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8 13:03:54

부여/왕조

부여/왕사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부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5453A, #6A5445 20%, #6A5445 80%, #55453A);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A5445> 부여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모수왕 부루왕 금와왕 대소왕
<rowcolor=#6A5445> 해두국 갈사국
말대 초대 제2대 제3대
해두왕 갈사왕 1세 갈사왕 2세 도두왕
<rowcolor=#6A5445> 중국사서
초대 시조 계보 미상 칭왕 초대
영품리왕 동명왕 부여왕
계보 미상 초대 제2대 제3대
시왕 부태왕 위구태왕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간위거왕 마여왕 의려왕 의라왕
제8대 제9대 계보 미상 말대
현왕 울왕 잔왕
<rowcolor=#6A5445> 졸본부여
말대 말대
연타발 추모성왕
<rowcolor=#6A5445> 남부여 문헌상 언급 두막루
초대 왕족 수령
성왕 구태 | 우태 | 위거 낙개제
}}}}}}}}}}}}


파일:부여 비마형 금구2.png
부여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6A5445>역사역사 전반 · 북부여 · 동부여 · 갈사부여 · 남부여 · 졸본부여 · 두막루
외교고조선 · 고구려 · 백제
문화문화 전반 · 백의민족 · 윷놀이 · 상투 · 영고
왕사왕사 전반 · 국성 · 부여씨
사회사회 · 부여어 · 정치 · 경제
기타부여군 · 역사귀속과 계승인식 · 유래한 이름 · 학계에서}}}}}}}}}

부여 왕조
扶餘王朝
기원전 4세기 ~ 494년
국성 해씨
창건자 동명왕 (? ~ ?)
마지막 군주 잔왕 (? ~ 494년)
국호 부여 (기원전 4세기 ~ 494년)
군주 직함 (기원전 4세기 ~ 494년)
통치 국가 부여 (기원전 4세기 ~ 494년)

1. 개요2. 역대 군주
2.1. 종합
3. 계보4. 번외5. 기록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이 문서는 부여의 역대 군주들에 대한 정보를 담은 문서이다. 부여를 다루는 역사 기록은 불행하게도 매우 적으며, 그렇기에 부여의 역대 군주들이 누구였으며 그 수가 얼마나 되는지는 알 길이 없다. 중국 사서인 《삼국지》<동이전>에는 부여의 위치나 지리, 풍속 등만 기록되어 있을 뿐 왕사는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를 비롯한 국내 사료에도 부여의 초기 건국사만이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부여의 역대 왕사를 정리해 보면 중간에 큰 공백기가 생긴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등에는 부여의 시조인 해모수로부터 그 후손인 대소왕까지의 기록은 남아 있으나 그 뒤의 기록은 부분 부분 끊겨 있어 제대로 알기 힘들기 때문이다.

사실, 한국 사서에 나오는 부여와 중국 사서에서 나오는 부여가 동일한 정치체인지도 의문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단군의 아들 중에 부루가 있기 때문에 한국 사서의 부여는 고조선에 가까운 정치체지만, 중국 사서에 나오는 부여는 백제와 같이 위구태왕을 시조로 모신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2. 역대 군주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이 나라를 동부여라고 기록하고 있으나, 뒤에서는 동일한 나라를 북부여라고 기록하는 등 혼란이 있다. 게다가 『광개토대왕릉비』에서도 추모(주몽)가 도망쳐 나온 나라를 동부여가 아닌 북부여라고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나라를 동부여가 아닌 북부여로 여기고 있다.

또한, 서기 285년 모용선비족이 침략해 의려왕이 자결하고 백성들이 동쪽의 옥저로 피난갔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곳에서 나라를 세운 것이 동부여라고 보고 있다. 『광개토대왕비』에 '동부여는 예전부터 우리(고구려)의 속국이었다'는 구절이 나오는데, 주몽이 북옥저를 정벌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확한 건 아무도 모른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위구태 문서는 그를 제9대라고 표기하였다. 이에 따라 본 문서에서는 문헌에 등장한 순서대로 편의상 대수를 표기하였다.
대수 국가 왕호 재위 기간 비고
1 부여 동명왕 ? ~ ? 부여의 시조[1].
.
.
.
1 북부여 해모수 기원전 59년 ~ ? 파일:해모수.png
북부여 건국[2]
2 동부여 부루왕 ? ~ ? 가섭원 천도
3 금와왕 ? ~ ? 파일:46_금와왕과_유화부인.png
4 대소왕 ? ~ 22년 죽을 때 80대 노인이었음.
1 갈사국 갈사왕 1세 22년 ~ ? 대소왕의 동생, 갈사국 건국
도두왕의 할아버지, 호동왕자의 외증조할아버지
2 갈사왕 2세 ? ~ ? 갈사왕의 아들.
도두의 아버지.
3 도두왕 ? ~ 68년 고구려에게 항복
77년 부여 군주으로서 고구려에 조공
.
.
.
? 북부여 □왕 ? ~ ? 서기 49년 한나라에 조공을 보냄
? 시왕 ? ~ ?
? 부태왕 2세기 167년에 현토를 공격함.
.
.
.
1 북부여 위구태왕 ? ~ ? 공손도 가문의 여자와 혼인함.
2 간위거왕 2세기 ~ 3세기
3 마여왕 3세기 간위거왕의 서자.
간위거왕이 적자를 남기지 못하고 죽자 뒤를 이음.
4 의려왕 ? ~ 285년 마여왕의 아들. 6세에 즉위함.
5 의라왕 286년 ~ ?
말대 현왕 ? ~ 346년 마지막 군주?
부여는 494년에야 완전히 멸망했으나, 현왕 이후로 세력이 급속히 쇠약해져[3] 현왕을 사실상 마지막 군주로 친다. 이후 부여울(餘蔚)[4], 잔왕(孱王)[5] 등이 기록에 보이나 계보가 확실하지 않다.

