아일랜드 홈페이지에서 바디빌더 패키지로 묶어 판매한다.[GB] 영국 업체.[11] 뉴 루트마스터와 SRM(볼보 B5LH/B5LHC 섀시 기반)을 이 회사에서 제작한다. 런던 뿐만 아니라 영국 전국에서 이 회사의 2층버스 섀시를 올린 볼보 버스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A] [13] Manufacturing Commercial Vehicles. 이집트 업체.[B] 2층버스 모델.[ES] 스페인 업체.[B] [17] 大吉汽車, 대만(타이완) 국적 기업.[18] 경기도에서 2015년부터 도입하여 간선급행, 직행좌석 노선과 인천, 제주시티투어버스로 주로 운용 중이며 광역급행버스 중 M5438번에도 투입중이다. M버스 중 유일하게 디젤 2층버스를 투입하는 노선이다.[19] 해당 차량의 좌석 뒤쪽마다 하나씩 있는 USB 충전 포트는, 경기도 공공버스의 USB 충전포트 설치 사업에 해당되지 않은, 버스 섀시 및 좌석 제작사(다지)의 설계에 출고시부터 설치된 것이다. 출고된지 수년이 지난 차량이 운행되는 현재, 충전기 및 포트가 고장나도 경기공공버스 USB충전포트 사업의 관리를 받지 않기에 수리를 하기 어려워, 그저 장식용으로 전락한게 대부분이다.[20] 오스트레일리아 업체로 브라질 마르코폴루 SA의 자회사이다.[A] [ES] [A] [A] [GB] [26] 국내에서 엔바이로500으로 알려진 알렉산더 데니스의 자회사이다.[27] 운비 어비스 DD 2층버스와 다지 2층버스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