2.1. 종합

대수 왕호 성명 재위 기간 비고
동명왕 동명(東明)
.
.
.
1대 모수왕 해모수(解慕漱)
2대 부루왕 해부루(解夫婁) ? ~ B.C 60년 가섭원 천도. 이칭 영품리왕
3대 금와왕 해금와(解金蛙) B.C 60년 ~ B.C 24년
4대 대소왕 해대소(解帶素) 기원전 20년 경 ~ 22년
.
.
.
□왕 해□(解□) ? ~ ?
.
.
.
시왕 해시(解始) ? ~ ?
부태왕 해부태(解夫台) 2세기 167년에 현도군을 공격함.
위구태왕 해위구태(解尉仇台) 2세기 공손도 가문의 여자와 혼인함
구태와 동일인이라면 대방군의 초대 군주
간위거왕 해간위거(解簡位居) 2 ~ 3세기
마여왕 해마여(解麻余) 3세기 간위거왕의 서자. 간위거왕이 적자를 남기지 못하고 죽자 뒤를 이음.
의려왕 해의려(解依慮) ? ~ 285년 마여왕의 아들. 6세에 즉위함.
의라왕 해의라(解依羅) 286년 ~ ?
현왕 현(玄) ? ~ 346년 마지막 군주?[6]
- 울왕 여울(餘蔚) ? ~ ? 후연의 부여왕 책봉
.
.
.
?? 잔왕 ? ? ~ 494년 마지막 군주?

3. 계보

부여(북부여)[7]
1. 모수
2. 부루 주몽
3. 금와 고구려/왕조 백제/왕조
4. 대소 1. 갈사왕
2. ?
3. 도두
중국 사서에 등장하는 부여왕
1. 동명
.
.
.
?. 해□
.
? .해시
?. 해위구태 ?. 해부태
?. 해간위거
?. 해마여
?. 해의려
?. 해의라
.
?. 현(玄)
.
부여울
.
.
.
?. 잔왕

4. 번외

5. 기록

6. 둘러보기

한국사의 왕조 및 지도자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조선 왕조 부여 왕조 고구려 왕조 백제 왕조 신라 왕조
가야 왕조 발해 왕조 고려 왕조 조선 왕조
(대한제국 왕조)
대한민국 대통령 }}}}}}}}}



[1]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등 국내의 기록에는 부여의 시조를 해모수라 했으나, 중국 측의 기록인 《후한서》에는 동명을 부여의 시조로 기록했다. 《논형》에 남아 있는 설화가 고구려의 추모왕(동명성왕)의 건국 설화와 판박이라서 동일 인물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연남산 묘지명> 등에 동명왕추모왕이 별개의 인물로 묘사되고 있기에 동일한 인물이 아닐 가능성도 존재한다.[2]삼국유사》 에 따르면 국왕 해부루가 재상 아란불의 말을 듣고 가섭원으로 천도하자 기원전 59년 음력 4월 8일에 그 옛 터에 북부여를 건국했다. 주몽의 아버지로도 알려져 있으나 설화적 윤색을 위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3] 현왕을 포함한 왕족들이 모두 전연으로 끌려갔다.[4] 현왕이 끌려간 뒤에 낳은 아들로 보인다. 서기 384년 전연의 멸망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5] '잔(孱)'의 뜻은 '잔약하다, 나약하다'다.[6] 의라왕의 재위는 백제 책계왕과 동시에 시작되고, 현왕의 재위는 백제 계왕과 동시에 끝난다. 따라서 이 둘이 혈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조손 관계일 것이다.[7] 한국 사서에 등장하는 부여왕.

분류